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함 영상화

Search Result 2,56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he Crowd Activity Analysis based on Perspective Effect in Network Camera (네트워크 카메라 영상에서 원근감 효과를 고려한 군집 움직임 분석)

  • Lee, Sang-Geol;Park, Hyun-Jun;Cha, Eu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15-418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moving objects detection, analysis and expression how much move as numerical value from the image which is captured by a network camera. To perform this method, we process few kinds of pre-processing to remove noise that are getting background image, difference image, binarization and so on. And to consider perspective effect, we propose modified ART2 algorithm. Finally, we express the result of ATR2 clustering as numerical value. This method is robust to size of object which is changed by perspective effect.

  • PDF

A Binarization Algorithm Using Fuzzy Method (퍼지 기법을 이용한 이진화 알고리즘)

  • Woo, Young-Woon;Youn, Sang-Won;Byeon, Sang-Hyu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311-313
    • /
    • 2011
  • 대부문의 이진화 알고리즘은 임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여 밝기분포를 분석한다. 배경과 물체의 명도차이가 큰 경우에는 분할을 위해 양봉(bimadal)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여 최적의 임계치를 찾기 위해 히스토그램 골짜기(valley)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양호한 임계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배경과 물체의 밝기 차이가 크지 않거나 밝기 분포가 양봉 특성이 보이지 않을 때는 히스토그램 분석만으로 적절한 임계치를 얻기 어렵다. 그리고 한 영상에서는 넓은 영역에 걸쳐 명암도 변화가 일어나고 다양한 유형의 물체가 있을 때 스케치 특징점의 유무를 판별하는 임계치의 결정에는 애매모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 대한 삼각형 타입의 소속함수를 적용하여 임계치를 동적으로 설정하고 영상을 이진화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퍼지 이진화 알고리즘은 원 영상을 특정 크기의 윈도우로 나누어서 윈도우의 소속 함수에 대한 소속도를 구하여 영상을 이진화한다. 다양한 영상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이진화 기법보다 제안된 퍼지 이진화 알고리즘이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X-ray 시스템의 구성 및 TSV (Through Silicon Via) 결함 검출을 위한 응용

  • Kim, Myeong-Jin;Kim, H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08.1-108.1
    • /
    • 2014
  • 제품의 고성능 사양을 위해 초미소 크기(Nano Size)의 구조를 갖는 제품들이 일상에서 자주 등장한다. 대표 제품은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반도체 칩이다. 반도체 칩 소자 구조는 크기를 줄이는 것 외에도 적층을 통해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를 하고 있다. 복잡한 구조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반도체 결함 중에 TSV 결함은 현재 진화하는 반도체 칩의 구조를 대변하는 대표 결함이다. 이 결함을 효율적으로 검출하고 다루기 위해서는 초미소 크기(Nano Size)의 결함을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가시화하고 분석하는 장비가 필요하다. X-ray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는 훌룡한 한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X-ray 시스템의 구성 및 위의 TSV 결함을 검출하고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의 특징에 대해 설명을 한다. X-ray 시스템은 크게 X선을 발생시키는 X선튜브와 대상 물체를 투과한 X선을 영상화하는 디텍터, 대상물체의 영상화를 위해 물체를 적절하게 구동시키는 이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초미소크기(Nano Size)의 결함 검출을 위해서는 X선 튜브, 디텍터, 이동장치에 요구되는 사양의 복잡도, 정밀도는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을 어렵게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 시에 시스템 핵심 요소의 특징을 분석한다.

  • PDF

Similarity between Color Distributions based on Different Color Sets (상이한 칼라집합 기반의 칼라분포간 유사도)

  • 김동균;김성영;김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41-144
    • /
    • 2002
  • 영상에서의 칼라분포 정보는 영상간의 유사성을 표현하는데 매우 유용하여 내용기반 영상검색분야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각 영상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비)균일하게 양자화하여 표현한 칼라 히스토그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영상에 대하여 동일한 개수의 고정된 양자화를 통해 칼라분포 정보를 표현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과 성능 차이가 있어 다양한 해결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양자화 방법으로 각 영상의 칼라분포 정보를 표현하되, 상이한 양자화 칼라간의 유사도를 정의하여 칼라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방법과 유사하게 영상간의 칼라분포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양자화 칼라간의 유사도는 거리에 반비례하면서 두 양자화 칼라의 작은 빈도값에 비례하도록 정의하였다. 영상간의 칼라분포 유사도는 칼라 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방법을 생산자-소비자 모델로 해석하여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 의해 기존의 칼라 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방법보다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Cataract Extraction of Pet Image by Using ART2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애견 영상에서의 백내장 추출)

  • Choi, Myung-Jun;Kim, Min-Seok;Kim, Kwang-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500-50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애견 안구 영상에서 백내장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애견 안구 영상에 퍼지 스트레칭 기법을 적용하여 픽셀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을 조정한다. 퍼지 스트레칭 기법이 적용된 영상에 ART2 기법을 적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한다. 양자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영상에서 침식과 팽창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의 픽셀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타원 형태를 가진 객체 중에서 전체 영상 크기의 1/5보다 적은 객체를 잡음으로 간주하여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영상에서 8방향 윤곽선 추적 기법을 적용하여 백내장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백내장 영역을 히스토그램으로 시각화 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히스토그램으로 시각화하여 분석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백내장 추출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ew Moving Picture Decoding Process using Picture Resemblance (닮은꼴을 이용한 새로운 동영상 디코딩 처리방법)

  • Jin, Hyun-Soo;Han, Ku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626-62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 Group 2)비디오 디코더에서 영상데이타를 디코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동여상 처리기에서는 허프만 코드화 처리를 하여 정지영상을 부호화한 후 분할기반 부호화 방식의 동영상 처리기법을 사용하였으나 1프레임의 코드화시에도 많은 계산 알고리즘이 필요하고 이미지의 닮음정도를 객관적수치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비슷한 이미지를 중복 코드화 작업 및 전송 작업을 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눈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닮음정도를 수치화하고 기준값 이하의 영상은 코드화 작업을 하지않고 계산된 영상 변화값에 의해 구현된 영상으로 대체하여 저장 및 전송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전혀 거부감이 없는 동영상을 구현하였다.

