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혼요인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24초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 영향 요인 연구 (Factors Contributing to Marital Stability of Disabled Women)

  • 양정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8-216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관련 요인, 경제 관련 요인, 건강 관련 요인, 그리고 부부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조사시점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여성장애인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총 12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수록, 자가에 거주할수록, 그리고 건강하고 우울감이 덜한 여성장애인일수록 결혼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련 요인에서 부부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가 높고, 부부 갈등과 배우자 음주가 적을수록 결혼안정성이 긍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결혼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책적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한국 여성의 결혼전이 시기에 미치는 결정요인 연구 - 1940, 50년대 코호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transition to Marriage of Korean Women)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252-261
    • /
    • 1994
  •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결혼전이 시기에 미치는 개인, 가족, 사회구조의 다차원적 요인의 영향력을 추정하려는 것이다. 총 634명의 1940, 50년대 코호트 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940년대 코호트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취업률이 낮고 가족주의 가치관이 높을 때 결혼을 늦게 하고 장녀인 경우에는 제 때에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50년대 코호트는 다른집단에 비해 성비와 취업률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을 때 결혼을 일찍하고 부의 직업이 하위적이고 결혼전 취업년수가 길 때 늦게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동향결혼의 변화추세와 결정요인: 실증분석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in Korea: Empirical Analysis)

  • 조동혁;박선권;성낙일
    • 한국인구학
    • /
    • 제34권3호
    • /
    • pp.109-138
    • /
    • 2011
  • 우리나라에서 '동향'은 배우자의 선택에서 주요 요인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993년~2009년 기간의 통계청 혼인통계자료를 사용해 우리나라 동향결혼의 변동추세와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동향결혼 선택확률에 영향을 미친 각종 요인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동향결혼은 여전히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동향결혼은 해당 지역에서의 인구이동 및 구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특히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은 타향출신의 결혼 후보자를 접할 기회를 증가시켜 동향결혼비율의 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자신과 비교해 결혼 상대자의 소득이 더 커질수록 동향결혼을 선택할 가능성은 감소했다. 이는 배우자의 선택에서 동향요인이 약화되고 있는 데에는 경제적 요인도 작동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방대한 원시자료에 기초해 우리나라의 동향결혼 현상을 실증적 관점에서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분야 진입 결정요인 (The Factors Affecting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to the Professional Field)

  • 김복태;최천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64-272
    • /
    • 2020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인력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여,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분야 진입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동시장의 불균형을 제도적, 구조적 요인측면에서 찾는 노동시장분절이론에 바탕을 두고, 농촌지역 여성결혼이민자가 관리자나 전문가 직종으로 진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 관계 요인, 문화적 적응 요인, 정책적 지원 경험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 요인, 문화적 학습 요인, 그리고 정책적 지원 경험 요인은 모두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 관리자나 전문가 직종으로 진입하는데 통계적으로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의 활성화와 언어능력을 포함한 문화적 학습 역량의 강화, 나아가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 분석 -호텔 예식 연회, 일반예식장, 종교 결혼식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wedding servicescape color combination image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hotel banquet hall, general wedding hall and sanctuary-)

  • 김경희;조미나;양일선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73-82
    • /
    • 2011
  • 본 연구는 결혼 예식장 종류에 따른 서비스스케이프 배색 이미지를 호텔 예식 연회, 일반 예식장, 종교 결혼식장 간에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 20~39세 4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였고 31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WIN 17.0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t-test, 분산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는 경쾌함, 고상함, 은은함의 3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크론바하 알파값이 조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0.7 이상을 나타내어 적합하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 분석 결과, '깨끗한'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온화한' 3.50, '은은한' 3.38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결혼식장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배색 이미지 중 '경쾌함' 요인은 일반 예식장이 3.00, '고상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 3.64, '은은함' 요인은 호텔 결혼식장에서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식장 배색 이미지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차이 분석 결과, 성별, 결혼 유무, 한달 총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결혼식장 색채 마케팅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culturation Type and Life's Satisfaction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 전리상;조홍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7-284
    • /
    • 2019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문화적응 유형을 파악하고, 이 유형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적응유형을 동화 요인, 변화 요인, 주변화 요인, 분리 요인 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응유형들 중 통합 요인, 동화 요인 등이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분리 요인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나라에 잘 적응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 친구 등과의 교류장치 개발, 또한 한국 사람들과 어울릴 기회 확대, 한국 사람들의 친근한 처우와 교류 촉진 등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에서의 거시적 정부정책도 동화주의 정책 보다는 다문화주의를 지향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는 표본의 지역적 한계,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 변수의 한계, 횡단적 연구로의 한계 등으로 앞으로는 더 폭넓고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 영향 요인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Marriage of Undergraduate with Institutional Background)

