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면적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재생에 따른 주거재정착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n Residential Resettlement in Accordance with Urban Regeneration)

  • 최열;임하경;장원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D호
    • /
    • pp.409-418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시 19개 주택재개발사업구역의 7,39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에 의한 지역주민의 주거재정착 여부와 그 비용에 대한 결정요인을 소유자 특성과 토지 및 건축물 특성, 단지특성, 입지특성 등의 변수를 통해 실증분석하였다. 도시재생에 의한 주거재정착과 주거재정착 비용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에 의한 주거재정착을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소유자의 연령, 거주지, 부동산의 보유기간, 투자여부, 소유권외 권리 등의 설정 등의 소유자 특성과 해당 토지의 지목, 건축물의 용도, 토지와 건축물의 면적과 허가유무, 보상액 등의 토지 및 건축물 특성, 시공사의 브랜드, 조합원 할인액, 단지규모, 중대형 주택의 비율, 녹지율, 건폐율, 용적률 등의 단지특성과 대생활권을 나타내는 입지특성으로 구성된다. 반면, 단지특성에서는 시공사의 브랜드 가치, 중대형 주택의 비율, 용적률 등 주택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들이 주민들의 재정착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시 거주 고령자 특성을 고려한 1인 주거면적기준 산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Housing Space Standar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Urban Area)

  • 이윤재
    • KIEAE Journal
    • /
    • 제12권5호
    • /
    • pp.53-61
    • /
    • 2012
  • As aging society progre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ousing standard that provides a healthy, safe, and convenient environment for the elderl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housing space standard that is geared towards elderly living in the urban area. Three steps were taken to attain the objective. First, characteristics of housing preference, spatial usage and furniture preference of the elderly were attained through a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respondents of the ages 60 to 79 living in three diffe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Second, the required floor space to perform individual specific behavior using anthropometric dimension of the elderly was investigated by literature review. Lastly, floor space of each space is suggested combining each area for individual specific behavior which reflects characteristics of housing preference and spatial usag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 follows. A bedroom was planned, which includes the function of receiving guests by giving the area for the placement of a sofa. The space for the use of dinning table for two person was planned in the kitchen and The space for the behavior of showering on a chair was planned in a bathroom. Lastly, the space for the behavior of taking off shoes on a chair was considered in the entrance area. Consequently, $35.4m^2$ is suggested as the necessary floor space for the elderly hous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urban area. However, because of space composition and space for accessibility, the additional space should be considered to plan the elderly housing.

고급연립주택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in Luxurious Row-Houses)

  • 라윤주;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9-216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빌라'로 통칭되는 고급연립주택의 사례조사를 통해 그 평면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 목적으로 1980년에서 2001년까지 서울과 분당지역에 건설된 지상 4층 이하, 연면적 660$m^2$ 이사인 연립주택 중 전용면적 50평 이상의 고급연립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분양자료와 건축, 주택, 인테리어 관련잡지, 인터넷에서 평면 135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연립주택의 평면 특성은 평형이 대형화 될수록 개 실의 수가 증가하기 보다는 새로운 기능의 공간이 거주자의 개성에 맞게 구성되며, 복층형 구조의 평면유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고급연립주택의 공동공간의 특성은 구성방식에 있어 거실분리형(L-DK)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평형이 커질수록 개방형은 거의 보이지 않고 거실분리형, 부엌분리형의 순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고급연립주택의 부부전용공간의 특성은 안방의 기능 분화가 시작된 80년대부터 현재까지 안방-드레스룸-욕실-부부침실의 공간구성이 일반화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고급연립주택의 가사작업공간의 특성은 주부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용도실의 가사실을 하나의 개실로 구성하여 부엌과 인접하여 배치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고급연립주택의 출입공간의 특성은 현관진입형, 마당진입형, 부출입구진입형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현관진입 형에서 현관문에 중문이 이중으로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PDF