  • PDF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etal Artifact Reduction Based on Sinogram Normalization in 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영상에서 사이노그램 정규화를 이용한 금속 영상왜곡 저감 방법의 이론적 고찰)

  • Jeon, Hosang;Youn, Hanbean;Nam, Jiho;Kim, Ho Kyung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4 no.4
    • /
    • pp.303-314
    • /
    • 2013
  • Image quality of computed tomography (CT) is very vulnerable to metal artifacts. Recently, the thickness and background norma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Since they provide flat sinograms, it is easy to determine metal traces and a simple linear interpolation would be enough to describe the missing data in sinogram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theory describing two normalization methods and compared two methods with respect to various sizes and numbers of metal inserts by using simple numerical simulations. The developed theory showed that the background normalization provide flatter sinograms than the thickness normalization, which was validat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with respect to various sizes and numbers of metal inserts showed that the background normalization was better than the thickness normalization for metal artifact corrections. Although the residual artifacts still existed, we have showed that the background normalization without the segmentation procedure was better than the thickness normalization for metal artifact corrections. Since the background normalization without the segmentation procedure is simple and it does not require any users' intervention, it can be readily installed in conventional CT systems.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light weight high efficiency shield for gamma-ray imaging detector (감마선 영상화 장치용 경량 고효율 차폐체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 Park, Gang-teck;Lee, Nam-ho;Hwang, You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773-774
    • /
    • 2016
  • In this study, we perform the weight reduction and miniaturization of the shielding element that is applied for gamma-ray detectors for imaging of gamma-ray source. Through previous studies, we implemented a lead-based shielding element that represents the shielding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of commercially available gamma-ray imaging apparatus similar to the shielding body. In this paper, we designed a tungsten-based shield for weight reduction and miniaturization than lead-based shield. We performed the MCNP simulation for shield design and then we obtained the results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17% and 51% of the volume.

  • PDF

A Step-by-Step Approach for Joint Learning of Image Super-Resolution and Inpainting (이미지 초해상화 및 인페인팅 합동 학습을 위한 단계적 처리 모델)

  • Son, Chaeyeon;Kim, Soo Ye;Kim, Hee Kwon;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39-14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꾸준히 연구되어 오던 이미지 복원 문제에서 초해상화와 인페인팅이라는 복합적 이미지 복원을 동시에 처리하는 해결 방법을 제안한다. 초해상화는 국지적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영상을 복원하고, 인페인팅은 이미지 전체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 내 비어 있는 영역을 생성해야 하므로, 이러한 두 가지 영상 복원 기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렇기에 인페인팅과 초해상화는 이미지 복원에서 널리 활용되는 기술인 만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수요는 있음에도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초해상화 및 인페인팅 합동 처리에 있어 복합적인 정보를 모두 다뤄야하는 네트워크가 서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개략적 복원 네트워크 (Coarse network), 디테일 복원 네트워크 (Refinement network), 초해상화 네트워크 (SR network)로 분리하여 초해상화 및 인페인팅 합동 처리를 수행하며, 각 단계마다 결과 영상을 얻어 스케일 별 정답 영상과 손실함수를 계산하여 복합적인 성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순차적 단일 모델에 비하여 인페인팅과 초해상화를 합동 학습하는 제안 모델이 개선된 화질의 결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보인다.

  • PDF

Block Adaptive Binarization of Business Card Images Acquired in PDA Using a Modified Quadratic filter (변형된 Quadratic 필터를 이용한 PDA로 획득한 명함 영상의 블록 적응 이진화)

  • 신기택;장익훈;김남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6C
    • /
    • pp.801-814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ock adaptive binarization (BAB) using a modified quadratic filter (MQF) to binarize business card images acquired by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cameras effectively. In the proposed method, a business card image is first partitioned into blocks of 8${\times}$8 and the blocks are then classified into character Hocks (CBs) and background blocks (BBs). Each classified CB is windowed with a 24${\times}$24 rectangular window centering around the CB and the windowed blocks are improved by the pre-processing filter MQF, in which the scheme of threshold selection in QF is modified. The 8${\times}$8 center block of the improved block is barbarized with the threshold selected in the MQF. A binary image is obtained tiling each binarized block in its original posi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QF and the BAB have much better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binarization compared to the QF and the global binarization (GB), respectively, for the test business card images acquired in a PDA. Also the proposed BAB using MQF gives binary images of much better quality, in which the characters appear much better clearly, over the conventional GB using QF. In addition, the binary images by the proposed BAB using MQF yields about 87.7% of character recognition rate so that about 32.0%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those by the GB using QF yielding about 55.7% of character recognition rate using a commercial character recognition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