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게이지

검색결과 718건 처리시간 0.035초

극저온 환경에서 스트레인 게이지의 겉보기 변형률 특성에 관한 연구 (The Apparent Strains of Strain Gages in Cryogenic Environment)

  • 주진원;김갑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099-1107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극저온에서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태 리의 표준기관인 IMGC (Istituto Di Metrologia "G.Colonnett")를 중심으로 세계의 측 정표준 기관과 대학이 참여하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 계획에 참여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라운드 로빈 시험계획의 궁 극적인 목적은 세계의 주요 스트레인 게이지에 대해 여러가지 험조건에 의한 시험결과 를 가지고 극저온 환경에서의 변형측정에 이용될 수 있는 최적의 스트레인 게이지, 시 험재료, 전선연결, 시험장치 등의 시험조건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장 널리 쓰이는 3종류의 스트레인 게이지-미국Micro-Measurement, 일본 Kyowa, 독일 Hottinger Baldwin Mestechnik-에 대한 겉보기 변형률 대 온도의 곡선을 시험을 통하여 4.2K로 부터 293K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구한다. 사용된 시편 은 스테인레스 강(AISI 316LN), 구리(Cu), 알루미늄(Al)이고 온도는 액체헬륨과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변화시켰으며, 그외의 모든 시험조건은 국제 법정계량기구(OIML) 규 정에 따라 모든 기관이 통일되도록 하였다.통일되도록 하였다.

군 무기체계에 적용되는 4 축 스트레인-게이지의 오차에 대한 신호처리 소프트웨어 기법 (A Signal Processing Software Technique for the Tolerance of the 4 Axis Strain-gauge Sensors applied to the Military Weapon System)

  • 이영준;이종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5-194
    • /
    • 2023
  • 군 무기체계에 널리 적용되는 4축 스트레인 게이지는 열악한 온도와 진동조건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오차가 커지게 되고,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군 무기체계에 적용되는 4축 스트레인 게이지의 오차에 대한 신호처리 소프트웨어 기법을 제안한다. 첫째, 주위 온도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의 오차와 신호처리회로의 오차를 평가하고 분석하였고, 둘째, 스트레인-게이지의 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 불감대 영역과 오프셋 영역의 처리에 대한 소프트웨어 기법을 제안한다. 소프트웨어 기법을 적용한 실험결과는 온도시험과 운용시험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소프트웨어 기법은 타당하므로,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설계할 때 주위 온도와 진동에 따른 오차 개선에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스피닝 로터 게이지 교정 불확도 (Calibration uncertainty of a spinning rotor gauge)

  • 홍승수;임인태;신용현;정광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5
    • /
    • 2003
  • 스피닝 로터 게이지는 표준기관의 고진공 국제비교에 전달표준기로 상용되고 있으며, 고진공 국가표준기인 동적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피닝 로터 게이지를 교정하였다. 교정 결과의 불확도를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권고한 A형 불확도, B형 불확도, 합성표준불확도, 확장불확도 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평가한 스피닝 로터 게이지의 합성표준불확도는 $1.8007\times10^{-5}$ Pa ~$4.8422\times10^{-5}$ Pa 이었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측정 및 응용 (Stress Measurements Using Strain Gages)

  • 강대임
    • 기계저널
    • /
    • 제33권7호
    • /
    • pp.661-670
    • /
    • 1993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측정 방법 및 응력 측정시의 오차 발생의 원인에 대해서 설명하 였고 현재 많이 사용되고있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의 원리 및 구조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변형도를 측정할 경우 1% 이내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나 측정된 변형도로부터 응력을 계산할 경우 재료상수들의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5%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측정값은 부착위치에서의 값이므로 구조물의 최대 응력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구조물의 응력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큰 오차가 발 생할 수 잇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게이지 작업 기술과 함께 하중에 대한 대상물의 거동을 파악하는 기술 습득이 요구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을 직접 설계 및 제작하기 위해서는 용량, 정밀도, 설치 공간, 사용조건 등을 고려하여 감지부의 형상, 감지부의 재질, 스트레인 게이지의 종류, 부착 방법, 보상회로 구성방법, 보호 케이스의 부착 여부 등을 결정하여야 하고 제작이 완료된 후 힘 표준기 등으로 교정검사를 실시하여 사용하여야만 정확한 측정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금속 외팔보에 접착된 박막 실리콘 스트레인 게이지의 제작 및 성능 평가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in Polysilicon Strain Gauge Bonded to Metal Cantilever Beam)