영동지역 사찰의 구성요소별 화재하중을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 (Fire Risk Assessment of Temple Components in Young-dong Areas using Fire Loads)

  • 이해평;김수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71-7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영동지역의 사찰을 대상으로 불전(대웅전, 팔상전), 삼성각(칠성각, 산신각), 요사(심검당, 설선당), 루, 일주문 등 구성요소별로 구분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가연물의 종류를 구분하고, 실의 면적, 가연물의 재질 및 크기 등을 조사하여 화재하중을 산출함으로써 사찰의 구성요소별 화재 위험성을 판단하였다. 사찰의 구성요소별 총 화재하중은 불전 446.96 $kg/m^2$, 삼성각 313.71 $kg/m^2$, 요사 164.14 $kg/m^2$, 루 463.91 $kg/m^2$, 일주문 1,042.14 $kg/m^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찰의 구성요소별 화재하중은 일주문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루, 불전, 삼성각, 요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주문은 바닥 면적이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하여 가장 작은 반면, 건축 구조재는 다른 요소들과 비슷한 크기와 수량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보다 화재하중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외부공간 환경계획지표 사례분석을 통한 생태면적률 공간유형 보완 방향 도출 연구 - 식재부문 공간유형 신설을 통한 보완방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pplementation of the Biotop Area Ratio by case study of Outdoor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s)

  • 장대희;김현수;김태한
    • KIEAE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3-10
    • /
    • 2012
  • Recently,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has been pointed out as a major cause of climate change and biotop area deterioration]. Therefore, quantitative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housing design and planning have been needed especially to control the impervious area. The Biotop Area Ratio(BAR) as the mostly applied environmental planning control instrument in Korea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has been used effectively in various aspects. However, the fact that the space types are based on two dimension and ecological functions of spaces are simplified has shown the limitations of this planning instrument in the use as planning and evaluation indicator. In this study,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weighting of the space types in similar indicators Biotopflaechenfaktor (BFF, Berlin), Seattle Green Factor (SGF, Seattle), and Green Area Factor (GAF, Malmo) were analyzed. These indicators are similar in the sense that they apply weights to calculate the area and express a percentage of land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basic method that can estimate the vegetation volume is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BAR. It also was proven that the int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volume rate of biotops area was possible. Finally, the framework of space type classification criteria is proposed through linkages with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With the improvement of the space types, the BAR is expected to be reasonable indicator in outdoor space evaluation in housing project.

창호의 성능 및 건물의 창면적비에 따른 기존 단독주택의 창호 리모델링 방안 연구 (Optimum Method of Windows Remodeling of Existing Residential according to the Window Properties and Window Wall Ratio)

  • 이나은;안병립;정학근;김종훈;장철용
    • KIEAE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71-78
    • /
    • 2013
  • A need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is on the issue since energy demand in the building stock in Korea represents about 24% of the final energy consumption. As a way of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for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 lot of effort is shown to improve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by applying improvement of envelope insulation performance for buildings whose energy efficiency is low relatively through the remodeling. The windows of building envelopes are areas that lead to the biggest heat loss in the building. So windows are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target of energy efficiency in remodeling and various studies for windows have been done. Currently, however, only U-factor and airtightness of windows performance are regulated. Window wall ratio(WWR) and solar heat gain coefficient(SHGC) of windows are not considered when conducting the remodeling. In this study appropriate performance of windows(U-factor and SHGC) for existing residential is proposed according to the window wall ratio by using EnergyPlu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factor of windows representing the maximum energy savings is $1.0W/m^2K$ but in case of SHGC, the values that indicate the maximum energy saving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indow wall ratio. Therefore, when conducting the remodeling of windows, to determine energy efficiency by considering only the U-factor is inadequate so it is necessary that appropriate windows are applied to buildings by considering window wall ratio and windows properties(U-factor and SHGC).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내부 유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Flow Characteristics in the Pressurized Air Supply Smoke Control System)

