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검측업무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건축 시공단계 검측 업무 자동 생성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A Framework of Automating Inspection Task Generation for Construction Projects)

  • 조석연;이진강;최재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40-50
    • /
    • 2023
  • 건설 품질관리는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필수요소이다. 최근 ICT 기술 적용이 활성화 됨에 따라 현장 검측 업무에 첨단 기술 및 장비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 검측업무에 대한 첨단기술 적용에 앞서 전체 검측업무를 선제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검측업무에 첨단 기술 및 장비를 활용하기에 앞서 검측대상과 관련 정보를 명확히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그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건축 시공계획에 따라 검측업무에 해당하는 액티비티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그 방법으로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책임 상주 감리 체크리스트의 검사 항목을 바탕으로 검측 대상, 검측 시기, 검측 방법, 검측 범위, 검측 제약요소를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본 프레임워크는 철근 콘크리트 공사 사례에 적용되었다. 개발된 건설 검측 업무 액티비티 자동 생성 프레임워크는 건축 시공을 위해 사용하는 공정관리 프로그램, 검측업무 및 검측기술을 연계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의 검측 업무 시, 액티비티 자동 생성 및 자동화를 위한 기초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체커보드 종류 및 촬영조건에 따른 OpenCV 기반 길이측정 알고리즘 정확도 분석 (Evaluating the Accuracy of an OpenCV-Based Length Measurement Algorithm: The Impact of Checkerboard Type and Capturing Conditions)

  • 김현민;권우빈;김하림;김형준;송승호;조훈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3-144
    • /
    • 2024
  • OpenCV 기반 길이측정 알고리즘은 길이측정 검측업무를 보조함과 동시에 객관적인 검측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돤된다, 그러나, 건설현장 내에서 체커보드의 유형과 촬영조건이 해당 알고리즘의 정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검측업무 수행에 적합한 체커보드와 촬영방법을 제시하고자 OpenCV 기반 길이측정 알고리즘 정확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OpenCV 기반 길이측정 알고리즘을 통한 검측업무 시 촬영거리 4m 이내, 촬영각도 90°의 조건 하, 체커보드 크기와 Square size를 각각 A4 이상, 50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기술을 통한 길이측정 검측업무 수행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모바일 기반의 건설현장 업무처리 지원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System for Supporting Mobile-based Work Process in Construction Site)

  • 김성진;김태학;옥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50-57
    • /
    • 2017
  •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아이폰, 캘럭시 시리즈 등이 대중화에 성공하면서 빠르게 성장하였다. PC에 탑재된 기능과 더불어 모바일에서 사용되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 시각적인 측면과 이동성이 뛰어나 여러 산업분야에서 이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현재 물류관리, 차량관리, 교육,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건설분야는 건설기술자의 현장업무에서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처리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건설사업관리시스템과 모바일기기를 함께 연동하여 자료조회, 검측업무 등을 현장과 현장사무소에서 함께 처리할 수 있도록 업무지원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분야의 모바일 연구동향를 조사하고, 건설사업관리시스템에서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한 업무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업무 뿐만 아니라 모바일 업무로 가능한 검측업무 등을 새로운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설감리 검측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사 진행도별 중점관리공종 도출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Key Management Works by Construction Progress through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Supervision Data)

  • 유나영;김하늘;김하림;조훈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1-132
    • /
    • 2022
  • The type and proportion of construction work varies depending on the stage of progress, and the frequency of inspection and defect occurrences are different. If it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after the inspection, a delay may occur, and additional manpower and resources are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se risks by classifying, deriving, and managing key management woks according to the progres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the supervisor's inspection work by identifying the types of construction that should be managed intensively for each construction progress and deriving the time when defects occur frequently in each construction type.

  • PDF

공정관리와 연계한 건설 검측 업무 체계화 방안 (Integration of Construction Inspection to Schedule Management )

  • 송보현;정승환;이진강;최재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1-162
    • /
    • 2023
  • The construction inspection is conducted by the contractor or construction supervisor after a certain stage of work has been completed. As the consturction inspection task is dependant on construction schedu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lan inspection task systematically, resulting in increased supervision costs, delays in construction, and disput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inspection work with schedule management to systematize inspection procedures. Firstly, the inspection work is defined based on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checklist. Then its relationship with the construction process, required time, and resources for inspection tasks are defined in construction schedule. Lastly, a process management program i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applying the inspection work and examine changes in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and process management.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can support to plan construction inspection more systematically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 PDF

마커방식 증강현실기법의 건설현장 적용성 연구 (철근배근 검측업무 사례적용) (Field Applicability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y Marker Mapping for Construction Project (Focused on Measurement Process of Rebar Work))

