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과재현성

Search Result 2,82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of hybrid stochastic model for rainfall generation considering rainfall inter-annual variability (연간 강우 변동성을 고려한 혼합 추계 강우 생성 모형의 개발)

  • Park, Jeong Ha;Kim, Dong 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시간부터 1년 단위의 강우 특성들을 잘 모의하는 혼합 추계 강우 생성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가상 강우 생성 과정은 4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단계에서 Seasonal ARIMA 모형을 통하여 시계열 특성을 반영한 월 강우를 생성한다. 두 번째 단계는 생성된 월 강우에 해당하는 일 단위 이하의 강우 통계치 세트를 생성하는 것이며, 통계치간 상관관계를 통해 평균, 표준편차, 자기상관 계수, 무강우 확률을 생성한다. 생성된 통계치 세트는 세 번째 단계에서 Modified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MBLRP) 모형의 6개의 매개변수를 보정하는데 사용되며, 마지막으로 MBLRP 매개변수 세트를 통해 가상 강우 시계열을 생성한다. 위 모형을 통해 미국 동부 지역 29개 강우 관측소에 대하여 200년 길이의 가상 강우를 생성하였으며, 그 결과 시 단위부터 연 단위까지 강우의 1차, 2차 통계치 및 무강우 확률을 성공적으로 재현하였다. 또한 기존 MBLRP 모형에 비하여 극한 강우 사상을 재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빈도분석 결과를 통하여 MBLRP 모형이 재현기간에 따라 10%에서부터 40%까지 극한 사상을 과소 추정한 반면, 본 모형에서는 20% 이내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The Validity of Head Posture Aligner in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Kim, Eun-Hee;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0 no.5 s.82
    • /
    • pp.543-552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posteroanterior(PA) cephalograms obtained by two methods, the Head Posture Aligner(HPA) method in natural head posture and the conventional method(operator-guided method), and to compare the vertical rotational differences of the head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according to the method. The sample was consisted of 30 adults. At first day, a PA cephalogram and a lateral cephalogram were obtained from each subject by two method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Two weeks later, another PA cephalogram was obtained using each method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head posture. Five height measurements and nine width measurements were used in the paired t-test to compare the reproducibility of the PA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two methods. The differences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were calculated from a computer program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us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eight measurements obtained by operator-guided meth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and revealed low reproducibility. 2. Height measurements obtained by HPA metho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and presented high reproducibility. 3. In the comparison of width measurement, two methods did not show distinct differences in reproducibility. 4. The difference of vertical rotational posture between lateral and PA cephalograms showed $0.8^{\circ}$ in the HPA method, more less than $2.5^{\circ}$ in the operator-guided metho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HPA may be helpful in the PA cephalometric radiography in terms of reproducibility.

  • PDF

A study on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Models: Comparison and Improvement (보행자-차량 충돌사고 재현모형 비교분석 및 개선 연구)

  • Jo, Jeong-Il;O, Cheol;Kim, Nam-Il;Jang, Myeong-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4
    • /
    • pp.69-77
    • /
    • 2007
  • This study presents comparison results for pedestrian accident reconstruction models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ision speed and horizontal distance that a body travels while falling and sliding. A set of 49 reliable pedestrian accident cases are applied to compare the existing reconstruction models. In addition, the authors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t of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effects of the frontal shape of a vehicle on the horizontal distance a pedestrian travels while falling and sliding.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length of the bumper is the most dominant factor to affect the horizontal distance of pedestrian travel after collision. Further analyses utilizing more accident data need to conducted to develop a more accurate and reliable reconstruction model.

Comparison of the replicability of centric relation registration techniques using Arcus Digma (Arcus Digma를 이용한 하악 중심위 유도방법에 따른 하악위의 재현성에 관한 비교 연구)

  • Lim, Hyun-Pil;Cho, Young-Eun;Park, Sang-Wo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5 no.3
    • /
    • pp.201-21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plicability of centric relation made by means of self guided method, bimanual manipulation, chin-point guidance, leaf gauge method, gothic arch tracing. The EPA test of Arcus $Digma^{(R)}$ was employed for examining the reproducibility of centric relation. 10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limitation of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Condyle posi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methods of guiding centric relation. Left and right temporomandibular joints showed a little different degree of repeatability. Bimanual manipulation using anterior jig was the most replicable. Chin point guidance provided the second most repeatable method, and Gothic arch tracing showed the third, the leaf gauge was the forth, the self-guided method was the worst.

