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적 디자인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23초

MLB 구장의 건축 디자인에 나타난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ustainability in Architectural Design of MLB Ballparks)

  • 김광회;이영한
    • KIEAE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93-100
    • /
    • 2015
  • Purpose: Ballparks of KBO which were built by local governments and operated for baseball game-centered have been required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 to going into low growth phase in Korea recently. MLB ballparks with the teams having 100 year old tradition have been sustainable-developed economically, socially, environmentally and culturally.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ustainability in architectural design of 30 MLB parks. Method: To begin with comparison analysis of usage rate of 10 ballparks of KBO with 30 ballparks of MLB, and architectural designs of facades, fields, accommodations, sculptures, greens, roof gardens, etc. are analyzed in the MLB ballpark. An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ustainability in the architectural design are analyzed. Result: MLB ballparks have played role as core-space of urban community, accumulated space of citizens' memory being originated in natural climatic feature of region, historical image of city and tradition of home-ballpark. A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could is nature of cultural sustainability, that is to say local community, historical restoration, social solidarity.

중국의료시설의 최신 동향에 관한 연구 (Trend of Healthcare Architecture in China)

  • 황석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67-72
    • /
    • 2002
  • 본 연구는 경제성장과 함께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료시설의 최근 의료 환경과 의료시설의 변화 동향을 분석한 것으로 병원의 디자인, 병동 유니트 계획, 의료자원의 지역적 불균형과 건축기준 등 다각도의 변화 동향을 사진, 도면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중국 의료시설의 문제점과 과제를 정리하였다. 중국의 의료시설은 현재 급속한 성장기에 놓여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의료자원의 대도시 집중과 병원의 대형화 현상으로 지역적 의료자원의 불균형 문제가 나타나고 있고, 환자부족으로 중소병원의 경영문제가 심각한 반면, 대규모 병원은 환자집중으로 긴 대기시간과 혼잡함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대규모병원과 중소병원 간 의료자원의 과다한 중복으로 비효율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합리적인 경제기반에 기초한 효율적인 의료시설과 건물시스템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하는 점이 중국 의료시설의 큰 과제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 PDF

F. L. Wright 작품들의 디자인 발전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Process and Characteristic of Frank Lloyd Wright works)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656-663
    • /
    • 2020
  • 본 연구는 본격적인 작품이 이루어지는 1940년 전·후(탈리에신 웨스트를 기준)하여 라이트의 건축적 디자인 개념과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조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라이트는 프뢰벨과 일본의 영향 외에도 고대 마야문명의 영향도 받았고 이를 탈리에신 웨스트 작업실을 시작하게 된 계기를 만들어 준 빌트모어 호텔에 직접 실현시켰다. 이후 라이트의 건축 디자인 구성요소들이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탈리에신 웨스트 작업실이 위치한 애리조나의 지역적 특성, 사막 기후를 고려했을 뿐 아니라 그 지역의 식물인 오코틸로 선인장 색인 체로키 레드를 자신의 상징적인 색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1940년 이전과 비교하여 변화된 디자인 개념을 정리하면 1) 1940년 이전의 공간형성을 위한 정(방)방형의 모듈에서 이후에는 원과 나선형이라는 디자인 개념으로 변화하고 2) 단순히 수직성을 강조한 기둥의 형태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였고 3) 라이트가 건축 초기 시절에 사용한 박공지붕이 1940년 이후에는 하늘을 향해 솟아나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이런 변화는 이전에 실현되지 못한 잠재된 자신의 다양한 경험들이 누적되어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피터 줌터의 작품에 나타난 재료와 빛의 공간적 영향에 관한 연구 - 부르더 클라우스 채플과 콜룸바 뮤지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Effect of Material and Light: Focusing on Peter Zumthor's Projects - Bruder Klaus Chapel and Kolumba Museum -)

  • 김자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87-95
    • /
    • 2011
  • 최근의 현대 건축에서는 재료의 물성과 구축성이 두드러지는 프로젝트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의 배경에는 사양한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간성(性)에 대한 근본적이고 회귀가 중요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피터 줌터의 건축은 현란한 조형적 효과, 표현만을 위한 기술적 장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그의 건축은 장소와의 관계, 문화적 context 상에서의 맥락, 그리고 공간의 근원적인 경험을 주요한 매체로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수성은 대체적으로 빛과 재료의 고유한 적용으로 나타난다. 이는 장소와 문화의 특성을 관습적인 형태나 화려한 표현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감'의 구현으로 구축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은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빛과 재료의 구축 방식, 그리고 공간의 경험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의 건축 구축 방식은 일견 간단해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프로젝트마다 고유한 빛과 재료의 적용과 텍토닉(tectonic)이 내재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점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러한 구축방식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공간의 경험과 관계를 하는지 고찰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Bruder Klaus Chapel과 Kolumba Museum으로 한정된다. 프로그램은 다르지만 빛을 사용하여 관람자의 공간경험과 공간인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다루면서 결론 맺는다.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다이어그램의 시대별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of Diagrams appearing in Modern Architecture)

  • 문고리;박지훈;이승용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8호
    • /
    • pp.37-46
    • /
    • 2022
  • 현대건축의 설계 과정에서 다이어그램(diagram)은 설명의 도구, 생성의 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많은 건축가들이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거나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과 이를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은 단순한 매체의 역할을 넘어 실재적 건축 설계 과정 속에서 수용자들에게 창조적 작업의 일환으로써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간 건축공간구성에서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을 시대별로 정의하여 건축 과정에서 다이어그램을 통한 건축가의 다양한 사용방법과 디자인 과정에서 적용된 다이어그램의 작동 과정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20세기 건축의 유기적 표현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c Expression Principles of the 20C. Architecture.)

