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게임흥미도

Search Result 34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effects of economy education through MMORPG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동 경제 학습 효과 분석)

  • Wi, John-H.;Oh, Na-Ra;Kim, Yang-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5 no.4
    • /
    • pp.13-22
    • /
    • 2005
  • The research is a study on the effects of MMORPG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utilized in educational program.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of online game as an educational tool, especially in the field of economy education. Students have been taught market, price, profit, scarcity of goods etc., and then they played an online game we provided. Students manufactured cyber goods and also sold or bought various materials to maximize their profits. A experimental group was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on measures of economic self-efficacy, motivation for economic learning, and attitude for economic learning, economic self-efficacy and motivation for economic leaning scales consist of 2 factors and attitude for economic leaning consists of 1 factor. Participants wer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experimental group: 154, control group: 158). After the experiment, students' self-efficacy and motivations for economy learning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t has been found that students understand more easily the difficult economic terms such as' inflation', 'price setting', 'scarcity of goods etc. Their motivations for economy learning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online games have the potentiality that can be utilized as an educational tool.

  • PDF

Evolution Engine for Virtual Environment Generation based on Artificial Life (가상환경 생성을 위한 인공생명 기반 진화엔진)

  • 홍진혁;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9b
    • /
    • pp.35-38
    • /
    • 2003
  • 최근 컴퓨터 게임의 확산과 함께 보다 나은 가상환경 생성을 위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 지능적으로 행동하는 인공 캐릭터의 설계를 위해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의 캐릭터 설계에 적용된 휴리스틱이나 규칙기반 시스템 등의 기존 인공지능 기술은 게임 개발자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쉽게 캐릭터의 행동패턴을 파악하여 게임의 흥미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진화연산이나 신경망 등의 학습기반 인공지능 기술의 게임에의 적용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진화를 이용한 지능기술은 자연계의 복잡성과 의외성을 모방하여 최적화된 지능보다는 속임수/의외성 등의 창의적인 지능행동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게임전략의 생성, 게임 캐릭터의 성격형성 및 다양한 행동 생성 등에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기술의 게임에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진화엔진을 설계 및 제작하고 인공지능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Game-based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for Learning Principles of Finding Prime Numbers (소수를 찾는 원리 학습을 위한 게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 Kim, Han-Tae;Hong, Myoung-Pyo;Choi, Y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272-27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수학에서 사용하는 소수(Prime number)를 찾는 원리에 대한 학습을 위한 게임 기반 학습(Game based learning) 콘텐츠인 Prime Miner라는 게임을 제안한다. Prime Miner는 게임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소수의 원리를 결합하여 게임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우며, 학습자가 게임 규칙을 통해 소수의 원리를 합리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Prime Miner의 게임 원리와 학습자가 Prime Miner를 통해 소수 학습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퍼즐게임에서 종종 발생하는 더 이상 게임을 진행할 수 없는 상태인 교착상태(Deadlock)를 피하기 위한 숫자 타일의 배치에 관한 방법도 제시한다.

Development of a Roller-Coaster Motion Simulator Based on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감성공학 기술을 적용한 롤러코스터 게임용 모션 시뮬레이터 개발)

  • 오중석;윤석준;신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90-196
    • /
    • 2001
  • 대다수의 컴퓨터 게임기들을 거의 예외없이 단지 게임 개발자들이나 일부 전문 게이머들의 경험에 의존하여 사용자의 감성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개발에서 시도되고 있는 게임기는 모션이 가미된 콘솔형 아케이드 시뮬레이션 게임기에 해당되는데, 감성공학 DB와 제시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게임의 흥미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총 2차년의 개발기간중 1차년도에는 롤러코스터의 운동을 해석하였으며, 실시간 스케쥴러와 H/W 입출력 및 통신 드라이버에 대한 개발을 수행하였고, 사용자가 직접 트랙을 설계할 수 있는 저작도구와 영상 기반 렌더링 모듈을 개발하였다. 차후 연구될 방향은 게임기의 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 표본 집단을 선발하여 게임기에 시승시킨 후 설문지 답변과 시승시 측정되는 생리신호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한 후 게임기를 감성친화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 PDF

Exploring the Immersion Degree Difference Between 3D and 2D: Focus on Action-Adventure Game (2D영상과 3D 입체영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 Kwon, Hyeog-In;Rhee, Hyun-Jung;Park, Jin-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
    • /
    • pp.157-164
    • /
    • 2011
  • Since the movie "Avatar" made world-widely a big success, people's interest to 3D stereoscopic vision has been increasing explosively. However, it is hard to predict that for how long this tremendous attention to 3D stereoscopic would last; consumers have accumulated experience and predominant consciousness from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al various factors. This paper, we will try to see how people interact with 3D stereo through the empirical study. Using Jannett (2009)'s immersion questionnaire, we will measure how different people get immersed while playing game in 3D stereoscopic and 2D.

