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결합강도

검색결과 1,843건 처리시간 0.028초

증기양생이 플라이애쉬콘크리트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Strength Development of Flyash Concrete in Steam Curing)

  • 이진용;배성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108
    • /
    • 1998
  •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하는 플라이애쉬(0, 10 , 30 ,50 %)를 혼입한 콘크리트의강도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각각 21$^{\circ}C$에서 수중양생과 85$^{\circ}C$에서 증기양생방법을 채택하여 실험하였다. 수중양생한 보통 콘크리트는 플라이애쉬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조기재령에서는 낮게 강도발현을 하였으나. 28일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물.시멘트비를 변화한 배합비(결합재량 증가)의 실험결과는 조기강도발현이 향상되었다. 특히 플라이애쉬를 30%혼입한 콘크리트는 우수하게 강도발현을 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28일 압축강도를 갖는 배합비(결합재량 증가)에서 증기양생한 플라이애쉬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보다 강도발현이 비슷하거나 향상되었으며, 양생온도는 플라이애쉬콘크리트의 강도발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글라스 용융침투 처리가 지르코니아와 초저온 소성 도재와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ass-infiltration treatments on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ultra low-fusing porcelain veneer)

  • 임은경;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69-277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글라스 용융침투 처리가 지르코니아와 초저온 소성 전장도재와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표면처리 방법에 따라 대조군 (처리 안함), ZirLiner처리군 (ZL군), 글라스 용융침투처리군 (ZG군), 글라스 용융침투 후 Sandblasting 처리군 (ZGS군)으로 분류하였다 (n = 12). 모든 실험군은 초저온 소성 전장도재를 사용하여 지름 6 mm ${\times}$ 두께 3 mm가 되도록 축성하고 소성하였다. 지르코니아와 전장도재 사이의 결합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지르코니아 시편의 결합계면, 도재파절 양상은 SEM과 EDX로 관찰하였다. 결과: 지르코니아 표면처리 방법에 따라 전장도재와의 결합강도가 ZirLiner군, 대조군, 글라스 용융침투군 순으로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5). 글라스 용융침투 후 Sandblasting 처리군은 다른 모든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P < .05). 결론: 글라스 용융침투 지르코니아의 Sandblasting처리는 초저온 소성 전장도재와의 현저한 결합력 감소를 야기시키므로 사용이 제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PP-ACP 적용이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PP-ACP PRE-TREATMENT ON BOND STRENGTH OF A SEALANT)

  • 공은경;정상혁;마연주;안병덕;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45-452
    • /
    • 2010
  • 최근 CPP-ACP의 초기 우식증의 재광화 및 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CPP-ACP 적용으로 인한 법랑질 산부식 저항성 증가가 치면열구전색제 접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PP-ACP의 치면 도포 여부와 치면열구전색제의 접착 방법의 차이가 법랑질과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미세전단결합강도 측정법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전한 제3대구치를 사용하여 15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6군으로 나누었다. 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35% 인산 산부식 I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35% 인산 산부식 + 접착제 III군: 인공타액에 2주 보관 후 자가 부식 접착제 IV군: CPP-ACP 2주 적용 후 35% 인산 산부식 V군: CPP-ACP 2주 적용 후 35% 인산 산부식 + 접착제 VI군: CPP-ACP 2주 적용 후 자가 부식 접착제 6군의 시편에 치면열구전색제 접착 후 미세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PP-ACP 적용은 전통적인 산부식 방법으로 치면열구전색제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결합강도와 산부식 양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자가 부식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치면열구전색제의 결합강도를 약화시켰다.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이 포스트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ING METHODS OF RESIN CEMENTS ON BOND STRENGTH AND ADHESIVE INTERFACE OF POST)