  • 김주연;우경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호
    • /
    • pp.51-58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organic expression principles of the 20C. Architecture. As a result, first, the organic expression principles was organised in six categories, a. naturalism b. neo-naturalism, c. realism, d. abstractionism, e. regionalism, f. functionalism. Second, among the organic expression principles, the naturalism, the neo-naturalism and the abstractionism were the most dominant organic expression principles of the 20C. Architecture. Third, from 1960, the functionalism have become one of the most dominant organic expression of the 20C. Architecture.

  • PDF

디지털 디자인 및 패브리케이션 프로세스의 합리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인테리어 패널 디자인 및 제작 사례를 기반으로 - (Rationalization Process for Digital Design and Fabrication -Based on the Case of Fabricating Interior Panels-)

  • 장수정;이현수;이진국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07-316
    • /
    • 2015
  •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건축 디자인은 CAD 및 CAM 기술을 기반으로 복잡한 형상의 표현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로써 작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 비용절감과 품질향상에 관련된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재현성에 관한 논의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초기부터 제작가능성을 고려하는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념적 접근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통합적 접근의 일환으로써 합리화(Rationalization)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합리화는 비정형 건축의 곡면 패널의 제작과 관련되어지는 용어로써 제작과 관련된 요구조건을 검증하면서 본래의 디자인을 유지하는 디지털 모델의 재-디자인 작업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통합적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실험적 연구로써 생성-재현-구축의 세 단계로 구성되는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합리화의 개념을 적용시킨 연구 모형을 도출하여 디자인 과정에 적용시킨 인테리어 패널 사례를 제작하였다. 사례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분석한 결과, 각 단계에서 얻어진 정보를 활용하는 합리화 과정의 순환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는 소프트웨어의 상호호환성과 하드웨어의 기능적 요구조건에 대한 검증을 바탕으로 의도된 디자인을 유지시키면서 디지털 모델을 수정 및 보완하는 순환적 프로세스로 정의할 수 있다.

인터뷰 - 100년 후 도시를 위한 방향성 담은 종합 마스터플랜 만들 것 (Interview - Drawing up a comprehensive master plan incorporating the direction of cities for the next)

  • 육혜민
    • 건축사
    • /
    • 통권638호
    • /
    • pp.16-19
    • /
    • 2022
  • 작년 7월, 강병근 건국대 건축공학과 명예교수가 제4대 서울시 총괄건축가로 위촉돼 활동 중(임기 2년)이다. 서울시 총괄건축가는 도시와 건축관련 정책, 디자인 등 시의 건축사업 전관을 총괄 기획·조정한다. 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는 지난 5월 18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100년 후 도시가 나아갈 방향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계획하는 것이 급선무라 밝히며 관련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체계적 시스템의 부재로 인한 아쉬움을 지적하고, 서울건축기본계획 등의 시스템 구축과 공공의 도시공간을 위한 실현 방안 등을 계획·정리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단순한 행정기획이 아닌 선제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중앙·지방정부부터 기초단체까지 시티아키텍트, 즉 시티플래너가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 PDF

감성반응형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감성어휘별 색채배색에 의한 디지털 벽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Responsive Color Coordination Digital Wall)

  • 김주연;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4
    • /
    • 2002
  • 디지털 삶에서 인간들은 더 이상 보호막으로써의 건축 환경이 아닌 함께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감성반응 환경을 요구한다. 즉, 실내 공간은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사람들의 기분을 만족시키기 위해 건물이 마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쉬지 않고 변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건축공간의 물리적 특성의 한계에서 유동적인 감성반응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이 따른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을 이용한 가상공간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실제공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인간의 반응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감성반응의 실내배색에 의해 실내공간에서의 디지털 벽면의 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개발하여 거주자의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었다. 이와 같은 거주자의 감성반응형 환경 디자인은 미래의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 PDF

비엔나 공방의 텍 스타일 디자인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extile Designs of the Wiener Werkstatte)

  • 차임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293-304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19 세기말에서 20세기초로 접어드는 시대에 유럽의 전위적인 텍 스타일 디자인을 창조하였던 비엔나 공방의 형성과 쇠퇴 동기를 규명하고 텍 스타일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 시대의 시대적 경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은 첫째, 비엔나 공방의 형성과정과 비엔나 세세션(Secession)과의 관계를 밝히고, 둘째로, 비엔나 공방의 전반기와 후반기의 텍 스타일 디자인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며, 이의 텍 스타일 디자인 특성을 디자이너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비엔나 공방의 텍 스타일 디자인 특성의 변화 분석을 소재, 레이아웃, 색상, 용도, 디자인 특성적인 면에서 요약하고 공방의 텍 스타일 디자인 성격의 변천요인에 대해 결론을 내렸다. 비엔나 공방의 전반기의 텍 스타일은 홈 퍼니싱 용도로 직조직물로 제작되었고, 호프 만과 비엔나 공방이 건축한 빌딩들이나 저택들에 사용되었다. 전반기의 디자인 특징은 올 오우버 레이아웃을 지니며, 삼색 상 미만의 단순하며 그래픽 적이며 대담한 디자인이다. 소재로는 동물이나 식물의 양식화와 건축 적 요소에서 유래된 기하학 모티브가 사용되었다. 후반기의 텍 스타일은 직조보다는 프린트에 중점을 두었고, 이들은 여성용 어패 럴에 사용되었다. 후반기에 디자인 특징은 올 오우버(All Over) 레이아웃, 줄무늬(Stripe) 레이아웃, 오지(Ogee) 레이아웃을 지니며, 자연을 양식화한 디자인, 전통적인 디자인을 해석한 디자인, 에스닉 디자인, 아프리카와 아즈텍 문명의 영향을 받은 기하학적 아르데코 디자인의 네 분류되며, 색상은 6,7도까지 사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