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신기술 개발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development of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건설신기술 개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문건설업체를 중심으로 -)

  • On Seong-Won;Park Hyeon-Yong;Lee Young-Hwan;Woo S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490-493
    • /
    • 2004
  •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need to do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than improvement of manpower control or system and develop competitive power through technology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Upon this, government for elevation of technological level enacts and operates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endorsement system but is not looking at effect as that the actual use-results also expected first. Therefore, in this paper, present improvement and direction for activation plan of construction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connection system,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questionnaire after grasp present condition of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endorsement system with specialty construction company as the central figure which occupy most of appointed new technology.

  • PDF

Examination of Obstacles Impeding the Deployment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On-Site and Development of an Activation Strategy (건설신기술의 현장활용 저해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Park, Hwan Pyo;Bae, Byung 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4
    • /
    • pp.369-380
    • /
    • 2023
  • The incorporation of innovative technology systems into domestic construction practices has catalyzed an organic evolution of the industry, significantly enhancing the level of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and intensifying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the on-site implementation of these groundbreaking construction technologies has proven effective in diminishing construction costs and accelerating project timelines. Nevertheless, despite a period of 33 years since the inception of this new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 both the volume of designated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on construction sites remain static. As a consequence, this study introduces a strategic plan to dissect and overcome the barriers faced in the adoption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y across a multitude of sectors. The chief outcomes encompass the inception of a new construction technology utilization surveillance system, an assessment of distinct technologies, refinement of the post-evaluation system, and the creation of a new technology market system. This systematic enhancement is anticipated to foste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within the industry.

신성장동력인 신재생에너지 '선점'경쟁 가열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no.11 s.220
    • /
    • pp.29-37
    • /
    • 2008
  • 최근들어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지구 온난화 등 환경문제가 부각되면서 기존의 에너지를 대체하는 대안으로 신재생 에너지가 전 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더구나 온실가스 감축 등 본격적인 환경경제 시대가 도래하면서 환경친화적이고 고갈 염려가 없는 신재생에너지가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고유가 및 기술개발 가속화도 신재성에너지 시장 확대를 부채질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신성장동력으로 집중되고 있다. 이처럼 환경문제 해결에 대한 관심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우리나라도 국가 차원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마련하면서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을 위한 제도 및 대책이 새롭게 마련되고 있다. 건설산업은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업종에 속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에너지 저소비형 건축물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생태토시 조성 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에너지를 다루는 기계설비는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태앙광을 비롯하며 지열, 풍력, 바이오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은 물론 빗물이용 시스템 쓰레기 이송 설비와 같은 첨단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아파트의 보급도 차츰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누구의 영역도 아닌' 곳이자 '누구의 영역도 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가 설비건설업계에 확대, 보급되기 위해서는 설비건설업계의 관심이 집중되어야하며, 기술개발을 활발히 하여 선점경쟁에서 유리 한 고지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개발 수준은 어디까지 왔을까? 이번 호는 그 현황을 집중 조명해 보고, 다음 호에는 풍력, 바이오에너지, 지열, 연료전자 수소 등을 하나씩 분석해 본다.

  • PDF

기획특집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가속화

  • Lee, Jong-Su
    • 월간 기계설비
    • /
    • s.229
    • /
    • pp.43-54
    • /
    • 2009
  • 본지는 그동안 태양광을 시작으로 지열, 풍력, 바이오, 수소연료전지, 소수력, 조력, 석탄가스화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알아봤다. 신재생에너지는 기후변화협약, 환경규제 등에 대응할 수 있고 석유나 천연가스의 고갈에 대비한 에너지의 안정적 확보 차원에서 전세계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개발 및 보급이 이뤄지고 있고 관련 기업들도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가 상용화되기 위해선 더욱 다양한 기술개발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설비건설업계도 지금 당장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없겠지만 앞으로의 건설분야 트렌드가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호에서는 그동안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에서 세부적으로 다루지 못한 부분과 이색적인 신재생에너지 제품 및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 PDF

Topic modeling and topic change trend analysis for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건설신기술에 대한 토픽 모델링 및 토픽 변화추이 분석)