Understanding and Education Measures of the Prevention of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Blockchai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 대상 블록체인 기술의 위변조 방지 핵심원리 이해와 교육방안 설계)

  • Jung, Yujin;Kim, Jinsu;Park, Namj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3 no.6
    • /
    • pp.513-520
    • /
    • 2019
  • The general learning method aims at conveying knowledge by conveying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set to numerous of learners. However, such a method is difficult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learner, and the unilateral delivery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learner can be lowered and the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can be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ay learning method which induces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themselves is studied, and the gay learning game which combines the education and the game can influence the learning by inducing the interest of the stud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prevent the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the blockchain, which has been widely discus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card game, And suggests way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PG(Role-Playing Game) Edugame for The Learning of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역사학습을 위한 RPG에듀게임의 설계 및 구현)

  • Jin, Sang-Duck;Hong, Ki-Che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62-170
    • /
    • 2004
  •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면서 여러 방면으로 게임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대단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역사학습을 위한 게임 제작을 위해 게임의 교육적 활용 및 에듀게임의 정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사회과에서 제재를 선정, 재구성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아스키사의 "RPG 만들기 2003"이라는 게임 제작 툴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구성주의 및 자기 주도적 학습에 걸맞도록 RPG에듀게임을 설계 구현하여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Game Player Model Analysis with Time-series Data Mining (시간열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게임 사용자 모델 분석)

  • Kim, Jong-In;Wong, Chee-Onn;Jung, Ke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93-296
    • /
    • 2007
  • 컴퓨터 게임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흥미를 측정하거나 불법 소프트웨어 구별을 위해 사용자 분석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 예로 최근에 사용자 분석을 통하여 게임 레벨 디자인을 하거나 이를 게임 균형에 이용하는 연구들이 있다. 본 논문은 개인적인 게임 환경에서 사용자의 적절한 게임 경험을 위해 시간열 데이터 마이닝 개념을 이용하여 게임 사용자 모델 분석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사용자가 게임을 하고 있는 동안 의미 있는 사용자 행동을 저장하고 차원감소와 SOM을 이용하여 4가지 행동 유형으로 클러스터링하고 행동 유형에 따른 사용자를 분석한다.

  • PDF

Design of the Adaptive Quiz Server based on Difficulty Prediction (난이도 예측 기반 적응형 퀴즈 서버의 설계)

  • Kim, Yeun-Jung;Kwak, Mi-Ra;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471-2474
    • /
    • 2002
  •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더불어 온라인 게임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게임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여러 종류 게임들이 생겨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온라인 퀴즈 게임은 네티즌을 끌어들이기 용이하게 구성된 솔루션으로 평가되어진다. 또한 퀴즈게임은 온라인 게임 장점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게임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퀴즈 출제 방법처럼 난이도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단순히 반복적이고 랜덤하게 문제를 제출하는 것은 퀴즈게임의 흥미를 잃어버리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는 사용자 수준과 난이도에 맞는 문제를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상태 따라 그 문제에 대한 난이도를 예측할 수 있는 난이도 예측 기반 적응형 퀴즈 서버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Eye Gaze Tracking for View Controlling in 3D First Person Shooting Game (3차원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화면 조정을 위한 시선 위치 추적 연구)

  • Lee, Eui-Chul;Park, Kang-R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73-8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HMD(Head Mounted Display) 하단에 눈동자의 움직임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USB 카메라를 부착한 후, 3차원 1인칭 슈팅(First Person Shooting) 게임에서 게임 캐릭터의 시선방향을 눈동자 움직임에 의해 조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눈동자의 중심 위치를 실시간 영상 처리 방법으로 추출하고, 눈동자의 위치 정보와 모니터상의 응시 지점사이의 기하학적인 연관관계를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 상의 최종적인 응시 위치를 결정하여 이 정보에 의해 게임상의 3차원 뷰(view) 방향을 조정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의 방법에 의해 손이 불편한 사용자에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게임 캐릭터와 게임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서 게임의 흥미와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결과를 얻음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