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 이용동기 인식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Case Study of Group Music Psychotherapy for Improving Adolescents' Awareness of the Motivation Behind Their Excessive Online Gaming (게임 과몰입 청소년의 게임 이용동기 인식을 위한 그룹 음악심리치료 사례)

  • Song, Jisu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7 no.2
    • /
    • pp.1-28
    • /
    • 2020
  • This case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adolescents' awareness of the motivation behind their excessive internet gaming after group music psychotherapy. Fiv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ix 60-minute group sessions over 4 weeks. The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 participants understand their implicit reasons for excessive internet gaming. Verbal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pre-program and post-program interviews and original lyrics created by participants during program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btain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in relation to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motivation behind their excessive gaming. The results showed that song writing as creative musical process allowed participants to be aware of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of gaming on themselves and express their motivation to change their perception on gaming behavior. Also,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use of musical product for their daily lives could be an effective coping strategy to manage their gaming behaviors and an alternative for gam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that group music psychotherapy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to promote awareness of adolescents' motives for excessive internet gaming and to help adolescents better manage their gaming behaviors.

A Dual-path Model for the Game's Motive for Subjective Happiness and Solitude (게임 선용동기가 행복과 고독에 미치는 이중경로 모형)

  • Lee, Won-j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3
    • /
    • pp.55-64
    • /
    • 2020
  • Despite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game,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game is still negative.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game us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user's motivation factors related to the good use of the game and to underst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game on the user's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game users in the future,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game industry, and improve youth guidance.

Stragies developing serious game for children safety education (아동기 안전교육을 위한 기능성게임 개발전략)

  • choi, Eun-young;Choi,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191-192
    • /
    • 2016
  • The pur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afety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child accident using serious game. Specially children nee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specially cognition of accident. Serious game has entertain and education, and it can make game stage using storytelling about variable accident situation. Using serious gmae for preventing accident, it includes useful subjects such as safety education, prevent strategies, crisis management, problem solving accomplishment.

  • PDF

The Educatees' Perception Change of Learning Motivation and Fairness on Feedback using App (앱기반 피드백에 대한 피교육자의 학습동기 및 공정성 인식 변화)

  • Kim, Sangk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3
    • /
    • pp.79-86
    • /
    • 2015
  • Effective feedback plays a key role in education environments to motivate the students and to maintain their flow. However, there usually lacks in providing effective feedbacks in education environments due to an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and insufficient class tim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ducatees' response on game like feedback using App. In this paper, Class123 App developed and published by BravePops was used. During one semester, Class123 App had been used in engineering class and the educatees' responses on game like feedbacks using Class123 App a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eedbacks using Class123 App made positive effects to motivate the students. Especially, the positive feedback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negative feedback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3D Game in Heterogeneous Networked Virtual Environment (이기종 네트워크 가상환경에서의 3D 게임 설계 및 구현)

  • Rhee, Seon-Min;You, Hyo-Sun;Kwak, Hye-Ryung;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877-88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곳에 구축되어 있는 이기종 가상환경을 네트워크로 연동하고 이러한 환경에서 3D 게임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결과를 제시한다. 각각의 가상환경은 수평-수직-정방형 디스플레이 장비 및 마그네틱-하이브리드 방식의 트랙킹 장비를 이용하여 구축되었다. 제안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트래킹 및 인터랙션 도구로 이루어진 개별 가상환경을 연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데이터 간의 이질성을 해결하기 위한 뷰 동기화, 인터랙션 동기화 기법 및 사용자 인식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컨트롤 서버를 구축하여 개별 노드간의 동기화를 제공하고 공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환경 및 시스템에서 "Alice in Virtual World" 라는 1 인칭 슈팅 게임을 수행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game synchronized with real robot (로봇과 동기화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

  • Shim, Jae-Youn;Yoo, Hwan-Soo;Sung, Hyun-Se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4
    • /
    • pp.33-42
    • /
    • 2018
  • Virtual reality can user experience the virtual world of computer and stimulate user eyesight and emotions. HMD can acquire and stimulate user behavior and sensory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rtual reality game using robot control. Controlling the robots using various interfaces and synchronizing them with the virtual reality game. In this paper, we use OID mat for robot movement detection based optical code recognition and Kalman filter.

Case Study and Development of Quest-Based Learning Using QR Code (QR코드를 활용한 퀘스트 기반학습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 Park, Hyung-Su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5
    • /
    • pp.79-8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meaning for quest-based learning designed as one of learning methods with new media, which the contents were made of QR code based on smart-phon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8 times of class during one month with 32 elementary third graders. And analysis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MANOVA focus on four sub-factor of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 for quest-based learning in attention and confidence factor on motivation. Quest-based learning of gaming version as a learning method using various media can use a learning method for facilitation of learner participation, supporting of learning by doing.

