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프로그램공간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공간구문론에 기초한 건강검진센터 동선효율성 분석 연구 - 국가검진프로그램에 대한 수검자의 공간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raffic Line Efficiency of Health Examination Centers Based on Space Syntax - Focused on the Spatial Cognition of the Testee Taking the National Examination Program)

  • 송승언;김석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3-65
    • /
    • 2012
  • Purpose: With the increasing national interest in health, the number of health examination centers is growing rapidly, and it is growing as independent medical institutes separated from hospitals. With the growing functions and size of health examination institutes, considerations for testees, who are the most important users of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s, have taken the back seat. In particular, for health examination programs that take on a sequential traffic line,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space of each examination room, but the lack of a scientific evaluation method for this has resulted in great discomforts for testees using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Method: Thus, this study proposes risk evaluation indices (RCF TCF, RC3, RR, ARR), and set a standard health exa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program. This was applied to 11 different sized health examination centers to find their features, and together with identifying the trends of the indi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duced. Result: 1) ARR showed a wide-range feature as the number of unit spaces increased, while RR were discovered regardless of the size, thus displaying local features. 2) The increase of ARR is affected more by internal factors in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than from outside factors. 3) By gender, when separating the basic health examination fields, the connective relation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fields had a big effect on ARR. 4) By becoming larger, the fields of function become independent and the waiting space that results from it increases the number of total movement, so there is space for improvement in this.

공간자료 구축을 위한 BIM/GIS 표준정보 기반 건축도시통합모델(iBUM)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iBUM Development based on BIM/GIS Standard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of Spatial Database)

  • 류정림;추승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27-41
    • /
    • 2014
  • 최근 건축정보 분야에서는 터널, 교량 등 도시의 인프라에도 건축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적용되면서 대형화된 도시 건축물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BIM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부환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건축물정보모델 및 도시/지리정보 모델 간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및 도시계획, 국토보안 등 기타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상당한 이익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관점에서 공간정보와 빅 데이터의 융합은 강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정보 분야의 개방형 BIM(open BIM) 표준모델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와 GIS분야의 표준모델인 CityGML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IFC와 CityGML, LandXML의 정보체계 및 형상표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공간정보 분석을 위한 객체기반의 건축 도시통합모델의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BIM과 GIS 간의 기초 융합전략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박스 계수법을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프랙탈 차원 분석 : 청주시의 건축물 분포 및 도로구조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ractal Dimension for Urban Spatial Structure Based on Box Counting Method : Focusing Buildings Locations and Road Compositions in Cheongju)

  • 송선기;김동원;황희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7-39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랙탈 이론을 이용하여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도시형태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도시공간구조 측면에서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청주시를 대상으로 도시공간의 프랙탈 차원을 계산하여 이론 적용의 타당성과 실제 도시공간 내부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공간 내부요소인 건축물과 도로를 도시 전체와 시가화 지역으로 나누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건축물과 도로의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 수치지형도를 GIS 프로그램과 연동하고 박스계수법을 사용하여 프랙탈 차원을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건축물과 도로에 의한 프랙탈 차원 모두 높고 비슷한 결과 값으로 나타났다. 청주시 전체와 시가화용지도 유사한 결과 값을 도출 했지만 부분적으로 볼 때 상업 및 공업지역은 낮은 결과 값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들 공간은 주거지역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공간으로 간주하는 것이 올바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청주시의 프랙탈 차원은 시가화구역의 차원으로 성장한다할 수 있다.

  • PDF

무선 센싱 기술을 이용한 사회기반시설물 및 건축물의 구조 반응 자동 모니터링 (Structural Response Monitoring for Civil Infra-structures and Buildings using Wireless Sensing Technology)

  • 최세운;박효선;김유석;김종문
    • 한국공간구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3
    • /
    • 2015
  • 본 기사에서는 실 사회기반시설물 및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무선 센싱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이는 실용성 및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일방향의 계층형 무선 통신 네트워크 형태를 가지며, 절전 기능을 사용한다. 또한 웹-기반의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구조물의 구조반응을 언제, 어디서든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자동 계측 및 무선 통신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 작업의 방해가 적으며, 설치 이후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실 구조물의 정확한 SHM을 위해서는 계측값의 분석 및 건전도평가 등에 관한 신뢰할 만한 기술 개발이 여전히 요구된다.

소도시 지역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Small City)

  • 채희재;한인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63-77
    • /
    • 2002
  • Recently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ditions of space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function required the change. The important role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is family welfare, domiciliary and community care, community organization etc. In this sence, this study explore the condition of space planning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is study, it was reviewed the role and function, the service program, the usage characteristic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ynthesized through case study and could be used in the guidelines as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future centers.

