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단계

검색결과 944건 처리시간 0.024초

발변전소 건축구조체를 이용한 대용접지공법 적용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substitution construction body for grounding conductor at substation and power station)

  • 최형철;이남형;장정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2180_2181
    • /
    • 2009
  • 발변전소 및 건축물의 접지설계 절차는 개발예정지에 대해 우선적으로 대지비저항을 측정하고, 측정자료를 기초로 하여 전용 해석프로그램의 모의과정을 거쳐 접지물량 및 지락전류 등을 산출하고 있다. 그러나 접지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 건축구조물 건립공정 기초 단계인 토공사시 현장 여견의 변화로 설계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장여견에 따라 건축구조체 등의 자연구성부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접지방식을 대용하는 공법에 대해 실증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국내.외 피난설계관련 사항 분석 (Requirement anlaysis for the International and dmestic building egress design)

  • 이창욱;이근수;김영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0-33
    • /
    • 2012
  • 경제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더불어 건축기술의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 용도의 복잡화 다양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하지만 미국의 WTC 테러 및 국내의 부산 해운대 우신골드스위트 화재처럼 대형 복합건축물의 화재는 인명 및 재산피해 뿐만 아니라 국민의 사회적 불안감을 증대시키고 국가 신뢰도를 실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건축설계 단계에서부터 재실자들의 안전한 피난을 위한 피난설계가 중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피난관련 사항의 체계와 특징을 살펴보고, 선진국의 피난관련 사항과 비교 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피난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콘크리트 교육에 대한 건축구조설계 실무자의 제언 (A Structural Engineer′s Advice to Concrete Engineering Educators)

  • 전봉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22
    • /
    • 2002
  •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구조설계 실무 분야로 진출하는 이의 비율이 3~5%라는 비공식 통계가 있다. 이 통계 숫자가 말하듯이 건축구조설계업은 건축공학과 졸업자가 택하는 소수의 직업군에 속한다. 재학시에는 콘크리트 구조, 강구조 및 여타 구조 과목을 해당 분야를 전공한 교수진으로부터 각각 배우지만 실무에서는 맡겨진 프로젝트에 의해 구조 형식이 결정되고 스스로의 노력과 회사 내 시스템을 통해 해결해야 하므로 구조 형식 전반에 걸친 프로패셔널(professional)이 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대한 전문지식도 학교에서는 콘크리트의 기본 사항, 수직 및 수평 부재의 단면 설계 연습 등을 통해 기본적인 단계의 지식을 습득한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구조 시스템, 콘크리트 프레임의 거동 및 수많은 부재의 단면 설계 등과 같이 포괄적인 지식이 주종을 이룬다.(중략)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Evacuation Simulation Program)

  • 윤호주;황은경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33-440
    • /
    • 2009
  • 경제발전과 도시화에 따른 급격한 인구증가와 집중화로 인해 건축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 했으며 이에 건축물의 화재 발생건수 증가와 더불어 인명 및 재산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명안전의 확보방안으로 건축물의 계획 및 설계 시에는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해 건축물의 안정성 평가를 하고 있지만 현재 분석에 사용되는 모든 프로그램들은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해 개발된 국내의 프로그램이 아닌 외국의 프로그램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국내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사전연구단계로 피난에 대한 기존연구를 중심으로 피난관련연구동향을 심층분석해 보았다.

  • PDF

초기설계단계에서 건축물 통합 안전성능 검증을 위한 평가요소 체계화에 관한 연구 (Systematiz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Integrated Safety Performance Verification of Buildings in the Early Design Stage)

  • 서지효;추승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53-60
    • /
    • 2018
  • When planning buildings, safety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over any other performance. The study aims to derive and systematize elements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design stage, which affects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and building users. The elements for safety of workers are classified by type of work, and the elements for safety of users are classified by fields. Elements that are difficult to be reflected in design stage or those whose effects are insignificant are excluded. In addition, application scenarios have been proposed for each element so that the elements created in this study can be directly applied and utilized in practice. This will contribute to lowering the accident rate of construction projects by evaluating the harmful risks of construction projects at the design stage.

공공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공단계 공사 우선사항 도출에 관한 연구 - 건축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Construction Priority in the Construction Stage of Green Remodeling in Public Buildings - With a Focus on Construction Elements - )

  • 박준수;안용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59-60
    • /
    • 2023
  • Climate change caused by greenhouse gas emissions has become a climate crisis that actually threatens us and is making global efforts to solve it. In response, Korea is carrying out a "Green remodeling" project to reduce carbon emissions generated in the building maintenance stage, which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carbon emissions. However, Green remodeling is carried out under emergency supervision at the construction stage, but construction supervisors are often non-professionals, and even experienced site directors have difficulty in implementing actual designs if they do not have experience in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priorities betwee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focus points for each construction in order to standardize the construction of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works and derive objective guidelines.

