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정보모형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variation for inundation risk area in Seoul according to diversification of risk criteria (위험기준 요소의 다양화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 지역 변화 분석)

  • Yoon, Seong-Sim;Lee, Dong-Ryul;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0-190
    • /
    • 2019
  • 호우로 인해 도시지역에 발생하는 홍수의 대표적인 특성은 도로와 저지대의 내수침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침수현상을 모의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도시유출해석 모형과 연계된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을 활용한다. 다만, 이러한 물리적, 수치해석 도구들은 공간적인 해상도가 높고, 대상영역이 넓을수록 많은 연산시간이 소요되므로 집중호우와 같이 단시간에 많은 비가 발생하는 경우 홍수예보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나리오 기반의 침수위험 정보를 사전에 정의하나, 위험기준을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 위험지역과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상세한 침수 예상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침수시나리오 기반의 침수위험 예보 기준 지도를 작성하고, 기준 지도 작성 시 위험기준 요소의 정의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서울시의 침수위험 지역과 위험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침수시나리오는 76개 강우 시나리오와 SWMM모형, 2차원 침수해석모형(GIAM)을 활용하여 생산한 결과를 활용하였다. 생산된 침수시나리오는 6m 시공간 해상도를 갖지만, 예측강우를 활용한 돌발홍수예보 프로토타입의 기준 격자망을 고려하여 500m 해상도로 변환하여 분석에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의 유무, 위험 정도를 분류하는 위험기준을 영역 내 최대침수심, 평균침수심, 침수면적 비율 등으로 다양화하고, 각 위험기준 요소별 침수위험 예보 기준 지도를 작성한다. 또한, 실제 침수발생 사례에 작성한 침수위험 예보 기준 지도를 적용하여, 침수위험 지역과 위험도를 가장 적합하게 구현한 위험기준을 찾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streamflow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using analytical and numerical models (해석적 모형과 수치적 모형을 이용한 지하수 양수로 인한 하천수 감소량 산정)

  • Lee, Jeongwoo;Chung, Il-Moon;Kim, Nam Won;Hong, S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94-294
    • /
    • 2018
  • 복잡한 수문 수리지질학적 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SWAT-MODFLOW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과 대수층-하천-양수정 시스템을 단순화한 Hunt (1999) 해석해를 죽산천 인근 지역에 각각 적용하여 지하수 양수로 인한 하천수 감소량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하천으로부터 약 1 km 이내에 위치한 천부 지하수 관정들 중에서 취수계획량이 $100m^3$/일을 초과하는 18개의 관정을 선별하고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하천수 감소비)을 산정한 결과 대부분의 관정에서 해석해와 모델링 결과의 차이가 0.2 미만으로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석해가 하천-대수층 시스템을 단순화한 조건에 대해 유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밀한 모델링에 준하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양수기간이 장기화되거나 하천과 관정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해석해와 모의결과의 차이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석해가 대수층 저류량의 감소와 하천수량의 감소가 장기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동적 평형 상태를 구현할 수 없고 하천수위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하천수와 지하수간의 상호 교환량의 불규칙한 패턴 또한 모사할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양수기간 5년 이내의 하천수 감소량의 평균적인 거동은 수치모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Chang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Study on the Reduction of Individuals' Resistance (건설산업 변화에 따른 개인 저항성 저감에 관한 기초 연구)

  • Park, Min-Seo;Jun, Young-Joon;Park, Eun-Soo;Lee, Tai-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311-314
    • /
    • 2008
  • While relevant fields of construction industry have rapidly changed, the adaptation (skill) level of individuals to apply or utilize them has slowly followed. By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resist and conform under this change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which factors are important for the adaptation, much time, effort, and cost can be saved for organiz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these saved resources will be able to be effectively invested to others. Accordingly, for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study how the users fit into the rapid technological change. Through this research, therefore, a systematic guideline should be created for the relevant fields of construction industry. For this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behaviors based on the traditional model was observed and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resistance and their mutual relations were theoretically identified and categorized, and then a conceptual and figurative model to show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identified resistive factors was suggested.