  • 김문홍;김혜정;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03-11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종의 이원중합 레진시멘트 (RelyX ARC와 Variolink II)를 이용하여 접착제와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 (자가중합과 광중합)이 섬유포스트와 근관 상아질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단근관을 갖는 발거된 32개의 하악 소구치에 근관을 충전한 후, FRC Postec system의 Reamer로 9 mm 깊이의 포스트 공간을 형성하였다. 레진시멘트의 종류와 중합방법에 따라 4개의 군 (R-SC군, R-LC군, V-SC군, V-LC군)으로 분류하였다. 포스트 공간에 각 군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레진시멘트를 주입하고, No. 3 FRC Postec 포스트를 위치시켜 자가중합 또는 광중합시켰다. 각 군의 치근을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동안 보관한 다음, 저속의 diamond wheel saw를 이용하여 치관부에서 치근단부를 향해 1.5 mm두께로 연속적으로 횡절단하여 1개의 치근에서 3개의 절편을 얻었다. 각 군의 절편 (31개)은 만능시험기에서 push-out 검사를 시행하였고, 각 군의 강도 값은 반복측정 two-way ANOVA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각 군의 절편 (3개)은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섬유포스트, 레진시멘트 및 치근 상아질 간의 계면을 관찰,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 부식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섬유포스트를 포스트 공간에 합착할 경우, 접착제와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은 근관 상아질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광중합보다 자가중합 방법 이 우수한 결합강도와 계면을 나타내었다.

화학적 표면처리에 따른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 간의 전단 결합강도 (Effects of chemical surface 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denture reliners and denture base resin)

  • 최에스더;권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45-5751
    • /
    • 2013
  • 본 논문은 monomer에서 결합증진에 많은 역할을 하는 MMA와 TEGDMA의 농도별 표면 처리와 silane coupling agent로 표면 처리한 것이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간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치상 레진에 MMA와 TEGDMA의 농도별 표면 처리와 silane coupling agent로 표면처리 후 이장재를 주입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MMA와 TEGDMA의 농도별 표면 처리에 따른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간의 전단결합강도에서는 Vertex self curing resin에서 95%, 90%, 80%, Kooliner에서는 95%, 90%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silane coupling agent 5%로 표면 처리한 그룹이 Vertex self curing resin과 Kooliner 모두에서 전단결합강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적절한 화학적 표면 처리는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간의 결합력 증가에 영향을 미치리라 사료된다.

광중합 Glass Ionomer Cement와 Amalgam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 STRENGTHS OF LIGHT-CURING GLASS IONOMER CEMENTS TO DENTAL AMALGAM)

  • 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7-364
    • /
    • 1996
  • 소아치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3 종의 광중합형 GIC의 아말감에 대한 접착능을 평가 할 목적으로 60 개의 아말감 부착시편을 이용하여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 의 사용여부에 따른 경화된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 GIC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경계부의 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말감에 대한 광중합형 GIC의 전단강도는 Fuji II LC, Vitremer, Vitrebond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중간결합제인 Scotchbond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Scotchbond 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결합파절면은 Scotchbond를 사용한 경우의 대부분에서 Scotchbond와 아말감의 경계부에서 시편의 탈락이 나타났다. 아말감과 광중합 GIC의 결합을 시도할 경우에는 Scotchbond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Bonding agent의 종류 및 적용 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onding Agent and Application Methods o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 이재희;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9-426
    • /
    • 2017
  • 맹출 장애 치료를 위해 교정력을 이용한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시행하며, 이 과정 중 여러 원인에 의해 부착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부식 레진 접착 시스템과 자가 산부식 접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평가해보고, 접착 과정 중, 프라이머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생략하여 시간 절약이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사람의 상악 전치부 40개 치아를 대상으로 I군과 II군은 산부식 후 프라이머로 Transbond$^{TM}$ XT Light cure Adhesive primer를 적용 하였으며 III군과 IV군은 Transbond$^{TM}$ Plus Self Etching primer을 적용 하였다. I군과 III군은 제조사의 지시 사항대로, II군과 IV군은 접착제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줄여 부착을 시행하였다. 그 후 전단결합강도와 접착제 잔류 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전단결합강도는 I군, II군, III군 그리고 IV군 순으로 컸으며 대조군인 I군과 실험군 간에만 유의차가 있었다(p < 0.05). ARI 지수는 I군, III군, IV군 그리고 II군 순으로 대조군에서 치면과 레진 사이의 결합력이 컸다. 대조군이 유의하게 전단결합강도가 높았으나 다른 군에서도 임상적으로 유용한 전단결합강도를 가진다.