  • PDF

초고층 시스템거푸집 공사의 태양광에너지 활용 방안 연구 (Photovoltaic Application in System Formwork Operations of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김태훈;이명도;이웅균;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6
    • /
    • 2011
  • 최근 환경문제 해결 및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친환경 에너지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설치장소의 제약이 없고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 산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건설산업에서도 건물통합형 태양광발전에 대한 연구와 사례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는 시공단계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크게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시공단계에서의 친환경에너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거푸집 공사 전력공급을 위한 PV시스템(PVFS)을 제안하고 설계 및 적용타당성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시공 단계에서의 친환경 에너지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설계된 PVFS에 대한 설치면적 위치 확보 및 거푸집 허용하중 초과 여부, 공정영향, 경제성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기술발전을 통한 경제성 문제가 해결된다면 가까운 미래에 현장 적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공현장에서의 친환경 에너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친환경에너지 접목을 통한 새로운 건축환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파트 리모델링을 위한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s for Apartment Remodel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조용경;이재원;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7-65
    • /
    • 2019
  • 재건축을 통한 도시주거환경의 개선이 용이하지 않은 시점에 노후아파트가 리모델링을 통해 개선되지 못하고 방치된다면 결국 도시는 쇠퇴하고 슬럼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정부는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재건축의 대안으로서 인식하여 주로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마련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리모델링 허용으로 법을 개정해왔으나 리모델링은 아직도 시장에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의 아파트 소유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선택과 리모델링 투입비용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주택소유주와 투자자들에게 객관적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효과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분석 모형을 통해 가구특성, 주택특성, 시간경과 변수로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분석은 표본선택 오류를 고려한 Heckman 2단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1단계 리모델링 여부(선택 확률)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가구원수, 순자산, 주택만족도, 건축년도(11~20년), 건축년도(21~30년), 건축년도(30년 초과)로 나타났다. 2단계 리모델링 투입 비용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순자산, 면적, 건축년도(30년 초과), 단위주택가격으로 나타났다. 분결 결과를 통해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충당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허용 중심의 현행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이 큰 효과가 없을 것으로 실증되었다. 더불어 연령 변수와 관련하여 고령자라 하더라도 순자산과 소득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 및 경기도의 고령자의 경우에는 선행연구에서 선택확률이 낮아지고 투입비용이 줄어드는 것과 달리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 규모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BIM 적용사례를 통한 설계 및 시공프로세스 표준화 수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Standardization through Building BIM Application Case)

  • 정희웅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7-358
    • /
    • 2022
  • 국내 건축물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BIM 적용에 대한 건설 전반적 운영의 기대치인 설계 BIM의 재활용 및 시공단계에서 필요한 견적, 공정 등의 정보 추출 및 활용을 만족하기에는 연계되는 모바일 기술이나 단말기기의 현장 보급 및 적용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BIM 세부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모바일 기술 적용의 4D 시뮬레이션 및 Test-Bed 신축건축물 대상으로 기획·계획·기본·실시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3차원 3D와 공정관리 4D 시뮬레이션 및 5D 물량산출 BIM 모델과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시공단계에서 BIM 모델을 통한 간섭체크 등 다양한 시공성 검토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건설업무의 BIM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화 수립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외 오프사이트 건설 관리 연구 동향 : 작업 단계 수준에서의 문헌 연구 (Research Trends in Off-Site Construction Management : Review of Literature at the Operation Level)

  • 장준영;;이찬식;김태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14-125
    • /
    • 2019
  • OSC (Off-Site Construction)는 공장 생산 기반의 새로운 건설 방식이다. 생산성과 경제성, 품질면에서 기존 방식에 우위에 있기 때문에 미국, 영국 등 세계 각지에서 OSC 관련 설계 및 생산 표준화, 운반 방법 등과 같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분야의 출현으로 합리적인 관리가 요구됨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범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CM/PM범위의 "작업 단계 수준"에서 연구 동향 및 관계를 분석하여 연구의 영역, 연구 간 관계, 현재의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 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 9월3일까지 작업 단계의 수준 94개의 논문으로, OSC (CM/PM)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1) 2006년부터 작업 단계 수준의 연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 Non-volumetric pre-assembly유형은 작업 단계에서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다. (3) 건축물 유형에서는 주거용: 주거의 생활, 품질 문제, 비주거: 경제 문제, 공장: 생산성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Non-volumetric pre-assembly 유형은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축물에서 경제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으며, 반면, Modular building 유형은 조립 품질에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었다. (5) 2006년부터 프로젝트 관리 영역(예 : 품질, 인적 자원, 위험)이 확장되었다. 이 연구를 활용하면 OSC 새로운 연구 영역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산업, 기업, 프로젝트 단계 수준까지 분석을 진행한다면, OSC 산업의 전반적인 연구 흐름 및 분야별 영역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