  • PDF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Risk Maps on Cut Slope Using Weather Information and Adaboost Model (기상정보와 Adaboost 모델을 이용한 깎기비탈면 위험도 지도 개발 연구)

  • Woo, Yonghoon;Kim, Seung-Hyun;Kim, Jin uk;Park, GwangHa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0 no.4
    • /
    • pp.663-671
    • /
    • 2020
  •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natural disasters in Korea, not only in forest areas but also in urban areas, and the national requirements for them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there is no pre-disaster information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collapse of the slope of the national highway. In this study,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causing slope collapse based on the detailed investigation report on the slope collapse of national roads in Gangwon-do and Gyeongsang-do areas managed by the Cut Slope Management System (CSMS) and the basic survey of slope failu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slope collapse risk prediction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Adaboost, a classification-based machine learning model, reflecting the collapse slope loc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It also developed a visualization map for the risk of slope collapse, which is a visualization program, to show that it can be used for preemptiv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by identifying the risk of slope due to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ing by Using Fully Combined SWAT MODFLOW Model (완전연동형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유출모의)

  • Kim, Nam Won;Chung, Il Moon;Won, Yoo Se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B
    • /
    • pp.481-488
    • /
    • 2006
  • This paper suggests a novel approach of integrating the quasi-distributed watershed model SWAT with the fully-distributed groundwater model MODFLOW. Since the SWAT model has semi distributed features, its groundwater components hardly considers distributed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and storage coefficient. Generating a detailed represent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head distribution and pumping rate is equally difficult. To solve these problems, the method of ex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logic response units (HRUs) in SWAT with cells in MODFLOW by fully combined manner is proposed. The linkage is completed by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ream network and the aquifer to reflect boundary flow. This approach is provisionally applied to Gyungancheon basin in Korea. The application demonstrates a combined model which enables an interaction between saturated zones and channel reaches. This interaction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runoff generation in the Gyungancheon basin. The comprehensive results show a wide applicability of the model which represents the temporal-spatial groundwater head distribution and recharge.

Development of integrated drought index(IDI)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multivariate model (원격탐사자료와 다변량 통계모형을 활용한 통합가뭄지수 개발)

  • Park, Seo-Yeon;Kim, Jong-Suk;Kim, Tae-Woong;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9-359
    • /
    • 2020
  • 현재 우리나라의 가뭄감시 정보는 기상학적/농업적/수문학적 가뭄이 별도의 지수로 개발되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생산·제공되고 있다. 각각의 가뭄 지수들 기준 및 특성에 따라 분석되고 있기 때문에 가뭄전문가의 입장에서는 매우 정밀한 가뭄정보를 제공받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일반 국민들이 가뭄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통합가뭄지도가 필요하며, 통합가뭄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통합가뭄지수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하여 농업적 가뭄지수인 Agricultural Dry Condition Index (ADCI)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Water Budget-based Drought Index (WBDI)를 개발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를 포함하여 기상-농업-수문학적 가뭄지수를 결합한 통합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다양한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변량 통계 모형 중 선형 모형인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기법과 비선형 모형인 Kernel Entropy PCA, Kernel PCA를 적용하였다. 또한 과거 가뭄사상을 활용하여 산정된 통합가뭄지수 검증을 위해 과거 가뭄사상에 대한 가뭄 발생시기, 심도, 쇠퇴패턴이 양상 평가 및 Intentionally Biased Bootstrap Resampling (IBBR)을 활용한 지수별 민감도 분석을 통해 통합가뭄지수 적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 PDF

A Conceptual Model for Automated Cost Estimating Using Work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공동주택의 공사정보분류체계를 활용한 적산 자동화 개념 모형 개발)

  • Lee, Yang Kyu;Park, Hong T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1
    • /
    • pp.15-24
    • /
    • 2014
  • The study presents work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which can organize all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s throughout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such as the decomposition of the design process, the assembly of construction process and cost estimating, etc.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a way to connect work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 relational database in working order and built a conceptual model for automated cost estimating by utilizing established data base. A conceptual model for automated cost estimating will re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existing cost estimating system and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scientific cost estimating system at the construction site of apartment house.