  • PDF

영구임대아파트단지 어린이집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Child Care Centers in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 이승준;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7-44
    • /
    • 2009
  • There is a rapid increase of child care centers due to the growth of women's social activities and a nuclear family. Child care center is an important part of community facilities for apartment housing complex. This study aims to collect the basic data required to develop the planning standards for the child care centers. This research limited the child care centers which is situated to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basic design guidelines for the space composition planning of child care centers by grasping the special quality connected with the space composition of child care centers among the community facilities that is located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housing complex.

  • PDF

대학기숙사 건축에 있어서 공유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 A대학교 신축기숙사 계획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Common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 Particular Reference of Newly Built Dormitory of A University -)

  • 안진오;제해성
    • KIEAE Journal
    • /
    • 제7권4호
    • /
    • pp.91-96
    • /
    • 2007
  •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gn data for planning university dormitories to meet the needs of the occupants' through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at the sampled dormitories in A University in 2006.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gram of the suitable common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especially referred to newly built dormitory of A university. In conclusion, Living space accounts for 56.17%, studying space accounts for 1.86%, well-being support space accounts for 2.49%, convenience support space accounts for 8.35%, management space accounts for 3.08% of the whole area in the program of newly built dormitory.

소도읍 사회복지관의 가족복지부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Small Town)

  • 채희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53-64
    • /
    • 2003
  • Recently the change of family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the configuration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And so the relation of space and function required its change. The essential role of social welfare center is family welfare, domiciliary and community care, community organization, social education etc. In this sence, this study explored the condition of space planning for the family welfare at the social welfare center. For this study, it was reviewed the role and function, the service program, the degree of unit activity importance, space satisfaction, the usage characteristics. In sum, the usefu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ynthesized through case study and could be used in the guidelines as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family welfare unit at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small town.

  • PDF

건축물방제시스템 구축${\cdot}$운영방안 연구 (A Guideline for Construction of Building Disaster Information System)

  • 김윤종;송철호;원종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33-146
    • /
    • 1997
  • 최근에 이르러 서울에서는 교량이나 건축물 등 도시시설물에서 재난이 빈발하고 있어 이를 사전에 방지하거나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시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관리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절실해진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대한 도시방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하는 것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므로써 다른 도시시설물 방재시스템 구축시에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안전관리정보체계를 제시하고 이를 건축물방재시스템에 대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한 주요 연구내용은 건축물유지관리정보체계, GIS 를 이용한 건축물방재시스템 등에 대한 구축 및 활용방안 등이다. 건축물방재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방재시스템에 연계 가능한 건축물 안전관리정보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조건하에서 관련 데이터베이스 특히 GIS와의 연계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저도평가 프로그램, 비용산정프로그램, 대장관리프로그램 등의 기본적인 응용프로그램도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건축물 안전관리정보체계를 구축하고 운용하기 위하여는 중앙정부나 서울시 차원에서 표준화 사업과 시범사업을 통하여 실용화 방안이 보완되고, 그에 따른 제도적 뒷받침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남양주 궁집(宮집) 외부공간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for the Namyangju Gugjip House Complex)

  • 민병욱;김미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6-100
    • /
    • 2020
  •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30호 '궁집'과 그 일대에 대한 복합문화시설화 계획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특히, 차후 공공에 개방될 궁집과 한옥 부속사들로 구성된 역사·문화단지의 외부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을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 궁집은 건축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된 상태지만, 궁집과 건물군으로 구성된 단지로서 대상지는 체계적인 공간 체험에 대한 계획의 부재, 구체적인 공간프로그램의 미비, 관리되지 않은 녹지로 인한 공간의 음지화 등의 문제로 공공공간으로 활용하는 데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획안은 크게 공공공간으로서 역사경관에 대한 의미 존중과 현대적 활용에 대한 균형을 추구하였다. 기초조사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계획의 전략은 크게 궁집의 장소성 강화,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 존중 및 주변 환경과의 시각적 조화, 동시대에 적합한 공간프로그램의 제시이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전체 공간에 대한 틀을 개념적으로 외원(外園), 간정(間庭), 주정(主庭), 후원(後園) 나누고 체계적인 경관 활용과 체험을 제안하였다. 본 계획안은 건축 문화재는 원형 그대로 보존하되, 궁집의 장소성에 기반한 전체 공간의 합리적 토지이용과 의미 있는 경관체험을 엮어내려는 조경적 접근 방식이 가장 큰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