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경계부

Search Result 1,38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daptive Domain/Boundary Decomposition Method for Computational Efficiency of Thermo-Elasto-Viscoplastic Damage and Contact Analysis (열탄점소성 손상 및 접촉 해석의 효율화를 위한 적응성 영역/경계 분할 기법)

  • Kim, Sung-Jun;Kim, Jong-Il;Shin, Eui-Sup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72-7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열탄점소성 손상과 접촉 문제의 효율적인 해석을 위하여 적응성 영역/경계 분할법을 제안하였다. 적응성 영역/경계 분할법은 시간 증분 또는 반복 기법 단계에서 열탄점소성 손상과 같은 재료 비선형성을 감안하여 부영역을 재설정하며, 접촉에 따른 경계 비선형성은 경계면을 통하여 부영역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각각의 부영역과 경계면을 기준으로 유한요소 정식화를 수행하며, 공유면 및 접촉 공유면의 연속 구속 조건을 처리하기 위하여 벌칙 함수 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재료 및 경계 비선형성은 일부 부영역과 접촉 경계면에서 계산되는 유한요소 행렬에 국한된다. 수치 실험을 통하여 적응성 해석 알고리듬의 기본적인 특성과 효율성 향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Delft-3D Simulation using Open Boundary Condition in Delft Dashboard (Delft Dashboard 개방경계조건을 이용한 Delft-3D 수치모의)

  • Kwon, Kab Keun;Kim, Jin;Kim, Gun 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0-210
    • /
    • 2021
  • Delft Dashboard는 유동모델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로컬 및 글로벌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다수의 입력 매개변수를 신속하게 생성, 편집하고 모델 내 입력을 시각화하도록 설계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이다. 특히 Delft Dashboard에 제공하는 개방경계조건을 이용하면 격자영역을 인식하여 개방경계를 자동으로 분배 및 지정하고, 각 개방경계 위치에서 분조별 조석조화상수 값도 산출되므로 유동 모델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경계를 분배하여 개방경계로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elft Dashboard에서 제공하는 개방경계조건 중 TPXO 8.0을 이용한 Delft-3D 해수유동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개방경계조건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TPXO 8.0의 경우 격자영역에서 개방경계조건을 설정할 때 사용자가 경계조건에 포함될 격자 수를 지정하면 전체 격자경계에서 격자 수에 해당하는 만큼 경계를 나누어 개방경계를 지정하고 각 개방경계 위치에서의 분조별 조석조화상수값을 산출한다. 특히 격자 수에 따라 개방경계로 지정되는 정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경계를 다양하게 분배하여 개방경계를 지정한 후 수치모의에 적용하였다. 수치모의는 동해안 고리원전 인근을 대상으로 격자 생성 후 Delft Dashboard TPXO 8.0을 이용하여 전술된대로 다양한 개방경계조건을 생성하였고 이를 Delft-3D내 적용하여 해수유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각 개방경계 조건별 초기 수면 변위 분석 및 인근 조위관측소의 관측값의 비교를 통해 개방경계조건이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Damage Monitoring in Foundation-Structure Interface of Harbor Caisson Using Vibration-based Autoregressive Model (진동기반 자기회귀모델을 통한 항만케이슨 지반-구조 경계부의 손상 모니터링)

  • Lee, So-Ra;Lee, So-Young;Kim, Jeong-Tae;Park, Woo-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1
    • /
    • pp.18-25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the damage monitoring method in foundation-structure interface of harbor caisson using vibration-based autoregressive (AR)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following approaches are implemented. Firstly, vibration-based AR model is selected to monitor the damage in foundation-structure interface of caisson structure. Secondly, finite element analysis on a caisson structure model is implemented to evaluate the vibration-based damage monitoring method. Finally, vibration test on a caisson structure model is performed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vibration-based AR model method for foundation-structure interface of caisson structure.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bined scheme for Inter-cell Interference Avoidance and Power Control in LTE-Advanced Systems (LTE-Advanced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회피 및 전력 제어 결합 성능 분석)

  • Kim, Sang-Goo;Lim, Sung-Ho;Yoon, Dong-We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7 no.12
    • /
    • pp.39-44
    • /
    • 2010
  • In LTE-Advanced systems, every sector uses the entire range of the frequency resource, and when the UEs are located at a cell edge, user throughputs degrade due to the interferences from the adjacent cel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bined scheme for inter-cell interference avoidance and power control.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sectors consist of the right edge, the left edge and the center for resource allocation and we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to improve the user throughputs at the edge of each cell. Using a system level simulation, we analyze low 5th percentile and average user throughputs of the UEs who are located the cell, center and edge when the inter-cell interference avoidance and the power control are combined.

