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행태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4초

최저가낙찰제하에서의 건설업체의 투찰 형태 분석 (Analysis of Construction Company's Bidding Practice under the Lowest Bidding System)

  • 이형우;장철기;김용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975-983
    • /
    • 2006
  • 본 연구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2001년 이후 발주된 최저가낙찰제도 대상 조달청 시설 공사의 전체 투찰률과 공사 종류, 기업 규모, 투찰 금액, 공종별 투찰률 등을 분석함으로써 건설업체의 투찰 행태와 최저가낙찰제도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최저가낙찰제 하에서 건설공사의 투찰률이 하락하고, 투찰 행태가 저가와 고가의 유형으로 양극화되면서 최저가낙찰제도 시장이 건설업체들의 투찰 전략에 따라 왜곡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저가낙찰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저가심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함에 따라 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저가 투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찰자가 스스로 공사 물량과 단가를 산출하는 순수 내역입찰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각구조분석에 의한 음성 김주태 가옥의 지각된 환경지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Affordance of Kim, Ju-Tae House in Eum-Seong through Analysis of Visual Structure)

  • 홍유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20-425
    • /
    • 2016
  • 본 연구는 건축공간의 현상학적 논의로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행태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특정한 관계에 의해 분화 구성된 김주태 가옥을 대상으로 공간의 구성 방법과 행태적 의미를 시각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김주태 가옥은 사용자의 사회문화적 관계를 반영하여 명확한 방법으로 분화되어 구성되었으며, 채와 담으로 에워싸인 물리적 조건으로 관계적이며 독립적인 영역성을 부여하고 있다. 각각 독립적으로 한정된 영역은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간의 열림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적 공간 구성방식은 유도된 공간경험 과정에서 상대적 차이를 지각하게 되고 점증적으로 강한 폐쇄성을 인지하게 된다. 가옥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마당은 사랑채와 안채 사이의 공간깊이를 더욱 강조하는 입체적 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물리적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이지만 관찰자 시점의 위치설정(공간의 원근감), 짧은 주기의 반복적 방향전환, 켜(layer)의 중첩 등의 환경적 조건에 의해 유도된 심리적 행태는 실제적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게 혹은 깊게 인지하게 된다. 이는 '일반화된 타자'의 시각적 관점에서 대상을 어떻게 보이게 의도했는가에 대한 관계적 접근 방법이며, 사용자에게 지각된 환경지원성으로 심리적 태도와 행동을 유도하는 실행적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건축허가동의 및 사용승인 동의에 대한 순응도 조사 및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aptability Inquire & Promotable Method for “A Construction Permit Consent & Use Admission Consent”)

  • 이수경;하동명;김태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9-47
    • /
    • 2002
  • 정부는 지난 4년간 14,186건의 규제 중 8.121건(57.2%)을 폐지하고 6,065건(42.8%)을 개선하는 등 행정규제를 폐지ㆍ개선하는데 중점을 두고 규제개혁을 추진해 왔다. 이러한 규제개혁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관료들의 행태 변화가 뒷받침되지 못하거나, 이해관계 집단의 반발로 인하여 규제개혁 체감도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앞으로는 규제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은 물론 일반국민ㆍ기업ㆍ집행공무원이 규제의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규제순응 관리대책을 마련한다는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허가 동의 및 사용승인 동의”등의 현황을 파악하고, 규제자집단, 피규제집단,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행정 규제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또한 인정하고 준수하는지 등을 종합적ㆍ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소방규제의 제고방안을 제시하여 소방행정의 정책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학교 건물에서의 에너지절감 성과 활동 검증을 위한 방법론 연구 (A Study on Methodology for Verifying Energy Saving and Activity in School)

  • 이항주;김인수
    • 에너지공학
    • /
    • 제29권1호
    • /
    • pp.25-33
    • /
    • 2020
  • 최근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Zero Energy School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제도들이 추진되고 있으나 학교 건물에 대하여 에너지절감 활동결과 그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는 상황이다. 에너지성과 검증방법론 연구를 위하여 관련 유사표준들의 현황을 참고하였으며, 그 외 방법론들의 사례 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성과를 분석해 볼 수 있는 Tool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국내 학교 현장방문을 통한 에너지관리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신규, 기존학교 건물에서의 냉난방설비, 조명, 단열 강화, 운영행태 변경, 운전방법 개선 등 각종 에너지절약사업의 수행과 에너지절약사업 이행 전·후의 에너지절감량을 검증할 수 있는 M&V 방법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거주와 관광의 양립을 위한 문화재마을 공간체계의 조정 원칙과 방법에 관한 연구 - 아산 외암마을 관광객의 관광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 (The Principle and Method for the Spatial System Modification of Cultural Property Villages for the Compatibility of Habitation and Tourism - Based on the Analysis of Tourists' Behavior in Asan Oeam-maeul -)

  • 한필원;홍정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7-54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he spatial system modification for the compatibility of habitability and tourism convenience in cultural property villages. Based on the field survey on tourists' routes, activities and their durations in Oeam-maeul, the problems of conflict, between habitability/residents and tourism/tourists, and their causes are analyzed. And the modification principle and method of spatial system is proposed as follows; The basic principle of the spatial system modification is to respect the traditional hierarchy in village roads, between the main road and sub-roads, and the territoriality of settlement space that is typically differentiated as the social, individual, and ceremonial domains, from the front to rear part of settlement. With this principle, it is recommended to restrict the tour route to one that is composed of the main road and the periphery road of housing area, and some connecting sub-roads. based on the surveyed tourists's routes.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tourist facilities, whether they are existing houses or newly built buildings, and the tourist programs are necessary for experience tourism to cultural property villages, and they are proposed to be placed along the restricted tour route.