Study for Construction of Annual Maximum Storm Event Series from Chukwooki Rainfall Records (측우기자료의 연최대 호우사상 구축에 관한 연구)

  • Yoo, Chul-Sang;Park, Mi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74-278
    • /
    • 2008
  • 현대 강우관측 자료를 빈도분석할 때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 관측기간이 짧기 때문에 고빈도 확률강우량 추정이나 장기간의 경향성 예측시 신뢰성 부족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대 강우자료의 문제점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측우기 관측기록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의 결정을 위해서는 연최대치 계열의 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측우기 강우자료는 강우시작시점과 종료시점 그리고 그 사이의 강우량으로 구성된 펄스 형태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하려면 전통적인 빈도해석 방법과는 다르게 독립호우사상을 적절하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립호우사상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무강우지속기간 10시간을 기준으로 측우기 관측기록과 현대 관측기록으로부터 이를 추출한 후 총강우량과 강우강도 두 가지를 대상으로 이변량 지수분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각 호우사상의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연도별로 최대 재현기간을 가지는 호우사상을 연최대 호우사상으로 결정하였다. 이변량 지수분포의 매개변수 산정시 전기간에 대해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경우보다 연도별로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경우가 강우발생의 변동양상 및 수문학적인 극한호우의 정의를 반영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고 또한 그로 인해 얻어진 연최대 호우사상이 이변량 극치분포를 보다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매개변수 추정결과를 우기해와 건기해로 나누어 살펴보면 우기해에는 강우강도가 재현기간 산정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고, 건기해에는 총강우량과 관련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최대 호우사상의 변동성을 살펴보면 현대자료에서 강우지속기간은 점점 증가하고 강우강도는 감소하며 이에 따른 호우사상의 총강우량은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측우기 자료에서는 이러한 변화양상이 반복순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측우기 자료를 이용한 빈도해석의 선행작업으로서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의 결정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렇게 얻어진 연최대 호우사상은 현대자료와 어우러져 보다 신뢰성 높은 설계호우사상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Mixing Characteristic and Rheology of Polymer/Graphite Composites for a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막 수소 연료 전지 분리판 용 고분자/흑연 복합 재료의 혼합 및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Yoo, Tae-Hyun;Kim, Dong-Hak;Son, Young-G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0
    • /
    • pp.4673-4678
    • /
    • 2011
  • In this paper, studies on a mixing characteristic and viscosity measurement of polymer/graphite composites for a bipolar plat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were presented. Since the materials for the bipolar plate should b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ents of solid graphite in the composite are very high. As a consequence, a viscosity of the polymer/graphite composite used for the bipolar plate is very high and the measurement of the viscosity is difficult. Viscosity measurements of the polymer/graphite composites were not possible because pressure drops were continuously fluctuated during the viscosity measurements when a conventional capillary die was used. After the die design was optimized, the steady state pressure drop could be achieved, but the viscosity thus measured was not reproducible. After many trials with different experimental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melt blending of the grinded powder mixtures of both PET and graphite provides reproducible viscosity measurements and electric conductivities of the polymer/graphite composites.

