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청

Search Result 42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on National Highways (국도상의 지능형교통시스템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 Lim, Sung-Han;Kim, Hyun-Suk;Heo, Tae-Yo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4
    • /
    • pp.205-212
    • /
    • 2009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ITS) has been currently growing attention in industry as hightech traffic system and ITS infrastructure has been built not only on expressway but also on national highways. Although the effect of ITS installation on national highways is not easy to measure with quantitative methodolog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quantitative method to verify the effect accurate analysis of ITS effect.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cost efficiency of ITS project carried out by Iksan Regional Constri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IRCMA) was conducted. Analysis period and discount rate were assumed as 10 years and 5.5%, respectively. Several measures of the effect including reduction of travel time, CO2 discharged and fuel and the value of Variable Message Sign(VMS) information were proposed. Concludingly, ITS project implemented by IRCMA appeared to be cost effective, indicating 1.20 of B/C ratio, 12.4% of IRR and W1.48 billion of NPV.

Application of ISMN method for quality control of soil moisture data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ISMN 방식 적용)

  • Shin, Hyung Jin;Lee, Jae Nam;Hwang, Seon Ah;Ok, Jung hun;Lee, Ki Won;Park, Chan Gi;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4-254
    • /
    • 2022
  • 밭 용수관리 및 가뭄 대응을 위한 토양수분 실측자료의 품질관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토양수분 자료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국제 토양수분 네트워크(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 ISMN)가 설립되었고, 전세계 1,400여개 지점의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하고 있다. ISMN 품질관리 방식은 토양특성, 강우에 대한 반응, 토양온도, 시계열특성을 이용한다. 지표면 최상 토층에 저장되어있는 수분인 토양수분은 기후 예측, 홍수 예보, 농업가뭄평가, 수자원 관리, 온실가스 산정, 인프라 보전, 수인성 전염병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Dorigo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기기를 이용한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해 ISMN에서 제시한 총6개의 단계별 품질관리 체계를 적용하였다. 단계는 1) 토양수분이 0 m3m-3보다 작은지, 2) 또는 0.6 m3m-3보다 큰지, 3) 토양수분값이 공극률보다 큰지, 4) 토양온도가 영하인지, 5) 토양수분이 강우 이벤트 없이 증가하는지, 그리고 5) 토양수분 시계열 자료에 spike 가 있는지 6) break나 platea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Quality Flag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 데이터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상치를 보정하였다. 향후, ISMN의 Quality Flag (QF1-QF10)를 적용하여 모니터링 자료의 품질관리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The Experimental Study of Distribution Life-Force Impact on Piles and Landing Pier (잔교식 안벽의 상부와 Pile에 작용하는 파압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ang-Kil;Kim, Ki-Hyun;Kim, Woo-Seang;Park, Byung-Yul;Kang, Deok-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2-556
    • /
    • 2006
  • 항만건설에 있어서 항만의 내부시설 중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시설물은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켜 하역할 수 있는 안벽시설물이다. 안벽구조 형식의 결정은 항만의 이용목적 등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항만의 건설입지조건 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안벽구조형식 중에서 잔교 식 안벽은 무엇보다도 단기간에 건설이 용이하여 지금까지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장래에도 이용도가 증가되리라 생각한다. 최근에는 해안선을 이용한 위락시설이 건설되면서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여 보조시설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 설계되어 잔교를 설계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항내의 정온이 잘 유지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랑에 의한 반사율과 잔교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태풍이 내습할 경우 기존의 항내로 높은 파랑이 침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항내에서도 잔교의 파괴로 인한 자연재해가 대형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 처음부터 안벽을 설계할 때에 대형화의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잔교 식 안벽 구조물을 잔교의 상부 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분포와 잔교 전면의 반사율 등이 구조물의 유지관리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반사율 검토와 양압력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연구의 대상은 일정 해역에 잔교 식 안벽을 설계하고자 할때 최적의 안벽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전과 항내정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수리모형실험으로 인한 연구는 잔교 식 안벽에 대한 반사율과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 잔교말뚝(pile)에 작용하는 수평압력을 검토하여 잔교 식 안벽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혈청을 이용한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지에 더해주면 세포의 증식이 개선될 것이다. 그래서 몇 가지 첨가물을 이용해 세포의 증식력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첨가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IGF-I의 경우 장기간 배양에서 세포의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계대 횟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IGF-I이 어느정도 세포의 증식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무혈청 배지에서 비적응 CHO 세포의 계대 배양에 한계가 있는 것은 세포주기가 멈추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주기가 멈추는 growth factor와 같이 세포의 증식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무혈청 배지에서는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IGF-I과 같은 첨가물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진다.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임상에서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에 굴곡을 부여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경우 초탄성 특성은 유지될 수 있으나, 부하-변위 곡선의 상방 증가가 나타나므로, 와이어에 의한 교정력이 증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 PDF

Development of Web-GIS based Topsoil Erosion Prediction System (웹GIS 기반 표토침식 예측 시스템 개발)