  • 김용대;김영덕;이철섭;권세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4호
    • /
    • pp.391-398
    • /
    • 2010
  • 금속은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나 격막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런 금속 구조물이나 격막에 민감도가 월등히 우수한 실리콘 스트레인 게이지를 적용할 경우 그 응용 범위가 다양해질 수 있다. 이에 금속구조물에 다결정 실리콘 스트레인 게이지를 접착한 형태의 센서를 제안하였다. 실리콘 기판을 이용해 박막형 다결정 실리콘 스트레인 게이지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제작된 실리콘 스트레인 게이지를 금속 변형부 위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공정을 확립하였다. 이후 금속 외팔보에 실리콘 스트레인 게이지를 글래스 프릿 접착하여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게이지팩터는 34.0 의 값을 가졌으며, TCR(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은 $-328\;ppm/^{\circ}C$의 값을 가졌다.

극저온 환경에서 스트레인 게이지의 게이지상수 및 변형률 측정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 Test for Gage Factors of Strain Gages in Cryogenic Environment)

  • 김갑순;주진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9호
    • /
    • pp.2205-2213
    • /
    • 1993
  • The characteristic test for gage factors of temperature self-compensated strain gages at cryogenic temperature is presented. By joining the international round robin test on electrical strain gages at cryogenic temperatures, the gage factors of three kinds of widely-used strain gages are obtained at the room temperature, the temperatures of liquid nitrogen and liquid helium. The calibration system which produce precise bending strain is by mechanical loading at cryogenic temperature. This paper also presents the creep characteristic of strain gages at maximum strain level.

선박의 원격검사를 위한 아날로그 게지이의 정량화에 관한 기초연구

  • 이현우;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106
    • /
    • 2023
  • 이 연구는 원격검사의 한 방법으로서, 특히 자율운항 선박에서 컴퓨터비전을 이용한 영상처리를 통한 원격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율운항 선박은 자율화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선원이 승선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선원만 승선하는 선박이므로 선박의 검사방법에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컴퓨터비전을 이용한 영상처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원격검사 항목 중에서 아날로그 게이지의 정량화에 필요한 영상의 전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아날로그 게이지의 정량화를 위해서 사용한 방법은 흑백처리, 가우시안필터, 임계화처리, 모폴로지 연산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영상의 전처리 결과 배경과 객체를 비교적 명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으며, 영상처리 과정 중 추가로 발생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영상에서 주된 객체인 지시바늘과 눈금판의 숫자를 인식에 필요한 이미지 전처리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원격검사 방법은 아날로그 게이지뿐만 아니라 비상차단밸브, 통풍폐쇄장치, 고정식 소화장치 등 여러 방면에서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작업기의 치즐 및 디스크해로우암의 구조해석 및 스트레인 게이지 위치 선정 (Structural analysis and selection of strain gauge point of chisel and disk harrow arm for unpowered disk harrow working implement)

  • 신인경;박영준;강가애;한정우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6-16
    • /
    • 2017
  • 국내 농업인구 감소 대비 식품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가의 인력을 대체하고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한 국내 기계화 기술이 필요하다.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작업기는 경운과 배토가 가능한 복합작업기로서 작업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은 필드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구조적 강도와 신뢰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로 필드 작업 시 작업기에 걸리는 하중은 복합하중 형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단순한 형태 하중에 비해 하중계측에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하중계측점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중계측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복합기의 주요 구성품인 치즐(chisel) 및 디스크해로우암(disk harrow arm)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으며, 3축 방향의 단위하중 응력 계산결과로부터 load reconstruction을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 위치를 선정하였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신호가 하중해석에 적절한 값이 되도록 기존의 형상을 수정하였다.

  • PDF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접촉식 용접선 추적 센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ct Seam Tracking Sensor by Using Strain Gauges)

  • 안병원;배철오;김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019-1025
    • /
    • 2003
  • 조선과 자동차 등의 금속 가공분야의 용접산업부분에서는 용접을 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용접선 추적 센서들이 사용되고 있다. 용접선을 검출하는 센서에는 용접모재와 센서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 센서로 크게 대별할 수 있고, 현 산업전반에서는 대부분 접촉식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도 접촉식센서의 일종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응용하여 센서를 제작하여 용접부위를 얼마나 잘 추적하는지 실험하였다. 실험장치는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신호의 증폭회로, 삼각파 발생기, MOSFET 파워 드라이버 회로와 DC 모터로 구동되는 X-Y 슬라이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접선의 추적범위는 상하좌우로 동작을 하고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변화가 X-Y 슬라이더에 연결된 DC 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실험결과 용접부위를 센서가 잘 추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 산업현장에 있어서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