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게이트자동화시스템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46초

한국형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화를 위한 RF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F system for Automatic Container Terminal)

  • 윤현성;이창호;변건식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41-4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동아대학교 RRC에서 개발한 게이트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된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시스템을 항만 내 야드 자동화에서도 이용하기 위해 이동 수송 차량에 장착되는 OBE(On-Board Equipment)와 야드에 설치되는 RSE(Road Side Equipment)간의 통신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컨테이너 야드와 하역 시스템의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해 OBE와 RSE간을 DSRC 방식으로 통신할 때 통신 대상에 따른 송수신 정보의 분류, 통신 대상의 분류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야드 크레인 시스템에서 UWB위치인식 시스템 적용연구 (The Study suitable for Ultra-WideBand Location System in Yard Crane System)

  • 박대헌;강범진;박장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07-910
    • /
    • 2007
  • 최근 물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컨테이너를 사용한 해상 물동량이 급격히 증가되어 부두에서 처리하여야할 컨테이너 양이 많이 증가되었다. 이에 항만에서의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항만 자동화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항만의 자동화는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운반할 트레일러가 통과하는 RFID를 이용한 게이트의 자동화, 정박한 선박에 설려 있는 화물을 취급하는 Quay-Side 컨테이너 크레인(QC)의 자동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적하는 갠트리크레인(GC), 게이트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컨테이너 트랜스 포터의 자동화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부두의 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야드 크레인의 정확한 위치 검출이 상당히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UWB위치인식 시스템을 적용한 야드 크레인의 자동화에 대하여 논의하고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EC61850 기반 디지털변전소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teway System for Digital Substation based on IEC61850)

  • 현무용;이정현;최종필;송완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233_234
    • /
    • 2009
  • 2005년 유틸리티 산업분야 국제표준 규약으로서 IEC61850이 발표된 이후,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IEC61850 규약과 호환되는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고 다양한 구현사례를 통해 그 적용가능성 및 타당성이 검증되고 있다. 그러나, 변전소 자동화의 기본 통신규약으로서 IEC61850이 도입될 경우, 이미 기존에 설치되어 운용중인 수많은 전력설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상위 제어센터와의 통신 호환성 문제가 발생되며, 향후, IEC61850 기반의 디지털변전소 확대 적용에 장애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EC61850 기반의 변전소자동화 용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에 운용되고 있는 전력설비 감시/제어 시스템과의 호환성 제공은 물론, 변전소 내의 IEC61850 IED들과 상위제어센터 내의 송변전 SCADA 시스템간 통신 및 상호운영성을 제공한다. 또한, 시스템의 가용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이중화 메커니즘을 지원한다.

  • PDF

Web상의 무인 자동화 기기 실시간 장애관리 및 복구지원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Realtime Fail Monitoring and Recovery Supporting System about the Unattended Automatic Controller on Web)

  • 정완석;유병강;김태달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E-Business와 정보보안
    • /
    • pp.216-22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외부와 유무선 접속기능을 갖는 무인창구 자동화기기(CD, ATM, 통장정리기, 발권기, 무인자동발급기, 지하철 게이트 등)를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기기의 장애/ 이력 관련정보를 Server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A/S 센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고 효율적으로 검색,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화물차량 및 화물 인식 중 자동 게이트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utomatic Gate System under AVI/AEI)

  • 홍승범;홍교영;김웅이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3-58
    • /
    • 2004
  • Up-to-date cargo transport system,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s) is the system to manage efficiently cargo distribution as providing at real time the information of cargo location and situation through ITS and GPS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Gate Automation System of harbors among AEI/AVI. To implement his system, we use the DSRC/RFID(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hich adopts a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RSE(Road-side Equipment) and OBE(on-Board Equipment) on a vehicle. When constructing the Gate automation system of harbors, the business application ability are reviewed practically and the logistics facilities to be constructed in the near future may use this project result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and it could help complete integrated logistics system.