간접부착술식시 치면과 레진 베이스의 간격 및 접착제에 따른 결합강도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Adhesive Type and the Distance Between Enamel Surface and Resin Base in Indirect Bonding)

  • 서미영;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9-465
    • /
    • 2001
  • 본 연구는 브라켓 간접부착술식시 치면과 레진 베이스의 간격 및 접착제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함으로써 브라켓 간접부착의 접착제로서 호제(paste)형 레진 병용의 타당성 여부를 평가해보고자 시행되었다. 소의 하악 중절치 12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대조군의 경우 접착제로 실런트만을 사용하는 반면 실험군의 경우 실런트와 호제형 레진을 병용하여, 치면과 레진 베이스 간의 간격이 0.0, 0.2,또는 0.4 mm가 되도록 접착한 다음 만능물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치면과 레진 베이스 간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두 군 모두에서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치면과 레진 베이스 간의 간격이 0.0 mm인 경우 양 군 간의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치면과 레진 베이스 간의 간격이 0.2, 0.4 mm인 경우 실런트와 함께 호제형 레진을 병용한 경우의 전단결합강도가 실런트만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브라켓 간접부착술식시 치면과 레진 베이스 간의 간격이 의심될 경우 브라켓 간접부착의 접착제로서 실런트만 단독 사용하는 것보다 호제형 레진을 병용하는 것이 유리함을 시사하였다.

  • PDF

저온열화현상이 지르코니아 코어와 전장도재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ow Temperature Degradation on Bond Strength of Yttria-Stabilized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 Core to Veneering Ceramic)

  • 김기백;김재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4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심미보철물 제작에 널리 사용되는 지르코니아의 저온열화가 수복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디스크 형태의 시편을 각각 7개씩 제작한 후 전장도재를 축성하여, ISO 13356 규격에 의거한 조건으로 고압증기 멸균기에 저온열화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3, 5, 10시간 동안 수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제한된 조건하에 시행된 실험을 통해 전단결합강도를 확인하였으며, 측정 후 파절양상을 관찰 하였다. 저온열화 처리 전후의 시편에 대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는 각 실험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10시간을 저온열화 처리한 시편이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로 나타났으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전단결합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파절 양상으로 저온열화 처리를 하지 않은 시편에서 응집성 파절을 보였으며, 저온열화 처리가 길어질수록 혼합형 파절 경향으로 전환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저온열화 현상이 진행될수록 지르코니아 코어와 전장도재 간의 결합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토대로 치과용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 제작과정과 환자에게 장착 후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저온열화 현상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namel Microabrasion을 시행한 법랑질과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ENAMEL FOLLOWING ENAMEL MICROABRASION)

  • 홍기상;이상대;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3
    • /
    • 2000
  • Enamel microabrasion은 염산과 연마제를 사용하여 치아의 착색을 제거하는 술식으로서, 그 효과는 법랑질 표층에 국한된다. Enamel microabrasion으로 모든 착색이 치료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착색이 깊을 경우에는 microabrasion 후에도 제거되지 않고 남은 착색부위를 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해 수복할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enamel microabrasion의 방법과 시간이 법랑질에 대한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을 1군으로 하였고, 18% 염산과 fine pumice의 혼합물을 hand applicator로 치면에 5초씩 5, 10회 적용시킨 것을 각각 2, 3군으로 하였다. 10% 염산과 연마제의 혼합물인 기성품 PREMA를 10 : 1 gear reduction handpiece로 20초씩 5, 10회 적용시킨 것을 각각 4, 5군으로 하였다 여기에 37% 인산으로 부식 후 복합레진을 결합시켜 thermocycling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군이 가장 높은 결합강도$(24.36{\pm}3.34MPa)$를 나타내었고, 3군이 가장 낮은 결합강도$(19.35{\pm}3.43MPa)$를 보였다. 전단결합강도는 2>4>5>1>3군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2. 2군은 1군과 3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3. 염산과 pumice로 enamel microabrasion을 시행한 2, 3군과 PREMA를 사용한 4, 5군 사이에는 유의한 결합강도의 차이가 없었다(p>0.05). 4. 파절면 검사에서, adhesive failure는 3, 4군에서 나타났고, cohesive failure는 1, 2, 3, 4군에서 관찰되었다. 5군에서는 mixed failure만이 관찰되었다. 5. SEM 관찰에서, 염산과 pumice로 enamel microabrasion을 시행한 2, 3군에서는 인산으로 부식한 것과 비슷한 표면 양상이 관찰되었고, PREMA로 처리한 4, 5군에서는 1군과 흡사한 매끈한 표면양상이 관찰되었다. 각 군의 시편을 인산으로 부식시킨 다음에는 전형적인 산부식 후의 표면양상이 관찰되었고, 군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