Browse > Article

Regionalization of the Lineage Group in Korea(II): Landscape Phase(16C~17C)  

전종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v.38, no.4, 2003 , pp. 575-59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t was the landscape phase that social relations were extended by production of landscapes during the 16C~17C. Core lineage groups in study area had extended socio-spatial nexus through making of the landscape of ‘authority-ostentation’(권력-과시형 경관) and of ‘kindness-civilization’(시혜ㆍ교화형 경관). Therefore they could gain a result that their power and authority took root in community perfectly. In the case of the Kims of Kwangsan(광산김씨), the first landscape of ‘kindness-civilization’ was Jungheodang(the learning room Jungheo), and next it was built Yangsungdang(the learning room Yangsung), and Imlijung(the pavilion Imli). Through this landscape production, the consciousness of scholastic genealogy was born, and this genealogy consciousness could be deepened and extended in regional scale. One more important feature in this phase is the point that the Kims of Kwangsan in Yeonsan area and the Songs of Unjin(은진송씨) in Hoiduk area could unite socially by the landscape production of ‘kindness-civilization type’ becoming intermediation. And these social union, that is to say, it do connote enlargement of the territoriality. It tells that community of ‘regional’ scale was formed by of core lineage groups of ‘local’ uniting each other.
Keywords
landscape of authority-ostentation; landscape of kindness-civilization; conscious of schdastic genealogy; socio-spatial nexus; territori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
[ Sack,R. ] / Human Territoriality: Its Theory and History
2 호서사림파의 형성에 대한 연구 /
[ 전용우 ] / 충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경복궁과 舊조선총독부 건물 경관을 둘러싼 상징물 전쟁 /
[ 윤홍기 ] / 공간과 사회
4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에 관한 연구(I): 생태적 정착단계 /
[ 전종한 ] / 사학연구(한국사학회지)
5 Power geomentry and a progressive sense of place /
[ Massey,D.;J.Bird(ed.);B.Curtis(ed.);T.Putnam(ed.);G.Robertson(ed.);L.Tickner(ed.) ] / Mapping the Futures
6 History, memory, the politics of landscape and space work in historical geography from autumn 1994 to autumn 1995 /
[ Ogborn,M. ] / Progress in Human Geography   DOI   ScienceOn
7 조선시대 관료층의 내포지방 정착과정 /
[ 임병조 ] / 문화역사지리
8 씨족촌락의 형성과정과 입지 및 유교문화경관 - 안동지방의 사족촌락을 중심으로- /
[ 김덕현 ] / 지리학논총
9 동족촌의 인구이동고 촌락의 변모 /
[ 이문종 ] / 지리학   과학기술학회마을
10 본관의 누층적 의미와 그 기원에 대한 역사지리적 탐색 /
[ 전종한 ] / 대한지리학회지   과학기술학회마을
11 /
[ Entrikin,N. ] / The Betweenness of Place
12 역사지리학 연구의 고전적 전통과 새로운 노정 - 문화적 전환에서 사회적 전환으로 - /
[ 전종한 ] / 지방사와 지방문화(역사문화학회지)
13 경관체험과 장소의 사회화 /
[ 최기엽 ] / 전환기의 한국지리(남계 형기주교수 화갑기념논집)
14 /
[ Relph,E. ] / Place and Placelessness
15 Dead labor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landscape: California living,California dying /
[ Mitchell,D.;K.Anderson(ed.);M.Domosh(ed.);S.Pile(ed.);N.Thrift(ed.) ] / Handbook of Cultural Geography
16 태안반도의 촌락형성에 관한 연구 /
[ 이문종 ] / 지리한논총(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7 /
[ 허경진 ] / 충남지역 누정문학 연구
18 남양홍씨 동족사회집단의 지역화과정 /
[ 홍현옥;최기엽 ] / 지리학연구
19 농촌경관의 형태적 연구 - 여주 · 이천 지방을 중심으로 /
[ 류제헌 ] / 지리학논총
20 The spatiality of social life: towards a transformative retheorisation /
[ Soja,E.;D.Gregory(ed.);J.Urry(ed.) ] /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21 文化柳氏にみられる氏族の移動とその性格 /
[ 川島藤也 ] / 朝鮮學報
22 /
[ 우인수 ] / 조선후기 산림세력 연구
23 종족집단의 거주지 이동과 종족촌락의 기원에 관한 연구 /
[ 전종한 ] / 사회와 역사(한국사학사학회지)
24 Warscape, landscape, inscape: France, war, and Canadian national identity /
[ Osborne,B.;I.Black(ed.);R.Butlin(ed.) ] / Place, Culture, and Identity: Essays in Historical Geography in Honour of Alan R.H.Baker
25 전남지방 동족부락의 구조와 기능 /
[ 장보웅 ] / 지리학   과학기술학회마을
26 역사 도시 진주의 경관 해독 /
[ 김덕현 ] / 문화역사지리
27 씨족집단간 사회적 관계의 변화와 촌락의 공간구조 /
[ 이간용 ] / 지리교육논집
28 고청주의 공간적 배치와 상징성 /
[ 임덕순 ] / 대한지리학회지
29 반월면 4리 동족부락에 대한 연구 /
[ 양보경 ] / 지리학논총
30 영서 태백산지에 있어서 씨족의 이동과 촌락의 형성에 관한 연구 /
[ 옥한석 ] / 지리학   과학기술학회마을
31 /
[ Agnew,J. ] / Place and Politics
32 인조 · 효종조 산인세력의 형성과 진출 /
[ 김세봉 ] / 동양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