  • 정선욱;이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62-3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와 결혼 태도 영향요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은 발달단계상 성인이행기에 있으며, 이 발달단계에서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는 친밀하고 낭만적인 관계 맺기, 결혼의 선택이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결혼 이슈를 결혼 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국의 양육시설과 자립생활관의 협조를 받아 총214명의 대학 진학 시설보호 청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연구 결과, 이들의 결혼에 대한 태도는 대체로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결혼을 외로움을 해소시켜주는 바람직하고 좋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경제 수준, 자아정체감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 하위3요소 가운데 자기 수용성, 즉 자신감과 자신을 신뢰하는 정도가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보호 청년의 자립 과정에서 결혼 이슈를 고려하는 것의 필요성과 의의, 결혼이 실질적인 자립 지원책으로 기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이주여성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 긍정심리자본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승미;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9-123
    • /
    • 2021
  •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2019년 11월 1일)를 기준으로 발표한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을 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은 2,216,612명으로 지난해인 2018년 2,054,621명에 비해 161,991명(7.9%)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51,850,705명) 중 4.3%에 해당하며, 외국인 주민 최초 조사 연도인 2006년 536,627명과 비교했을 때 4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이민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가 생각해야 할 점은 그동안 다문화 관련 정책적 환경이 급변하였을 뿐 아니라, 환경적 변화에 맞게 정책의 변화도 지속해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양적 증가뿐 아니라, 거주 기간도 장기화되면서 초기 적응이라는 정책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새로운 정책 요구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는 것은 향후 다양한 다문화 정책 수립 및 창업, 경제활동 활성화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선행연구는 주로 북한이탈주민 및 다문화 이민자의 문화지능 또는 사회체제 등이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초점을 두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주민의 창업 의지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해 보는 데 있는데, 해당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개인적 특성(기업가정신)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기회 인식'과 긍정심리자본 특성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 등을 선정하였다. 해당 요인들을 바탕으로 수도권에 거주 중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로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 다중회귀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한국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견해 영향요인: 2012 사회조사 기반 (Factors Affecting Opinions on Marriage of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in Korea: Based on 2012 Social Survey)

  • 이성희;권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06-616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2년 사회조사 자료 중 30대 미혼여성 529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는 SPSS Ver. 20.0을 이용하여 ${\chi}^2$ test와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연령(Exp(b)=.90,p=.025), 이혼에 대한 견해(Exp(b)=3.81,p<.001), 재혼에 대한 견해(Exp(b)=3.09,p=.001) 그리고 결혼관(Exp(b)=.80,p<.001)이 결혼견해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30에서 34세 미혼여성과 35에서 39세 미혼여성간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는 경제 활동 여부(Exp(b)=19.58,p=.003)였다 연구결과는 가족과 결혼가치관 교육과 경제활동을 하는 35세에서 39세 미혼여성의 결혼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 저출산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성에 대한 이중기준이 결혼 만족과 결혼 안정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ouble Sexual Standar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 정기원;성한기
    • 한국인구학
    • /
    • 제29권1호
    • /
    • pp.71-95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결혼 만족과 결혼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실증 분석하였으며, 특히 성에 대한 이중 기준이 결혼 만족과 결혼 안정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이 단계 군집표집에 의해 선정된 370명의 기혼 여성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부간의 상호소통, 친밀성, 성적 만족을 분석에 포함시켰으며, 결혼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경제활동 여부, 가구 소득 수준 결혼 만족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그리고 성에 대한 일반적 태도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자를 성에 대한 단일 기준 집단과 이중 기준 집단으로 나누었다. 분석의 결과는 부부간의 상호 소통과 친밀성은 결혼 만족에 영향을 미치나, 성적 만족은 결혼 만족과 관계가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결혼 만족과 결혼 안정은 매우 높은 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성에 대한 이중 기준이 결혼 만족과 결혼 안정의 관계 수준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