Evaluation of analog based downscaling considering Asian climate zone (아시아 기후대를 고려한 아날로그 공간상세화 기법 평가)

  • Kim, Seon-Ho;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3-93
    • /
    • 2021
  • 아날로그 기법은 대표적인 일기도분류 기반의 공간상세화 기법으로써 과거 기상 현상이 미래 재현된다는 가정 하에 공간상세화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대규모 공간범위에 대한 아날로그 기법 적용 시에 지역 구분을 기반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기상 변수 간의 선형 상관성을 기반으로 지역구분을 수행하는 기법이 제안된 바 있다. 다만 기존 방법은 아날로그 시점을 찾는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지거나,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 간 기후변동성이 크고 도서가 다수 위치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부적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 지역에 대해 지역별 기후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아날로그 공간상세화 기법(BCIA)을 제안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쾨펜 기후구분과 ETCCDI 지수를 활용하여 기후특성을 고려한 지역구분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아날로그 상세화를 수행하고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BCIA는 기존 아날로그 기법에 비해 기후 특성을 재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극치 계열의 기후 지수, 강수일수와 관련된 기후 지수의 재현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일부 지역에서만 시도되었던 지역별 아날로그 적용 방법론을 아시아 지역에 맞게 새롭게 제안하였고 이에 대한 활용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PDF

Improving quality of keyboard by analyzing Ag ion migration (키보드에서의 Ag Ion Migration 불량 개선사례)

  • 하종신;최완수;이성수;김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89-496
    • /
    • 2001
  • 컴퓨터 키보드의 시장 불량품을 분석한 결과 여러 키가 동시에 입력되는 현상이 다수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밀분석결과 이의 원인이 키보드 membrane의 패턴을 구성하는 은(Ag) paste의 ion migration발생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재현실험을 통해 고온 고습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membrane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패턴간에 Ag ion migration이 발생되어 키 동작 오류를 유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책안으로 제조 원가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migration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준방수 방식의 membrane을 채택하여 4$0^{\circ}C$, 90%RH 환경에서 최소 5년을 보증할 수 있는 키보드를 제작하였다. 또한, 키보드 membrane의 ion migration 시험시 정상사용 조건을 가속시킬 수 있는 재현 및 검증시험법(85$^{\circ}C$, 85%RH, 가속계수 17배)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Semantic Annotation System for Multimedia File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시맨틱 어노테이션에 관한 연구)

  • Hwang, In-Moon;Yoo, Nam-Hyun;Song, Gil-Jong;Kim, W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301-305
    • /
    • 2007
  • 기존의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직접 분석하여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던 기존 연구들은 멀티미디어 파일에 부여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온톨로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직접 검색을 실시하지 않거나, 잘못된 의미가 부여된 키워드에 의하여 검색 결과의 정확성과 재현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ASM은 키워드에 부여된 다의성과 동의성의 개념을 이용하여 WordNet을 이용하여 확장한 후, 확장된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온톨로지가 구축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이미지에 대한 직접 분석을 실시할 수 있으며, 키워드에 대한 동의성과 다의성을 이용한 확장된 키워드들을 이용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재현율과 정확성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

Construc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of Vertical Structure by Combining UAS and Terrestrial LiDAR (UAS와 지상 LiDAR 조합에 의한 수직 구조물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 Kang, Joon-Oh;Lee, Yong-Cha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9 no.2
    • /
    • pp.57-66
    • /
    • 2019
  • Recently, as a part of the prod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by smart cities, three-dimensional reproduction of structures for reverse engineering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particular, terrestrial LiDAR is mainly used for 3D reproduction of structures, and 3D reproduction research by UA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both technologies produce blind spots due to the shooting angle. This study deals with vertical structures. 3D model implemented through SfM-based image analysis technology using UAS and reproducibility and effectiveness of 3D models by terrestrial LiDAR-based laser scanning are examined. In addition, two 3D models are merged and reviewed to complement the blind spot. For this purpose, UAS based image is acquired for artificial rock wall, VCP and check point are set through GNSS equipment and total station, and 3D model of structure is reproduced by using SfM based image analysis technology. In addition, Through 3D LiDAR scanning, the 3D point cloud of the structure was acquired, and the accuracy of reproduction and completeness of the 3D model based on the checkpoint were compared and reviewed with the UAS-based image analysis results. In particular, accuracy and realistic reproducibility were verified through a combination of point cloud constructed from UAS and terrestrial LiDAR. The results show that UAS - based image analysis is superior in accuracy and 3D model completeness and It is confirmed that accuracy improves with the combination of two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AS and terrestrial LiDAR laser scanning combination can complement and reproduce precise three-dimensional model of vertical structure,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