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혼 만족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5초

사서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A Meta-Analysis of Librarians' Job Satisfaction Studies)

  • 노정순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3-296
    • /
    • 2008
  •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데이터로 간주하여 통계분석하는 메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사서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 27편으로부터 집단변수로는 남녀성별과 결혼유무, 종속변수로는 전체직무만족도와 7개 하위변수(직무자체, 급여, 승진, 감독, 근무환경, 사회적 인식, 자아실현)가 선정되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남녀간 사회적 인식과, 승진, 감독, 근무환경의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감독과 근무환경의 효과크기만 동질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질적으로 분석된 사회적 인식과 승진에 대해서는 랜덤효과분석을 추가로 수행한 결과 승진의 효과크기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여부에서는 직무자체와 급여, 자아실현의 효과크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이질적으로 판명된 직무자체의 효과크기는 랜덤효과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연구시기 (2000년전후)는 중재변수가 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rporate Culture & Job Satisfaction of Airlines' Flight Attendants)

  • 허명선;윤선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09
  •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은 상급자가 지시하기 전 스스로 일을 처리하는 능력 그리고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업무처리를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과 회사의 어려움을 허심탄회하게 얘기 할 수 있을 때 직무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은 연령, 결혼 여부, 직위 그리고 근무 년 수에 따라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직위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위는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근무기간은 4-7년의 경력을 가진 승무원의 직무만족이 낮은데 비하여, 8년 이상 근무한 승무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농촌여성결혼이민자들의 교육참여동자유형별 특성 및 교육만족도.교육 후 생활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It's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hange in Life in Married Immigrant Women)

  • 양순미;이은정;양정남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2호
    • /
    • pp.215-23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pact of it on the education satisfaction a positive change in life after the education according to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types in married immigrant women. By the regression,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types(${\beta}$=.16) affected on the women's the educati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but it's effect(${\beta}$=.16) on the a positive change in life through the education affected insignificantly. By the ANOVA analysis, the activity-oriented among the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types were highest in the level of education satisfaction,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age. By the logistic regression, only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ffected on the activity-oriented significantly.

남편 부모 및 부인 부모와의 지원 양상의 특징과 기혼 자녀의 결혼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EASS*2006 데이터를 이용한 한일 비교- (Intergeneration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and Japan: A comparative study using the EASS2006)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1호
    • /
    • pp.39-62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provided by husbands and wives to their parents and vice versa on marital satisfaction of grown-up children. The study consisted of 229 married men and 319 married women in Korea and 220 married men and 249 married women in Japan. EASS2006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Among Korean 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frequently offered financial support to their own parents and their spouse's parents. Among Korean fe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offered daily support to their own parents. Among males and fe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frequently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 husband's parents. In the case of Japanese males, scores for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who no provided daily support to their own parents and to their spouse's parents.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자녀관계와 결혼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박희경;윤갑정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3-261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ed of 237 mothers with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included that 1)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terms of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her monthly income in household, and job satisfaction when it came to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2)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 (positive a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gard to affective factors (negative a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3)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unted for 32.5% of subjective well-being. More specifically,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en it came to determining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ich is also a cognitive factor of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en it came to the affective factor of subjective well-being.

주부들의 허영심 및 결혼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n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 정미실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47-358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van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four aspects of clothing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8 housewives in Suwon and Seoul, and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reliabilit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ree factors of vanity were identified (concern for physical appearance, concern for achievement, and positive view of physical appearance/achievement). Based on these three factor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2) Three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relationship with husband, satisfactory life, and unsatisfactory life). Based on these three factor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aspects of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vanity clusters. 4)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 appeal of clothing according to the marital satisfaction clusters. In conclusion, vanity was an important variable to influence fashion, exhibitionism, body improvement, and sex appeal of clothing behavior. The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exhibitionism and body improvement for clothing behavior.

부부의 일상 스트레스와 공동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Couple's Daily Stress and Dyadic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 원수경;설경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13-82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daily stress and dyadic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al Model (APIeM). Methods: Participants were 314 couples who met the study's eligibility criteri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16 through apartment and cooperative company communities in Seoul. Two APIeMs of positive and negative dyadic coping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Mplus 7.4. All measures were self-administered. Results: Daily stress and positive and negative dyadic coping in both spouses had direct actor effects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Daily stress in both spouses had an indirect actor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ir positive and negative dyadic coping. The husband's daily stress had an indirect partner effect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his positive dyadic coping, while the wife's positive dyadic coping had a direct partner effect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e husband's daily stress had an indirect partner effect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his negative dyadic coping, while the wife's negative dyadic coping had a direct partner effect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 Dyadic coping is an effective way to deal with couple's daily hassles as it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marriage.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LMX 질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LMX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 김진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24-434
    • /
    • 2010
  • 한국의 직장인들이 느끼는 직무 스트레스는 87.8%로 OECD (평균 80%)국가 중 최고 수준이며,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69%로 OECD 평균(81)에도 크게 못 미치는 최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있어서 리더-부하의 교환관계(LMX; Leader-Member Exchange)가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과 전라도 지역의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상자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강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결혼여부와 직급에 따라서만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LMX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 요인으로 구성된 조직관련 내용 스트레스만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LMX 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직무재량권 관련 스트레스와 작업환경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LMX 질이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헤어미용업 종사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Hairdressing Business Work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on Job Satisfaction)

  • 우미옥;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04-1015
    • /
    • 2017
  •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직장인의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와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 Change and Leisure Satisfaction by Reduction of Working Hours of Office Workers)

  • 최태월;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47-53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의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와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는 남자는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활변화가 없는(42.4%)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는 개인만족 증대(54.7%)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소득은 200~300만원이 96.1%로 개인만족이 증대하였고 지역은 중소도시, 읍면지역에서 개인만족이 증대되었다. 둘째,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만족도는 월소득 300~400만원(43.6%)과 600만원 이상(39.1%)에서는 여가만족도가 다소 높았으나 성별, 연령, 학력, 가족원수, 결혼여부, 종사자 지위별, 지역에는 여가만족도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의 활성화는 개인적인 삶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여가만족이 생활변화에 있어 긍정적으로 전이되고 있어 여가 사회화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