  • 김선영;김현승;문현석;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509-2518
    • /
    • 2013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현실 환경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생성한 가상의 객체정보를 중첩해봄으로써 가상현실 상에서 느낄 수 없는 실감형 모델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공사 철근배근 작업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론과 시스템 시제품을 구성하여 철근공사 작업의 증강현실 적용성을 검증하고 있다. 토목공사 현장의 여러 작업들 중에서 철근공사는 절차화된 매뉴얼방식보다는 숙련공의 경험적 방식에 의해 작업이 진행되는 대표적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에 증강현실을 적용하면 당초 계획도면과 비교하여 누락된 철근배근 및 상이한 배근 상태를 시각화하여 계측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축된 시스템은 3차원으로 모델링 된 철근객체를 실제 시공현장에 중첩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철근 조립공정들의 작업 이해도를 높이고, 검측단계에 활용함으로써 철근조립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자와 재작업으로 인한 비용증가를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효율 향상을 위한 전자작업지원시스템(EPSS)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Prototyp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Quality Inspection of Temporary Work)

  • 윤수호;최창훈;한충희;이준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3-27
    • /
    • 2019
  • 가설공사는 임시시설물이지만 공사기간동안 사용빈도가 높으며 공사비의 1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가설공사의 시공검측정보들은 설계도서 및 시방사항에 특별한 명시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제기준에 대한 사항도 방대하다. 이로 인해 가설공사에 대하여 품질점검을 실시할 경우 관련 점검업무들을 비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인간적인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공사에 대하여 품질점검 업무수행을 지원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작업지원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IDEF0를 활용하여 업무 단위프로세스별 정보흐름을 규명하고 EPSS기반 품질점검 업무체계를 정리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이후 현장적용을 통한 검증방법으로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의 효율과 정보접근성을 향상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기반 통합 건설관리 체계 (An Integrated Construction Management Framework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 임상묵;정근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49-75
    • /
    • 2015
  • 최근 들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융합하여 자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건설산업의 경우에도 예외없이 이러한 연구흐름이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건설관리 업무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없이 특정 업무 분야에 대한 개선연구를 진행하거나 업무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활동이 아닌 단순한 업무방식의 변화 연구에만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건설관리 업무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문헌조사 및 매트릭스 분석을 수행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건설관리 업무 14개를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업무개선 우선순위가 높은 관리업무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 자재관리, 공사관리, 검측관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3개 업무에 대해 프로세스, 정보시스템, 조직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개선된 프로세스, 정보시스템, 조직에 대한 개념설계를 수행하고, 이를 통합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 통합 건설관리 체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건설관리 체계를 실제 건설현장 사례에 적용해 본 결과, 관리업무에 소요되는 공수를 대폭 절감하고 업무 처리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 통합 건설관리 체계가 건설현장에 구축된다면 건설관리업무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인이동체 기반 딥러닝 분석 기술을 활용한 철도교량 자동 손상 분석 기술 개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amage Analysis System for Railway Bridges using Deep Learning Analysis Technology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 나용현;박미연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4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무인이동체를 활용한 철도교량의 외관조사 점검을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성 있게 수행하기 위하여 무인이동체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딥러닝 기반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손상 자동으로 분석 하기위한 기술을 연구하였다. 철도교량의 외관 손상 중 균열, 콘크리트 박리·박락, 누수, 철근노출에 대한 손상 이미지를 추출하여 딥러닝 분석 모델을 생성하고 학습한 분석 모델을 적용한 시스템을 실제 현장에 적용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학습 구현된 분석모델의 검측 재현율을 검토한 결과 평균 95%이상의 감지성능을 검토할 수 있었다. 개발 제안된 자동손상분석 기술은 기존 육안점검 결과 대비 보다 객관적이고 정밀한 손상 검측이 가능하며 철도 유지관리 분야에서 무인이동체를 활용한 외관조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기존 대비 객관적인 결과도출과 소요시간, 비용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iDAR와 MBES를 이용한 댐 저수지 3차원 공간영상정보 구축 (The Construction of 3D Spatial Imagery Information of Dam reservoir using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 이근상;최연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11
    • /
    • 2010
  • 최근 댐 저수지 주변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퇴사량 조사와 같은 댐 관리 업무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 기존에는 지형측량을 위해 토탈스테이션과 단빔음향측심기(SBES)를 사용한 관계로 정밀한 지형자료 취득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LiDAR와 멀티빔음향측심기(MBES)를 이용하여 댐 저수지 주변의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육상부에 대해 LiDAR 측량을 수행한 후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건물이나 수목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육상부의 DEM 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LiDAR DEM을 GPS 지형측량과 검측한 결과 표준오차는 0.108m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LiDAR 허용오차를 만족하는 3차원 지형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에 대해서는 MBES를 수행한 후 지형측량과의 검측과정을 통해 IHO의 수심측량 허용오차 기준을 만족하는 지형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LiDAR와 MBES 측량자료를 통합한 후 고해상도 정사영상지도와의 연계를 통해 퇴사량 예측 및 지형변화 모니터링 등과 같은 댐 관리 업무에 활용 가능한 3차원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