Development of Hydrological Shared Vision Model for Conflict Mediation of Dam Construction (댐 건설 갈등 조정을 위한 수문학적 공영시각모형의 개발)

  • Jung, Ha Ok;Han, Jae Ik;Park, Sang W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0
    • /
    • pp.1009-1022
    • /
    • 2012
  • This study approach the conflic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Dam construction plan from a hydrological method and comprehend the cause of conflict on conservation and flood collect all interested parties direct involvement and develop Shared Vision Model (SVM) to plan simulation and result. We forecast water for living, industrial water and agricultural water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on conservation and simulate promptly in case that each structural alternative is formed and suggest water level deduction effect and change of area on watted surface and damage and organize the system to draw and agreement through exchanging mutual opinion. Also, it considered to contribute meditation and soften of conflict by securing accuracy of releasing information and trust of the result.

Non-recursive Path Mode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지각된 안전관리 활동과 안전성과의 관계에 대한 비재귀 경로모형분석)

  • Yong Hoon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4
    • /
    • pp.786-794
    • /
    • 2022
  • In construction sites, effective preventive safety management is required beyond post-processing safety managemen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afety culture key elements, safety, unsafe behavior management, and safety for autonomous and preventive safety management. Method: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survey data to the structural equation, and the path to safety outcomes from exogenous variables was explored and major issues were presented by interpreting the part suggested by the hypothesis verified by the analysis results.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liminary model and the path model, the appropriate model fit was confirmed, and the significant effect of exogenous variables on endogenous variables was confirmed.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it can contribute to continuously improving safety performance before safety accidents occur through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afety and unsafe behavior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key elements of safety culture.

Improving streamflow predictability in a land surface model (지표수문모형의 하천유출 모의성능 개선)

  • Hyun Il Choi;Yung K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5-345
    • /
    • 2023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뭄과 홍수 등의 수재해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기후예측모형과 연계하여 수문 및 에너지 순환과정에서 하천유출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예측이 가능한 지표수문모형(Land Surface Model, LSM)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LSM은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유출을 모의할 수 있어 수재해에 관한 예측과 정보 제공에 유용하므로, 최근 수재해 예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주요한 도구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모형 CWRF(Climate-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와 연계되어 물-에너지 순환모의가 가능한 최신 LSM 중 하나인 Common Land Model(CoLM)을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모의에 적용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LSM은 지상의 물과 에너지 순환과정이 각 단일 격자의 수직적인 모의과정으로 제한되고 있었지만, 현재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많은 LSM에서 보다 현실적인 물과 에너지 변화를 모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형의 개선에도 불구하고(또는 그로 인해) 정교한 수학적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개선된 최신 LSM은 오히려 복잡한 매개변수 체계, 매개변수 추정, 입력자료, 초기 및 경계조건 등에서 비롯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모형의 주요 매개변수값의 추정은 모의결과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LSM의 모의에서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이다. 유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모형 매개변수는 관련자료의 부재 또는 관측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검보정 과정을 통해 결정되어야 하므로, 유역의 수문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모형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의목적에 따라 적절한 검보정 목적함수의 선정도 요구된다. CoLM과 같이 다양한 매개변수가 사용되는 LSM에서는 모의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모의목적에 따른 모형의 예측도 향상을 위해서 모의결과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의 검보정이 과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 지표수문모형인 CoLM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유역의 장기하천유출을 모의하는 과정에서 CoLM의 주요 매개변수 검보정에 필요한 적절한 목적함수의 적용을 통해 CoLM 장기하천유출 모의결과의 예측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