  • Jeong, Seong Yun;Kim, Nam Gon
    • Smart Media Journal
    • /
    • v.10 no.4
    • /
    • pp.102-110
    • /
    • 2021
  • Currently,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endorsement system is being operat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We tried to examine the implicit meanings inherent in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ing vocabularies with high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endorsed through this system. For this purpose, 918 cases of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information were collected. Based on the endorsed year and summary of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the importance of the emerging vocabularies was measured for each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And, based on the LDA model,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related vocabularies was evaluated for each of the four topic areas. Topics according to the technical application fields were analyzed. From 1990 to 2021, the trend of changes in highly influential vocabularies by each topic was inferred. In the future, changes in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topics of environment, machinery, facilities, and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of structures and related technology fields were predicted.

이슈&이슈 (2) -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지역 냉난방" 및 "온도차 발전" 기술개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9
    • /
    • pp.44-49
    • /
    • 2010
  • 국토해양부는 최근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해양에너지 개발의 일환으로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냉난방 및 온도차 발전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동안 고품질 생수, 식품, 농 수산업 등 주로 산업적 용도로 활용되었던 해양심층수가 앞으로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그 활용폭이 넓어질 전망이다.

  • PDF

수소스테이션 국산화 기술 개발

  • Kim, Jin-Heung;Kim, Yeong-Dae;Choe, Geun-Seop;Kim, Il-Su;Lee, Yong-Il;Yun, Yeong-Sik;Gwak, Byeong-S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76-83
    • /
    • 2005
  • 화석연료의 점진적인 고갈과 그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의 해결 및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세계 각국은 수소경제로의 이동을 준비 중이며 현재 기술개발을 통해 상업화의 시기를 앞당기는 노력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부 주도의 기술개발 및 실용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 부문에서는 국내 대기업들을 위주로 해외 전문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차세대 수종 사업으로 수소 연료전치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나, 아직까지 기술력이 세계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SK는 산업자원부와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사업 중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수소스테이션(Hydrogen Station) 국산화 기술개발' 사업의 주관 기관으로서, 독자 기술로 개발한 수소 발생 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2007년 수소스테이션 건설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수소스테이션 국산화 기술 개발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총 5년간에 걸쳐 진행되며, 주관 연구기관인 SK는 수소 발생 장치의 개발과 이를 중심으로 한 수소스테이션의 건설을 총괄하고 있으며, 3개 국책 연구 기관 및 4개 대학이 위탁연구 기관으로 참여하여, 수소 생산 신공정 개발, 촉매 개발, PSA개발 및 탈항 기술 개발 등에 대한 요소 기술의 국산화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는 2004년부터 현재까지의 주요 연구 결과 및 수소스테이션 건설 추진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Construction R&D Strategy through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Analysis (해외건설 시장 분석을 통한 건설기술개발 전략 수립)

  • Park, Hwanpyo;Kim, 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2
    • /
    • pp.49-57
    • /
    • 2016
  • R&D projects for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is to identify challenges through academic-industrial demand survey, and to promote R&D projects through detailed planning projects. These R&D projects have been promoted to be applied to most domestic project-oriented. Despite continuous R&D investment, the investment has been promoted to the world top technology rather than to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trends and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s in order to promote technology development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This study suggests three R&D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s and ten research projects for expanding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Analysis on The Economic Impacts of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건설신기술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Paek, Nam-Jong;Park, Hwan-Pyo;Lee, Kyo-S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1
    • /
    • pp.115-124
    • /
    • 2011
  • The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was introduc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inspiring the development desire of technology developers in 1989. Domestic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is first introduced in 1989, the total 596 cases were assigned to the new technology and it was used the construction site. Also, it was achieved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irty-hundred applications and was effected to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the systematic analysis about the introduction effects of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are none. Therefor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in construction industry have to a justification in according to operation of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system and verification of superiority. And then, the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system needs a developing base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Economic Impacts of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were analyzed in quantitatively such as a cost savings effects, the employment effects, the effects on Value-added, the import substitution effects due to use of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 This study will be used promotion of economics and superiority in the Construction New Excellent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