  • 고권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52-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급기가압에 따른 건축물 내부의 공기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거실, 부속실 및 계단실 간의 차압분포 및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동 해석은 유효누설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누기율 시험설비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급기가압에 따른 각 실의 압력 및 유속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본 해석에서 공기의 누설은 유효누설면적을 갖는 얇은 틈새를 방화문과 창문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모사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해석은 계단실과 부속실 간의 차압에 대한 기존 실험의 결과를 적절히 예측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국부적인 누설이 급기가압 제연 설비의 전체적인 유동 패턴 및 압력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거실-부속실 문 단면에서의 평균속도가 방연풍속에 대한 국가화재안전기준을 만족하였으나 문의 상부와 같은 국부적인 위치에서 부속실로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포졸란 혼화재의 입자 크기 및 비표면적에 따른 응결시간 발현 및 압축강도 특성 평가 (Experimental Study on the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Nano-Micro Pozzolanic Binders as Cement Composites)

  • 김원우;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69-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포졸란 혼화재 혼입에 따라 응결시간과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응결시간 발현 특성은 포졸란 혼화재를 사용하였을 때 감소되는 효과와 압축강도가 증가되는 특성을 평가하였다. 포졸란 혼화재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 실리카가 초결 및 종결시간 단축 및 압축강도 발현에 효과적이였다. 두가지 이상의 혼화재를 사용하였을 때는 실리카흄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소량의 나노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OPC 대비 응결시간이 62~64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강도 수준이 약 1.17배 증가로 성능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나노 실리카가 소량의 혼입량으로 응결시간 감소 및 압축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은 포졸란 반응을 일으킴과 동시에 작은 입자크기로 상대적으로 큰 입자로 구성되어있는 실리카 흄과 시멘트 사이의 공극채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나노 소재의 경우 높은 비표면적으로 흐름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배합 설계 시 화학혼화제의 첨가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Network System of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in Gwangju -)

  • 박지훈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8호
    • /
    • pp.67-78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변화와 발전 과정에서 행정체계의 변화와 지위 및 역할을 조사하고,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에 따른 공간구성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년 공공도서관 건립 운영 매뉴얼에서 제시한 지위와 역할에 따른 유형별 소요 공간 및 면적 기준을 참고하였으며, 광주광역시 5개 구의 지역중앙 도서관을 대상으로 도면 분석과 공간 구성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있어 같은 용도의 공간 중복과 비효율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역주민에게 원활한 도서관 서비스를 위해서는 행정구역의 위계에 맡는 공공서관의 면적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주광역시 대표도서관의 개관으로 기존 중앙관의 공간 재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건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지하저류조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s of Flood Damage Mitigation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 김영주;한건연;조완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41-5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7동 지역을 배수구역으로 선정하여 집중호우발생시 유출특성을 모의하고, 침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하저류조의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SWMM 모형을 적용하여 2003년 태풍 '매미' 사상에 대한 유출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출해석을 통하여 계산된 월류량에 대한 2차원 침수모형을 적용한 침수해석을 통하여 2003년 당시의 침수흔적도와 침수해석 결과의 비교 및 검증을 실시하여 침수지역의 공간적 분포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하저류조의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동일한 강우조건을 가지고 대상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실시하여 월류된 유량에 대한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여 침수피해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지하저류조의 설치 및 크기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하저류조의 높이가 1.7 m($120m{\times}180m{\times}1.7m$)인 경우 월류체적은 72%, 침수면적은 40.1% 감소하였고, 높이가 2.0m($120m{\times}180m{\times}2.0m$)인 경우 월류체적은 84.8%, 침수면적은 50.6% 감소하였으며, 높이가 2.2 m($120m{\times}180m{\times}2.2m$)인 경우 월류체적은 94%, 침수면적은 91.2% 감소하였고, 높이가 2.5 m($120m{\times}180m{\times}2.5m$)인 경우는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하 저류조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연구결과는 침수피해 방지를 위하여 경제적이고 사회적으로도 활용가치가 높은 지하저류조의 설치를 위한 충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