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조 밀도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2초

흙의 밀도(密度)와 함수비(含水比)가 전단강도(剪斷强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Study on the Effect of Density and Moisture Content on Shear Strength of Soils)

  • 조성섭;강신업;강예묵;김성완;김성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15-28
    • /
    • 1978
  • 흙의 전단강도(剪斷强度) 옹벽(擁壁)이나 사면(斜面)의 안정(安定) 혹은 구조물기초(構造物基礎)의 설계등(設計等)의 문제(問題)를 해결(解決)하는데 중요(重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접전단시험기(直接剪斷試驗機)는 수직응력(垂直應力)의 불균일성(不均一性), 진행성파괴(進行性破壞), 측면마찰(側面摩擦)의 영향등(影響等)에 대(對)하여 해결(解決)하여야 할 문제(問題)를 내포(內包)하고 있다. 그러나 본시험(本試驗)에서는 그의 장치(裝置)가 간편(簡便)하여 널리 사용(使用)되고 있는 직접전단시험기(直接剪斷試驗機)를 사용(使用)하여 밀도(密度)와 함수비(含水比)를 변화(變化)시키면서 비배수(非排水) 급속전단시험(急速剪斷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조밀도(乾燥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딸라 전단강도(剪斷强度)는 큰 값을 나타내고 같은 밀도(密度)에서도 입도배합(粒度配合)이 양호(良好)한 흙에서 전단강도(剪斷强度)는 큰 값을 나타냈다. 2. 점착력(粘着力)은 건조밀도(乾燥密度)가 커짐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나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일률적(一律的)인 증가(增加)의 경향(傾向)이 나타나지 않았다. 3. 함수비(含水比)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전단강도(剪斷强度)는 감소(減少)하였고 이와같은 현상(現象)은 입도배합(粒度配合)이 양호(良好)한 흙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4. 점착력(粘着力)은 흙의 함수비(含水比)가 최적함수비(最適含水比)에 가까울 때 최대(最大)로 되고,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 함수비(含水比)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이와같은 현상(現象)은 입도배합(粒度配合)이 양호(良好)한 SDC-1 시료(試料)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5. 점착력(粘着力)은 공극비(空隙比)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고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이와 같은 경향(傾向)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원전 시설용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건조밀도 특성 평가 (Evaluation for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ress Strength and Dry Density of Concrete at NPP)

  • 이영대;김규용;신경수;남정수;이태규;최경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3-54
    • /
    • 2011
  • The facilities producing the nuclear energy chosen for resolving the recent global energy problem have been increasingly constructed, and hence more frequent durability tests on radiation shielding concrete are required due to NPP(Nuclear Power Plant) life extension and increase of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Bulk dry density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ensuring the dur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radiation shielding concrete because the design of the radiation shield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for NPPs is based on the bulk dry density of the concrete. Bulk density of unconsolidated shielding concrete can be calculated utilizing a test assuring to satisfy the bulk dry density, or existing credible data set. This study evaluated correlation between bulk density and bulk dry density of the concrete used for Korean NPPs (y=1.0913X-0.2458) and developed a correlation expression considering standard deviation of bulk dry density (y=1.0913X-0.3358).

  • PDF

산불지역 유실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from Burnt Mountain)

  • 신승숙;박상덕;김선정;신은주;이규송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541-545
    • /
    • 2010
  • 식생이 소실된 산불 피해 지역에서 유실되는 토양의 식생회복에 따른 정량적인 변화를 파악하고, 사면토양과 유실토양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산불 이후 10개의 조사구에서 강우에 의해 유실토양의 양을 측정한 후 토양을 건조시켜 보관하였다. 토양의 입도분석, 유기물함량, 건조밀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전처리한 토양수는 ICP를 이용하여 Fe, Mn, P, Al, Zn, Na, Mg, K, Ca의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산불 이후 시간경과에 따른 조사구별 식생 회복은 빠른 지역과 느린 지역으로 크게 구분한다. 재생이 불량한 지역은 재생이 왕성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되었다. 사면토양의 성분분석 결과 재생불량 지역의 성분함량이 가장 작았으며, 재생왕성 지역은 비피해지에 비해 성분함량이 대체로 높았다. 유실토양의 성분분석 결과 식생회복이 느린 조사구에서 영양염류 함량이 대체로 낮았다. 그러나 식생회복이 느린 조사구에서 많은 양의 토양이 유실되기 때문에 정량적인 영양염류의 소실량은 가장 많았다. 따라서 지표식생이 없는 지역은 다량의 토양유실로 인해 다량의 영양염류가 소실되어 식생 재생을 더디게 만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완충재의 물리적 성능향상을 위한 국내 벤토나이트의 열전도도 측정실험 (Measurements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Domestic Bentonite for Improving the Physical Performance of Buffer)