디자인학분야 문헌의 인용분석 연구 - 시각, 제품, 환경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itation Analysis of Design Science Literature)

  • 김순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44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학분야 5개 학회(협회)지의 2002년분에 인용된 3,046개 문헌을 인용문헌의 형태별, 발행지별, 발행년도별, 주제별로 분석하여 디자인학분야 연구자의 문헌 이용행태와 문헌의 이용가치 감소현상 즉 반감기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학분야 연구자들은 단행본(62.5%), 학술잡지기사(21.8%), 논문(10.8%), 보고서(2.9%), 기타(2%)순으로 많이 이용하였으며, 단행본의 인용이 현저히 많은 것으로 자료 형태별 이용에 있어 국내 디자인학분야 연구자의 연구활동이 국내 사회과학, 미술분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발행지별로 분석한 결과는 국내 디자인학분야 연구자들이 국내문헌을 해외문헌보다 2.5배정도 많이 이용한 것으로 국내문헌에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해외문헌을 국내문헌보다 2배정도 많이 이용한 것으로 분석된 사회과학분야의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디자인학분야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는 것이나 4배정도 국내문헌을 많이 이용한 것으로 분석된 미술분야의 선행연구와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디자인학분야 문헌의 반감기는 5.75년이었으며, 자료형태별 반감기는 단행본(6.64년), 논문(5.97년), 학술잡지기사 (4.55년), 기타(3.73년), 보고서(3.41년) 순으로 분석되었고, 발행지별 반감기는 해외문헌(9.1년), 국내문헌(5.1년)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타주제와의 관계분석에 있어 경영학, 건축술, 공학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디자인학이 단순히 미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경쟁력 증진의 도구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 특수학교 편의시설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광주지역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mprovement on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Disabled - Focused on Special Schools in Gwnagju -)

  • 정훈;강만호;최익석;최재영;유우상
    • KIEAE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45-52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growing needs and the interest of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people has ignited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Korea. This special schools are to be provide the disabled people with proper facilitie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cial life and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iciency. However many special schools are not properly designed to educate the disabled because their design guidelines including legal planning standards. It is also true that these standards are not specifically categorized and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kinds of disability.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suggest measures of the special school design guidelines especially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The study first looks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 disability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special schools in Gwangju. It, then examines the behavilr of the mentally disabled students in some of special schools in Gwnagju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 The interview has done with the staff in the facilities regarding the usage pattern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abled students especially in convenience facilities in schools.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Ubiquitous Service Development in Apartment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도상래;임줌폰;최진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71-178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오늘날 인간생활 행태의 변화뿐만 아니라 미래건축 공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환경인 주거 공간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홈, 사이버 아파트 등의 새로운 미래주거 공간이 나타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절히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수요자 요구와 관련 없이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재의 홈네트워크가 IT 업계가 제공한 솔루션과 기기 중심으로 서비스가 개발되고, 공급자 위주의 기능의 편리성을 위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며, 주택을 잘 알고 있는 건설인과의 협업이나 최종 사용자의 기호가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수용되고 있지 못하고 공간 디자인과 서비스 개발이 유리화되어 선 시공 후, 서비스를 끼워 맞추기식으로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개발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공동 주택의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공간에 적용하여 부합되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미래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그 목적을 둔다.

  • PDF

미국 유니버설 디자인 모델주택의 환경행태학적 분석 (Analysis of a universal model house of the U.S. in the view of environmental-behavioral aspect)

  • 이연숙;이소영;곽윤정;김미선
    • KIEAE Journal
    • /
    • 제6권4호
    • /
    • pp.41-50
    • /
    • 2006
  • A greater numbe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an increasing number of aging population has brought concerns on diversity and equality in use of products and environments. Universal design concepts have been introduced rapidly and widely in the built environm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model house built in 2006, in the U.S. as a universal design home, systematically examine the universal design model house features, and explor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in the U.S. into a Korean setting. For this study, site analysis and contents analysis methods were used. Although housing norm, behavioral patterns and environmental contexts would be different, majority of universal design features appeared in the model house were expected to apply. Overall universal design features in the model house sought for attractive, comfort, convenient and safe environment with a little cost. Universal design features in the model house appeared in unobtrusive ways. Universal design considerations on floor materials in living room and bath and furniture arrangement need to modify or replace according to Korean lifestyle.

쇠퇴지역 거주민의 공원녹지 환경 이용과 의식 - 전주시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 (Residents' use and awareness for green open space in the deprived area - focusing on the old downtown area of Jeonju-si -)

  • 구나은;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45-53
    • /
    • 2012
  • Our society confronts a new social demand to protect the environmental equity of the people, and the green open space that is a representative public property which takes a very important role for the residents in less privileged urbane area in terms of providing amenity without requiring individual expenses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based on the environmental experiences of the actual residents, excluding the simple physical status, in relation with supplying public property of green open space, and the study put focus on the old downtown area of Jeonju-si which is a test-bed of urbane regeneration planned by the government. Residents in less privileged area evaluate the importance of green environment of park very highly as a factor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but as they do not have well-established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to back up their needs practically, they face difficulties to use such environment and show low level of satisfaction. In particular, as such characteristics appear remarkably among the least privileged urbane people in the less privileged urbane area, their dependence and expectation upon the environment of green open space is very apparent and,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ir environment for public green park area for the less privileged urban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