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축양식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이달의 과학자-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4 s.347
    • /
    • pp.82-83
    • /
    • 1998
  • 새로운 목재사용 전통목조건축 재현 연구-우리나라에서 건축 부자재로 사용되는 목재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멘트 등을 재료로 한 건축이 늘면서 전통적인 우리의 건축양식이 사라져 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대 임산공학과 이전제교수(47세)는 우리의 전통목조건축을 새로운 목질재료를 사용하여 재현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서울대 미식축구부 지도교수 겸 감독을 맡고 있는 이교수의 학문세계를 조명해본다,

  • PDF

A study on the Sty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Malay Peninsular (말레이시아 반도(半島) 지역 전통주거건축의 일반적 형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 Kweon, Taeho;Park, Soonk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 no.3
    • /
    • pp.25-3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traditional housing-culture in South East Asia, focused on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The research objectives are : 1) to obtain informations related to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West Malaysia. 2) to survey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in the selected area. 3)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traditional Malay houses were a major focal point of traditional Malay village society. The Malay houses provided the basic needs of shelter to the villagers. They were designed and built by villagers themselves, thus, manifestation of the creative and aesthetic skills of the community. Further, these houses reflect those factors including climate, geographical features, history of the region.

  • PDF

Sunlighting in atrium building (대공간의 채광계획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

  • 김정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1
    • /
    • pp.10-15
    • /
    • 1999
  • 산업헉명 이후 유리와 철의 이용은 넓은 개구부를 지닌 대형공간을 지닌 건축을 가능케 하였고, 1970년대 이후 새로운 건축양식의 추구라는 시대적 요구는 아트리움의 건축적 응용을 확산하게 하였다. 아트리움은 다층건물의 유리로 덮힌 대형공간으로 건물의 중심적이고 내부적인 공공의 공간이다. 대형공간으로서 아트리움의 가장 큰 특징은 넓은 채광창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에 있다. 넓은 채광창은 사람들에게 시각적인 개방감을 제공하며, 또한 많은 채광량으로 식재에 의한 조경이 가능해 외부공간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면서도 비·바람·추위 등으로부터 보호되는 쾌적한 온열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PDF

유토피아-이상에서 현실로

  • 김혜영
    • 주택과사람들
    • /
    • s.222
    • /
    • pp.88-89
    • /
    • 2008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는 공간의 합리성과 효율성에 집중하면서 20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생활 양식을 제시하고자 건축가와 예술가들이 손잡고 디자인 혁명을 일으켰다. 당시의 혁신적인 디자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를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건축설계교육의 형성에 관한 연구)

  • Kim, H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2903-2908
    • /
    • 2012
  • The architectural design methodology had been changed under control of Modern life. At that time,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was formed directly by modern architects for their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troducing the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to our college education of architecture on various si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orm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and its origin meaning on the basis of subjects and learning factors in the institute of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The spacial subjects and learning factors can be studied in the aspect of process and method that molds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propertie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were revealed. One property is creation that was revealed by Ecoles des Beaux-Arts'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Another property is that rationality that was revealed by in Ecole Polytecnique's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 Western Building System with the Chang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Facility Built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1910s - (일제강점기 양식건축구법(洋式建築構法) 사용의 특징과 계획적 변화 - 1910년대 조선총독부 관립시설을 중심으로 -)

  • Joo, Sang-Hun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1 no.5
    • /
    • pp.57-6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 western building system with the chang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the facility built by Joseon Government-General in 1910s. Through the 131 cases of governmental building, the tendency of the use of western building system. After 1910, Japanese Imperialism adopted the western wooden building system which main structure was made with combination of small pieces of timber for building the modern governmental facility because of the political and financial intention. So, all facilities were designed similarly by the structural module and the facade was finished by the feather boarding in the same with the 'sitamitakei-giyohu' in Japan.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each facility was not revealed. Such an western wooden building system was used until 1920s with the change of the facade by the mortar coating. But, in 1920s-1930s, the building system have begun to change. The use of the brick system caused some changes although the planing concept was still lasted.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the reinforced concrete led to more changes on the overall scheme.