  • 김건영;김승수;최종원;박성완;배대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9-98
    • /
    • 2006
  • 공학적 방벽 중 완충재의 물리적 성능향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국내산 옥산 벤토나이트 원광을 사용하여 건조밀도(1.6, $1.8g/cm^3$), 수분함량(5, 9.4, 15, 20 wt%), 모래함량(0, 10, 20, 30 wt%)을 변화시켜 제작한 벤토나이트 블록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중, 수분 함량의 변화에 의한 열전도도 증가 효과가 가장 켰으며 특히, 수분 함량이 15 wt% 이상일 경우 건조밀도와 모래함량의 변화와 상관없이 1.0 W/mK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내의 옥산 벤토나이트 원광을 완충재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벤토나이트 블록의 제작 용이성과 열전도 증가의 효율성을 고려하였을 때 건조밀도 $1.6g/cm^3$, 모래함량 $10{\sim}30$ wt%, 함수량 15 wt%로 벤토나이트 블록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제안될 수 있다.

분무건조법에 의한 높은 내마모성 아연계 탈황제를 제조하기 위한 슬러리의 pH와 점도에의 영향 (Effect of Slurry on the pH and Viscosity for the Preparation of High Attrition Resistance Zinc-based Desulfurization Sorbents by Spray Drying Method)

  • 권병찬;박노국;한기보;류시옥;이태진
    • 청정기술
    • /
    • 제12권4호
    • /
    • pp.232-2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분무건조법으로 유동층용 아연계 탈황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슬러리의 pH와 점도가 성형된 탈황제의 내마모성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아연계 탈황제의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기성 결합제로 알루미나 졸이 사용되었으며 슬러리에 들어있는 무기 결합제의 효과적인 분산을 위하여 슬러리의 pH가 조절되었다. 슬러리의 pH가 높아 알칼리성인 경우 알루미나 졸이 겔 상태로 변하여 슬러리의 점도가 높아지며 성형된 탈황제의 내마모성이 저하 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슬러리의 pH가 6으로 조절되어 성형된 탈황제가 가장 좋은 내마모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슬러리의 점도에 따라 성형된 탈황제의 밀도와 표면적 그리고 기공도가 달라졌으며, 이로부터 탈황제의 마모 특성이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성형된 탈황제의 내마모성은 밀도가 높고, 표면적과 기공도가 낮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점도범위는 약 400-550 cP 정도였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을 이용한 사암의 공극률 산출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andstone Porosity by Using a Microwave Oven)

  • 우슬기;김진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0-160
    • /
    • 2017
  • 암석의 공극률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한국암반공학회에서 정하고 있는 '암석의 공극률 및 밀도 측정 표준시험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건조로를 이용하여 공극률을 구하는 이 같은 표준시험법은 8-24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실험 도중 4시간 간격마다 시료를 꺼내어 무게를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을 이용하여 암석의 공극률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 무게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무게 측정의 오차 발생 요인과 실험 과정의 번거로움을 줄였다. 건조과정에서 시료의 온도를 $105{\pm}3^{\circ}C$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가열/휴지시간을 설정하였으며, 시료의 무게 변화량이 최초 무게의 0.1% 이내에 들면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도록 알람 시스템도 구현하였다. 무게 모니터링 데이터에 곡선접합을 실시하여 시료의 건조무게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극률을 산출하였으며, 이렇게 구한 공극률을 표준시험법으로 구한 공극률과 비교하였다. 사암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으로 구한 공극률은 표준시험법으로 구한 공극률과 최대 0.4%의 오차를 보여 표준시험법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동일 시료를 이용하여 공극률을 반복 측정한 결과, 표준편차가 최대 0.23% 정도로 정밀도 또한 양호하였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을 사용할 경우 높은 신뢰도로 공극률 산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래-벤토나이트 혼합물의 지반 공학적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Fundamental Study on Geotechnical Properties of Sand-Bentonite Mixtures)

  • 권무남;유택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9-110
    • /
    • 1997
  •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sic geotechnical properties of sand-bentonite mixtures with the various bentonite content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Optimum moisture content of sand-bentonite mixtures was approximately 17.10~18.52%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ry density of 1.58~1 .64gf/$cm^3$. As the bentonite contents and curing peroid increased, both the maximum dry density and optimum moisture content of sand-bentonite mixtures increased. 2.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sand-bentonite mixture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bentonite content, but it did not change along the curing period. 3. The sand-bentonite mixtures ruptured at 8~15% of the axial strain and the maxi-mum shearing stress was about O.7Okgf/$cm^2$. 4.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entonite content, the cohesion intercept and internal friction of the sand-bentonite mixtures increased slightly in the shear test, while the cohesion intercept increased largely,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 decreased largely in the triaxial test. 5. Both the initial void ratio and swelling of the sand-bentonite mixtures were very low with respect to the consolidation pressure increase. 6. The swelling and shrinkage of sand-bentonite mixtures increased slightly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bentonite content.