A Study on the River Zone Determination Method by River Type Based on 3D DSM Data (3차원 DSM 자료 기반 하천유형별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Lee, Tae Geun;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2-472
    • /
    • 2021
  • 우리나라는 하천법 제10조, 소하천정비법 제3조에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결정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하천구역 설정 시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 위치하는 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제방계획이 없거나 무제부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구간의 경우 하천법 제10조 3항에서 5항까지 3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계획하폭에 해당하는 토지, 댐·하구둑·홍수조절지·저류지의 계획홍수위 아래에 해당하는 토지경계, 철도·도로 등 제방의 역할을 하는 선형공작물 하심측 토지경계로 구분하고 있다. 하천구역의 경계설정의 경우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는 하천의 횡단측점 자료의 특성상 정확한 평면상의 경계를 파악하기 어렵고, 철도·도로 등 선형공작물 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이 상이하고 모호한 기준으로 인해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지방하천 대천천을 대상지로 설정하였으며,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홍수범람예상도를 작성하여 정밀계획홍수위선을 산출하고 이를 지형자료와 중첩하여 계획홍수위 경계를 추출하였다. 또한 무제부 구간 내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대상지 드론영상 기반 3차원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앞서 산정한 계획홍수위 경계자료와 중첩하여 정밀 하천구역을 설정하였다. 대상지 정밀 하천구역 산정 결과를 기반으로 도심지내 하천과 도시외곽 하천으로 구분하고 다시 도심지내하천은 암거(복개)구간과 개거구간, 도시외곽하천은 유제부와 무제부 구간으로 구분하여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천천유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제부 구간 하천구역 결정과정을 기반으로 하천유형별 3차원 하천구역 산정기법을 정립하였다. 향후 해당기법을 실무에 적용하여 하천구역 산정 시 모호한 하천경계부분 또는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하천구역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본계획 수립 시 해당 기법 적용을 통해 보다 정확한 하천구역 경계 수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utational Efficiency of Thermo-Elasto-Viscoplastic Damage and Contact Analyses by Domain/Boundary Decomposition Method (영역/경계 분할법에 의한 열탄점소성 손상 및 접촉 해석의 효율화)

  • Shin, Eui-Sup;Kim, Sung-Jun;Kim, Jong-Il;Seo, Young-Su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43-46
    • /
    • 2009
  • 열탄성 부영역, 열탄점소성/손상 부영역, 공유면, 접촉 공유면에 기반을 둔 영역/경계 분할법을 적용하여 재료 비선형성을 갖는 열탄점소성 손상 문제와 경계 비선형성을 갖는 접촉 문제의 효율적인 해석을 제안하였다. 영역 및 경계 분할에 관련된 공유면 및 접촉 공유면에서의 연속 구속 조건을 처리하기 위하여 간단한 벌칙 함수 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재료 및 경계 비선형성은 소수의 부영역과 접촉 경계면에서 계산되는 유한요소 행렬들에 국한된다. 따라서 적절한 해석 알고리듬을 구성하면 대폭적인 효율성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대변형과 같은 기하학적 비선형성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간단한 수치 실험을 통해서 열탄점소성 손상 및 접촉 해석의 효율성에 관련된 기본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Vibration Response Analysis of Caisson Structure-Foundation Interface using Forced Vibration (강제진동해석을 통한 케이슨 구조-지반 경계의 진동응답 분석)

  • Lee, So-Ra;Lee, So-Young;Kim, Jeong-Tae;Kim, Heon-Tae;Park, Woo-Sun;Yi, Jin-Ha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45-148
    • /
    • 2010
  • 항만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 기술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강제진동해석을 통하여 케이슨 구조-지반 경계부의 손상에 대한 진동응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 단계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케이슨 구조물의 진동특성 분석을 위해 시간영역기반의 AR(auto-regressive)모델을 선정하였다. 둘째, 모형 케이슨 구조물을 대상으로 진동응답 계측실험을 수행하였으며, AR-모델을 통해 진동특징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대상 케이슨 시스템의 유한요소모델을 구성하고, 구조-지반 경계부의 손상에 따른 동적응답 특성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강제진동을 모사 하였으며, 구조-지반 경계부의 강성변화에 따른 케이슨 구조물의 진동응답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cdot$북 Bismarck plate와 PACMANUS 열수에서의 천부지각 구조

  • 홍종국;이상묵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176-181
    • /
    • 2004
  • ${\cdot}$북 Bismarck 판은 호주판과 태평양 판 사이의 복잡한 판구조를 보이는 지역에 위치한다. 남${\cdot}$북 Bismarck 판 내부에서는 판구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 지진의 발생빈도가 높고 활성 및 비활성화산이 많이 존재한다. 한국해양연구원은 Bismarck 해의 서부지역과 동 Manus 분지에서 판 경계부의 구조 및 열수구조의 밝히기 위하여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결과에 의하면 남${\cdot}$북 Bismarck 판의 경계부에는 주향이동단층대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는 판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 PACMANUS 열수하부에는 돔 형태의 구조가 존재하며 이는 마그마 또는 이의 분화과정에서 형성된 지질학적인 구조로 추정된다.

  • PDF

Influence of Inlet Secondary Curvature on Hemodynamics in Subject-Specific Model of Carotid Bifurcations (환자 특정 경동맥 분기부 모델 혈류유동에 대한 입구부 이차곡률의 영향)

  • Lee,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1 no.5
    • /
    • pp.479-486
    • /
    • 2011
  • In image-based CFD modeling of carotid bifurcation hemodynamics, it is often not possible (or at least not convenient) to impose measured velocity profiles at the common carotid artery inlet. Instead, fully-developed velocity profiles are usually imposed based on measured flow rates. However, some studies reported a pronounced influence of inflow boundary conditions that were based on actual velocity profiles measur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which showing the unusual presence of a high velocity band in the middle of the vessel during early diastole inconsistent with a Dean-type velocity profile. We demonstrated that those velocity profiles were induced by the presence of modest secondary curvature of the inlet and set about to test whether such more "realistic" velocity profiles might indeed have a more pronounced influence on the carotid bifurcation hemodynamics. We found that inlet boundary condition with axisymmetric fully-developed velocity profile(Womersley flow) is reasonable as long as sufficient CCA inlet length of realistic geometry is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