  • Kum, Donghyuk;Lee, Dongjun;Sung, Yoonsu;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3-323
    • /
    • 2016
  • 최근 강우강도 등의 기후변화로 인한 표토침식량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표토는 인류에게 식량생산의 기반이 되고, 정주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생산, 수자원 함양, 기후변화 대응, 생물 다양성 유지, 생태계의 건전성, 자원함양 및 순환, 오염물질 정화 등 소중한 생명자원이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2012월 12월 표토의 침식현황에 관한 고시를 제정하고, 표토 유실 대책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자원으로서의 표토를 보전하기 위한 단기적 관점의 대책 수립을 위한 웹GIS 기반 단일 강우에 의한 표토침식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표토침식 예측 모듈 개발과 정확성 평가를 위한 시험포 단위 모니터링 그리고 모듈을 적용한 웹GIS 시스템 개발, 시범적용을 위한 강원도 홍천군 자운리 DB 구축으로 구분된다. 표토침식예측 모듈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가로 4m ${\times}$ 세로 22m, 경사도 3%, 9% 시험포 2개를 조성, 2015년 5월 11일부터 2015년 11월 23일까지 강우량, 유출량, 표토침식량을 조사하였으며, 웹 GIS 시스템은 Open Source Software인 Geoserver, PostGIS, OpenLayers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웹GIS 표토침식예측시스템의 시범적용을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자운리의 농경지 경계, 경사도, 경사장, 작물특성 등에 대한 GIS DB를 구축하였다. 시험포 모니터링 결과 강우발생일수는 총 64일로 관측되었고, 이중 유출은 총 30회가 발생되었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표토침식 예측 모듈을 검증한 결과 3 % 시험포의 유출량 NSE : 0.88, $R^2$ : 0.91, 표토침식량 NSE : 0.87, $R^2$ : 0.90, 9 % 시험포의 유출량 NSE : 0.76, $R^2$ : 0.82, 표토 침식량 NSE : 0.82, $R^2$ : 0.88로 나타났다. 웹GIS 표토침식 예측 시스템은 Layer 정보, 맵, GIS tool, 경작기 정보, 날씨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상청 Open API와 연동하여 당일의 강수량 예보 데이터와 표토침식량 산정 모듈을 이용하여 예측 표토 침식량 데이터를 제공한다. 하루가 지나면 기상청에서 실측한 강수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토 침식량 산정모듈이 자동적으로 수행된 뒤 실측 강우량에 대한 표토침식량 정보가 제공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GIS기반 표토침식 예측 시스템은 시범 대상 유역인 강원도 홍천군 자운리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대상유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Compulsory Multiple Prime Contract System (건설산업 제도개선을 위한 분할·분리 발주 제도의 선진화 방안 연구)

  • Kim, Sang-Bum;Cho, Ji-H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2
    • /
    • pp.184-193
    • /
    • 2013
  • Procurement System for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has mainly been controlled by the complicated regulatory system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unflexible and remotely separated from the global standard. This has been identified by many Korean construction experts as one of the main reasons that hampe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becoming the global leader. One commonly discussed regulatory system is the compulsory multiple contracting system that has been enforced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Korean governmental contracting law 68-3, all construction projects cannot be divided into separate contracting packages with a few exceptions. Exceptions stated in the law include construction activities related electr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fire-fighting, and cultural assets which all are governed by the separate laws/acts controlled by the different governmental bodies. This research is to closely investigate multiple prime contracting system that has been compulsory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to these restrictions. Although, there has been a long history of this compulsory contracting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objective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the system as well as global standard on the issue. This study suggests main considerations when considering different contracting system such as rights of owners, flexibilities of regulatory systems, and efficiencies of conducting a construction project. It is envisioned that recommendations from this study, if accepted by the regulatory bodies, would improve the Korean construction contraction system by making it more compatible with global standard. Moreover, these would help making the Korean industry more effective in terms of regulatory restrictions.

A Study on the Current Guideline Trends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Developing Open BIM Guideline (개방형 BIM 지침 개발에 관한 국외의 지침 분석 및 전략적 방향에 관한 연구)

  • Seo, Jong-Cheol;Kim, In-H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4
    • /
    • pp.58-66
    • /
    • 2009
  • Recently, the BIM paradigm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has been recognized as a momentum that can enhance productivity, efficiency, and collaboration of work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aspect, some countries have driven the development of BIM guideline to introduce and apply the Open BIM which is IFC-based BIM. Whereas,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BIM in Korea has been tried partly by several government agencies, public companies, design and construction companies. To promote the proliferation in the BIM use, therefore, the guideline needs to be developed first of all than anything els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ddresses the trends of the BIM guidelines of foreign countries and strategic directions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Open BIM guidelin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upervision Guarantee System in Korea (국내 설계.감리 등 용역보증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Lee, Yong-Hee;Choi, Jae-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53-61
    • /
    • 2011
  • After several collapse accidents of large structures in the early 1990s in Korea, the government enacted a law that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rms are obliged to have insurance for projects over a certain siz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insurance in design and construction supervision works (i.e. engineering insurance), although several operation-based problems were pointed out from practitioners, still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analyzing current regnlartory and operational state and suggesting policy alternatives. Hence, this study applies Delphi technique to solicit current operational problems and propose a series of improvements on engineering insurance based on interview surveys targeting major market participants: municipalities, engineering firms, and insurance companies. Key findings culminate in adopting guarantee limits based on credit evaluation, abrogating joint surety, covering a loss of life, increasing insurance entrance fee, extending time covered, and etc. Reaching a consensus on the proposed alternatives between the market participants will form the foundation for sound developments of construction design and engineering industry.