  • PDF

실 단면 형상과 니트 구조 인자가 흡한속건 소재의 수분이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arns Cross-Sections and Structure Parameters of Its Knitted Fabrics to Moisture Transport of Perspiration Absorption and Fast Dry Fabrics)

  • 김현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7-463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water absorption and drying properties of the thirteen types of the knitted fabrics for sports wear. These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sed with relation to the constituent fiber cross-sectional shape and structure parameters of the knitted fabrics by regression analysis. Absorption and drying properties of the knitted fabric specimen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orosity of the constituent yarn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capillary channels in the yarns. The water absorption and drying properties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ightness factor and stitch density of the knitted fabric. The absorption property of the knitted fabric for perspiration absorption and fast dry sport-wear clothing was mostly influenced mostly by fiber cross-sectional shape and its characteristics, whereas, drying property was dependent on the structural parameters of the knitted fabric such as tightness factor and stitch density. Therefore, superior perspiration absorption and fast drying knitted fabric could be obtained in the fabric structure with optimum tightness factor and stitch density, and constituent yarn structure with non-circular fiber crosssection and high porosity. GATS method and MMT method are used to measure sweating fast drying properties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using these measurement methods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화학열펌프용 열전도성 블록의 제조 (Manufa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eat Conductive Blocks for Chemical Heat Pump)

  • 한종훈;조길원;이건홍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30-235
    • /
    • 1995
  • 염-암모니아계 화학열펌프기술의 핵심인 전도성 블록의 특성파악을 위한 기초단계 연구로서 전도성 블록의 제조 및 기초물성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황산이 함유된 천연흑연을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준비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팽창흑연을 압축, 성형하여 흑연지지체를 제조하였으며, 성형된 지지체에 진공기법을 이용하여 염을 함침하고 건조과정을 거쳐 전도성 블록을 제조하였다. 전도성 블록의 특성분석으로서 염의 입자내에 분산정도는 EPMA/EDS, 기공율 및 기공크기 분포는 헬륨침투법과 수은 침투법, 기체투과도는 Darcy's law를 적용하고, 열전도도 측정은 전이 일차원 열류기법을 이용하였다. 전도성 블록이 암모니아와 반응 했을때 부피팽창을 관찰하였으며, 반응기에서 전도성블록의 온도분포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블록은 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으며 기공율은 제조조건에 따라 0.4 ∼ 0.83, 기체투과도는 0.01 ∼ 10 Darcy, 열전도도는 흑연지지체의 겉보기 밀도가 110 kg/㎥ 인 경우, 반지름방향의 열전도도, λr은 20 W/mK, 축방향의 열전도도, λa는 17 W/mK 이였다. 겉보기밀도가 150 kg/㎥ 인 경우, λr은 22 W/wK, λa는 20 W/wK 이였다. 전도성 블록의 부피팽창은 비가역적이었으며 대부분이 반지름 방향보다 축방향에서 팽창이 일어났다. 온도분포는 초기 반응의 kinetics가 내부온도를 지배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후 반응기 내부온도는 외부열전달에 의해 지배되었다.

  • PDF

시편의 성형방법이 반복삼축압축시험을 이용한 지반의 액상화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ample Preparation on Liquefaction Estimation Using Cyclic Triaxial Test Conditions)

  • 이익효;김동수;김준석;황지훈;서성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57-64
    • /
    • 2003
  • 지진하중조건에서 포화된 모래의 액상화 가능성은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에서 대표적인것은 실험실에서 반복삼축압축시험에 의하여 모래의 반복강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재성형된 포화 균등모래의 액상화 특성에 있어서 시편의 성형방법에 따른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건조시료의 공기중낙하다짐, 습윤층다짐, 습윤진동층다짐 등 3가지 방법에 의하여 동일한 밀도로 다짐된 포화된 균등한 모래에 대하여 삼축압축시험이 수행되었다. 같은 밀도에서 다른 방법에 의하여 성형된 포화된 균등한 모래의 액상화 저항특성인 반복응력비는 크게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