Investig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net Use Patterns and Motivations, and Exploring Vulnerability of Internet Dependency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형태와 이용동기 그리고 인터넷 중독 가능성에 관한 연구)

  • Song, Jong-Gil;Choi, Yong-J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16
    • /
    • pp.71-107
    • /
    • 2001
  • 미국에서 이루어진 인터넷 중독 현상에 대한 초기 연구는 인터넷 중독을 알코올중독과 같은 개인의 정신적 질병으로 간주하는 의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사회현상으로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회과학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밝히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 인터넷 이용과 초고속 인터넷 망 보급속도에서 세계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우리의 경우에도 인터넷 이용에 따른 많은 부정적인 현상들이 나타남으로써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일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들 연구들은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인터넷 중독정도를 측정하는 차원에 머물고 있다. 즉,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분석하는 차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10대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연령층의 인터넷 이용특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0년에 발표된 한국전산원 통계수치에서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집단으로 조사된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1) 이들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밝히고 (2) 이들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며 (3) 인터넷 중독의 정도와 중독요인을 조사하고 (4) 마지막으로 인터넷 이용이 다른 미디어 이용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0년 5월 8일부터 19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서울시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시간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자가 설문지에 답하는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556명의 설문지 가운데 유효한 512명의 설문지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1) 인터넷 이용패턴 (2) 인터넷 이용 동기 (3) 인터넷 의존도 (4)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 이용정도 (5) 인터넷 이용 이후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정도 (6)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통계 분석 후 나타난 몇 가지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이용동기와 인터넷 이용과의 상호관련성 이용동기를 요인 분석한 결과, 6개의 이용동기가 나타났는데 오락이 가장 주요한 동기였으며 다음으로 교육/정보, 현실도피, 외로움, 쇼핑, 그리고 성적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동기들을 인터넷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성을 통계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성적 만족이 6가지 요인 가운데 가장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이용동기 분석에서 두 번째 높게 나타난 교육/정보 역시 성적 만족 다음으로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이 10대들의 인터넷 이용형태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행하지 못한 이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서비스와의 상호관련성 '오락은 게임, 토론그룹, 전자메일, 채팅과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보는 검색과 쇼핑, 현실도피는 게임과 토론그룹, 외로움은 토론그룹, 전자메일과 채팅, 쇼핑은 온라인 쇼핑과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성적 만족과 관련해서 게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편지, 전화) 이용이 감소되었으며 친구, 가족, 이성친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역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감소가 인터넷 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터넷 중독 정도와 중독 요인 10대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인터넷 중독 현상이 대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28.5%가 중독집단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인 인터넷 의존자(Moderate Internet Dependent)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이용동기 가운데 오락, 외로움과 현실도피가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이용시간 역시 주요변인으로 분석되었다. 흥미 있는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 조사된 게임과 채팅이 주요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 조사 결과에서처럼 전자메일서비스는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ption of Museum Tourists applying Gamification using Social Media Big Data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박물관 관람객 인식 비교 분석)

  • Se-won Jeon;Youn-Ju Ahn;Gi-Hwan Ryu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5
    • /
    • pp.169-175
    • /
    • 2023
  • This paper analyzes museum-related big data using museums and gamification using social media big data, identifies and compares the perceptions of visitors mentioned in social media, and presents ways to use gamifica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paper aims to provide dat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visitors to the museum and visitors to the museum using gamifi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visitors through social media analysis using TEXTOM, a social media analysis tool,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museums that were previously viewed in the form of exhibitions, they felt fun and interest in visiting museums using geikipi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keywords and related keywords, the perception, motivation, and type of viewing of the museu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ere confirm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ense of achievement of visitors who visited the museum using gamific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useum. It is believed that by developing and activating game-related content in future museum visits, many visitor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museum and feel fun and intere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elieved to be meaningful as basic data to grasp the overall perception of visitors to the museum,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and experience the museum in various ways.

A Motion-driven Rowing Game based on Teamwork of Multiple Players (다중 플레이어들의 팀워크에 기반한 동작-구동 조정 게임)

  • Kim, Hyejin;Shim, JaeHyuk;Lim, Seungchan;Goh, Youngnoh;Han, Daseo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3
    • /
    • pp.73-81
    • /
    • 2018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tion-driven rowing simulation framework that allows multiple players to row a boat together by their harmonized movements. In the actual rowing game, it is crucial for the players to synchronize their rowing with respect to time and pose so as to accelerate the boat. Inspired by this interesting feature, we measure the motion similarity among multiple players in real time while they are doing rowing motions and use it to control the velocity of the boat in a virtual environment. We also employ game components such as catching an item which can accelerate or decelerate the boat depending on its type for a moment once it has been obtained by synchronized catching behaviors of the players. By these components, the players can be encouraged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for a good teamwork to produce harmonized rowing movements Our methods for the motion recognition for rowing and item catch require the tracking data only for the head and the both hands and are fast enough to facilitate the real-time performance. In order to enhance immersiveness of the virtual environment, we project the rowing simulation result on a wide curved 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