한국전통건축의 좋은 느낌(1) - 병산서원

  • Kim, Seok-Hwan
    • Korean Architects
    • /
    • no.3 s.383
    • /
    • pp.92-99
    • /
    • 2001
  • 96년 미국과 멕시코로 루이스 칸과 바라간 등의 건축 답사를 다녀온 후로, 우리 전통 문화유산을 두루 보러 다녔다. 그동안 가까이 있는 것은 언제건 보겠거니 하고 미뤄 온 터라, 우리 것을 너무 도외시해 온 것 같은 자책감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리고 건축관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지만, 답사하면서 이따금 좋은 느낌을 만나 반가웠다. 솔직히 말해서 다 그런 것은 아니고 손꼽아 말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필자는 건축적 가치의 획득이 고전과 현대 또는 양식의 차이에 의해서가 아니고, 자체의 성공 여부에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건축의 본질은 변함없으며, 건축에 반영된 시대 상황이 다를 따름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훌륭한 문화유산을 많이 갖고 있다. 하지만 국가나 개인의 살림이 넉넉해서 그렇게 되어졌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종묘가 만들어진 것은 정신적 힘에 의해 이룩됐을 것이다. 그렇게 해서 지금 우리에게 위대한 모습으로 남겨 있는 것이 감사하다. 전통건축은 현대 사유 체계로는 추구될 수 없는 이상적인 모습을 띠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건축의 자본주의 행태와 대조되는 교훈도 느낀다. 도대체 우리 선조들에게는 구도하듯 짓는 어떤 전통이 있었기에 그렇게 훌륭한 건축이 남겨질 수 있었을까? 그 흔적을 나름대로 찾아보고자 한다.

  • PDF

항공장애물 표식설치에 관하여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0 s.70
    • /
    • pp.28-33
    • /
    • 1974
  • 항공기의 운행 안전을 위해 제40조 및 동법 시행 규칙 제133조, 제134조, 제135조, 제140조, 제141조, 제142조와 국제민간항공조약 부속서 제12조에 의거 설치 운용하고 있는 항공장애물 표식에 있어 건물 및 기지 시설 설치지 임의 설치, 또는 비설비 방치로 인해 항공장애물표식(주간 및 야간)관리 운용상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항공기 안전 운항의 불안전 요소가 되고 있어, 건물 및 기지 설비 시설 당국의 항공장애물 표식 적부검사를 받도록 관계기관에 요망하고 있는 바, 특히, 회원의 고층건물 설비 시 유의할 사항임으로 ‘항공기 관계조문’ ‘시행규칙’ ‘설치기준’ 및 ‘항공기장애물 설치허가신청서’의 양식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Arcitecture by Andrea Palladio's works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작품을 통해 본 미디어와 건축)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457-460
    • /
    • 2011
  • 안드레아 팔라디오는 후기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건축가로서 서양 건축사에 있어서 가장 유명한건축가의 한 사람이다. 그가 세상을 떠난 1580년 이후 그의 작품은 여러 번에 걸쳐 부활되었다. 팔라디오의 건축 작품과 저서는 서양 건축의 흐름에 영향을 끼쳐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오늘날 팔라디오가 인기를 모으고 있는 이유는 이탈리아 북부 지방에 남아 있는 그의 작품들을 직접 가서 보기 쉽다는 점에 기인한다. 여기에 더해서 팔라디오의 건축 작품이 놓여 있는 자연환경이나 도시적 상황이 우수하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이다. 팔라디오의 빌라나 팔라초, 교회 그리고 기타 공공 건물 등 많은 작품을 남김으로써 그의 훌륭함을 찬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도 그의 작품은 양보다는 질에 있어서 고전 부활 양식 이라는 독특한 건축 접근 방식에 대한 가장 훌륭한 예가 될 것이다. 무엇이 팔라디오의 작품을 먼 이국의 땅에 유행시켰나 하는 문제는 그의 건축의 우수성에 우선 기인하겠지만 또 다른 원인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르네상스 후기의 인문학 발전과 더불어 팔라디오의 작품에 세계성을 부여한 요소를 미디어의 발전과 연결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 PDF

A Study on Conservation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tyle and Facade Form in the Colonial Settlement City of Williamsburg (윌리엄스버그 컬러니얼 정착마을의 건축양식과 파사드 형태의 보존특징에 관한 연구)

  • Chong, Geon-Cha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3 no.2
    • /
    • pp.1-8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architectural restoration and street-scaping conservation of early settlement in Virginia, which have processed on the style of 18th centuries. One of the settlements in Virginia was Williamsburg that located in the high land between Jamestown and Yorktown. In 1698, the capital of Virginia was moved from Jamestown for the safer environment. At that time they constructed the town like a small urban that had a straight-lined Duke Glocester Street, Georgian style buildings, and landscapes of 18th centuries. Before 1928 the village was flown into ruins, but Rector of the church, Dr. W.A.R. Goodwin, understood the value of reservation to restore the village as colonial architectural style that has an original figure. John Rockefeller Jr. has taken part in his restoration of colonial style of architecture and culture. This paper surveyed nine cases of buildings and srtreet-scape on Duke Glocester Street. Most of the buildings on the street have a proposition, balance, and equipment of Georgian architectural facade in 18th centuries. The conclusion has three points. First, the Williamsburg has been reserved as an early colonial settlement through the restoration of architecture and street-scape design. Second, main architectural style is a Georgian form that has a balance, proportion, and simplicity of facade. Also new buildings and additions of architecture have to keep 'Design Review Guideline of Colonial Williamsburg' in order to contribute the existing colonial buildings. Third, the main street-scape, Duke Glocester Street shows Georgian architecture and cultural life pattern with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