BSC Based Measurement of Satisfaction Degree For Based BIM Construction Projets (BSC를 기반으로 한 BIM프로젝트의 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 Song, Mi-Rim;Yoon, Su-Won;Chin, Sang-Y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4
    • /
    • pp.117-129
    • /
    • 2011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BIM)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olutions to deal with the trend that buildings are gett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large-scaled, and multiple-purposed. BI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increasingly adopted since the Korea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nounced that BIM would be obligated in a construction project whose total cost is over 50 billion won from 2012. This fact has boosted BIM related research projects as well. Howeve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focusing on the solutions with technological points of view and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how much degree project stakeholders are satisfied with the BIM adoption in their project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degree of stakeholders in a synthesized point of view in BIM-based projects in order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and weak points in the BIM adoption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greatly help to improve the strategies and processes in BIM-based projects as well a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degree of BIM utilization in a project.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Preventing Accidents During Building Design Phase (재해예방을 위한 건축공사 설계단계 안전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

  • Han, Byoung-Soo;Park, Chan-Sik;Hong, Sung-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2
    • /
    • pp.68-74
    • /
    • 2007
  • It has been recognized that safety management is activated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to prevent accidents and fatalities of workers. However, It is revealed that about 15% of fatal death accidents is caused by the lack of management of planning and design phases. There is a crucial need of assessing safety risk during building design phase. This paper is aimed to develop a safety risk assessment checklist that can be used during building design phase, utilizing the concept of Design for Safety. In doing so, a broad literature survey on safety management of building Process, various safety risk assessment toolboxes being utilized in the HSE and the BAA of UK. The proposed checklist contains the followings: 1) classification structure for safety design on space, element, and trade work 2) hazard risk factor, probability and degree of intensity of accident occurrence, and 3) safety assessment criteria. It is expected that the checklist would be an effective tool of preventing and minimizing fatal accid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중국 건설시장의 현황과 전망(1) - 청도시의 경험을 중심으로

  • Son, Jong-U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91
    • /
    • pp.52-57
    • /
    • 2001
  • 예상은 하고 있었던 일이지만, 준비없이 갑작스럽게 다가온 1993년 중국과의 국교정상화는 우리에게 무의미한 대가를 적지않게 하였다. 그리고 이후 이미 8년이란 세월이 흘러갔어도 잘못 끼운 첫 단추의 부담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아니 어쩌면 영원히 해결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숙제로서 남겨져 있다. 특히 손상된 민족의 자존심은 경제적인 실리를 떠나서 제2의 조공시대를 방불케 하는 신사대주의의 한중관계를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최근 들어 IMF이후 주춤했던 중국을 향한 건축계의 막연한 기대가 2010년 북경의 올림픽 유치확정을 계기로 서서히 달아오르는 느낌을 받는다. 게다가 일부 언론매체의 보도는 벌써부터 앞으로 발주될 100억 달러 이상의 건설시장경기를 들먹이며 우리의 떡이 어느 정도인지 저울질하는 웃지 못할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론 의욕과 열정을 무조건 탓하는 것도 잘못이지만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이며 지나친 무리수는 결과적으로 과역과 과열이라는 쓰라린 경험을 남기기 십상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가 할 일은 분명하다.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고 저들의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며 국제적인 추세를 냉철하게 읽어내는 것이다. 중국의 건설시장에 관해서는 이미 1995년 12월호 '건축'잡지에서 '중국의 건축'이라는 특집을 통해 부분적으로 소개된 바 있고, 2001년 9월호 '건축인'에서도 '중국건축:건설시장, 아직도 기회는 있는가'라는 주제를 다룬바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설계사무소가 자신의 실제 작업경험을 다양한 지면을 통해 간헐적으로 소개하는 한편, 지금 이순간에도 자신들 나름대로 중국건축업계와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진행하는 일이 적지 않다. 이 글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건축설계사무소 가운데 하나인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가 중국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즉, 이 과정은 비교적 총체적인 것임)에서 얻은 경험을 진솔하게 밝혀 한국건축계의 동료들과 자료를 공유하여 동일한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근본적인 목적이 있으며, 참고로 최근 중국 건설시장의 동향을 가능한 한 상세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