  • PDF

UWB위치인식 시스템의 야드 크레인 적용 (Applying Ultra-WideBand Location System to Yard Crane)

  • 박대헌;강범진;박장우;조성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15-219
    • /
    • 2008
  • 최근 물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컨테이너를 사용한 해상 물동량이 급격히 증가되어 부두에서 처리하여야할 컨테이너 양이 많이 증가되었다. 이에 항만에서의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항만 자동화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항만의 자동화는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운반할 트레일러가 통과하는 RFID를 이용한 게이트의 자동화, 정박한 선박에 실려 있는 화물을 취급하는 Quay-Side 컨테이너 크레인(QC)의 자동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적하는 갠트리크레인(GC), 게이트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컨테이너 트랜스 포터의 자동화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부두의 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야드 크레인의 정확한 위치 검출이 상당히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UWB위치인식 시스템을 적용한 야드 크레인의 자동화에 대하여 논의하고 개발방향을 제안한다.

  • PDF

전력 IT용 D-TRS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 플랫폼 (Gateway Platform for Connecting D-TRS in Electric Power IT)

  • 송병권;정태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45-54
    • /
    • 2009
  • TETRA는 유럽 전자 통신 표준기구인 ETSI에서 개발한 D-TRS(Digital Trunked Radio System) 표준이다. 현재 전력 IT 무선기간망으로 TETRA가 선정되었다. 기존 배전 자동화 시스템은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모뎀을 이용한 이동통신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TETRA 네트워크로 변경에 따른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TETRA 네트워크를 이용한 산업용 전력 IT 프로토콜을 전송하기 위한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게이트웨이 플랫폼을 제안한다.

항만 야드 자동화크레인(ATC)에서 효율적인 컨테이너번호 인식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Efficient Container Number Recognition System at Automatic Transfer Crane in Container Terminal Yard)

  • 홍동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7-65
    • /
    • 2010
  • 본 논문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야드에서 무인으로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자동화 크레인(ATC; Automatic Transfer Crane) 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작업 대상인 컨테이너화물의 컬러 영상 이미지내의 컨테이너번호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부산의 신선대부두 게이트에는 정부의 연구개발사업인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기술 개발"에 의해 컨테이너번호 인식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수출컨테이너화물을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 게이트에 터널식 구조물 내 카메라를 설치하여 컨테이너번호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컨테이너터미널에 자동화장비가 도입되고 작업의 무인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야드의 자동화크레인에서 작업 대상의 확인을 위한 컨테이너번호 인식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게이트와는 달리 햇빛, 비, 눈, 그림자 등 영상을 통한 문자인식의 방해요소가 많은 야드의 자동화크레인에서는 그에 맞는 컨테이너번호 인식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조명, 센서 등 하드웨어 요소들의 변경과 주변 환경의 밝기차 등을 조절하여 번호를 인식하는 알고리즘 등 소프트웨어 요소들의 변화를 통해 태양광이나 하역장비 아래에 짙게 드리워지는 그림자 문제 등을 해결하고 인식시간의 단축과 인식률을 높이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터미널 게이트의 유비쿼터스 연계효과에 대한 연구

  • 김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309-310
    • /
    • 2007
  • 컨테이너터미널의 Gate는 컨테이너의 출입구를 의미하는 것 외에 컨테이너 정보의 최초 입력점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정보의 정확한 습득을 위해 다양한 컨테이너 변호 인식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적용방법에 따라 Gate의 생산성에도 많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u-IT사업추진에 따라 적용되기 시작한 RFID를 이용한 Gate자동화 방식은 기존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게 되었다. RFID를 이용함에 따라 각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는 정성적 이점과 더불어 정량적 생산성 향상이라는 기대치도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FID를 이용한 Gate 자동화 시스템과 기존의 Gate시스템과의 생산성 차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RFID 방식의 Gate를 고려하고 있는 컨테이너터미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기술(LPWA) 기반 원격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자가설치형 농업 자동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lf-installing Agricultural Automatio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Based on LPWA Technology)

  • 백재구;이형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3-19
    • /
    • 2017
  • 본 논문에서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기술(LPWA) 기반으로 원격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자가설치형 농업 자동화 시스템 "씽커넥트-Green" 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영농을 위해서는 물, 햇빛, 흙, 비료, 온도 조절 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요소들을 자동화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부터 화훼단지에 이르기까지 식물의 종류와 재배 환경에 따라 최적화하여 구축할 수 있는 농업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버에 저장되며, 빅데이터를 토대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재배 환경을 설정 및 운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