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기술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65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Development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to ERP Template (건설표준 ERP템플릿 개발 사례)

  • Lee, Min-Nam;Oh, Dong-Hwan;Kwon, O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939-942
    • /
    • 2003
  • 본 연구과제는 건설업체의 현재 문제점은 각 업체별로 상이한 분류 및 식별코드체계를 사용, 품목표기방식, 속성 포맷의 불일치, 용어와 단위의 불일치, 현 업계에서 사용하는 코드 분류체계는 호환이 되지 않고 국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부적합한 실정이다. 따라 기존의 통합정보시스템과 별개로 관리 운영이 이원화되어 오던 각종 건설정보를 건설CALS/EC 핵심기술을 적용하며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을 개발 할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과 건설통합분류체계의 표준코드의 연계로 건설CALS/EC 핵심기술이 적용된 건설표준ERP(통합DB)를 구축과 건설공사의 물량산출 데이터의 체계화된 물량예측과 물량공정의 통합화와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관리유지정보의 연계하여 그리고 현장관리 및 원가관리정보의 통신망접속으로 건설통합정보를 제공한다.

  • PDF

Development of Merging Rainfall Forecasts to Provide Flash Flood Forecasting Information (돌발홍수정보 생성을 위한 예측강수 병합 기법 개발)

  • Yoon, Jung Soo;Hwang, Seok Hwan;Kang, Na Rae;Lee, Dong-Ryul;Noh, Hui Seong;Lee, Keon Haeng;Yoo, Se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3-373
    • /
    • 202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돌발홍수연구센터는 전국에서의 돌발홍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9년에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은 동(읍/면) 단위로 1시간 선행 예보를 3단계 위험 정보(주의/경계/심각)로 전국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서 예측 선행 시간을 1시간으로 설정한 것은 최소 대피 시간의 개념도 있지만 예측자료의 정확도가 1시간 이후 현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예측 시스템의 예측 선행 시간을 1시간에서 3시간으로 확장하기 위한 병합 기법을 검토 및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초단기 예측 강수 자료와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수치예보 자료를 활용하였다.

  • PDF

Constructio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건설기계 관리시스템)

  • Kim, Sun-Keun;Seo, Jong-Won;Lee, Jun-Bok;Kim, Yo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535-538
    • /
    • 2006
  • The number of registered construction equipment exceeded the 320 thousands in 2005. Construction has been gradually mechanized, reducing the need for construction labors, and increasing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construction operations. However, it still has some problems that are should be solved for effective operations, management, availability of construction equipment, increased safety of SOC fatalities, and decreased civil appeals in terms of construction equipment. Recently, technology push is accelerated by flow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for construction. In this paper, a constructio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that use ICT is suggested to solve the given problems. It is anticipa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would be able to bring the better operations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nformation Service on Construction Technology Information Sites (건설기술정보 사이트 안내서비스에 대한 핵심성공요인 분석을 위한 방안 연구)

  • Jeong, Se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1-462
    • /
    • 2018
  • 건설기술정보시스템(CODIL)에서는 2016년부터 중소 중견 건설 및 엔지니어링 업체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건설기술정보 서비스 사이트에 대한 안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에게 보다 유용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선행연구사례의 조사, 분석을 통해 건설기술정보 서비스 사이트 안내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평가영역과 평가항목을 분석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of the Road Occupation Fee Calculation using Connection of Construction CALS and KLIS (건설CALS와 한국토지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도로점용료 산정업무 개선 방안)

  • Kim, Young-Jin;Kim, Byung-Kon;Kim,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20-1522
    • /
    • 2011
  • 국토해양부는 정보화를 통한 건설사업의 투명성 및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3차 건설CALS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건설사업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 중 건설인허가시스템은 전국 개별공시지가를 이용하여 지방국토관리청에서 매년 3만여건(2010년 기준)의 도로점용료를 산정하고 부과하는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개별공시지가는 매년 초 공시하지만 토지소유자의 이의신청 등에 따라 변경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점용료를 재산정하는 등 대국민 민원행정 신뢰성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CALS와 한구토지정보시스템의 개별공시지가 실시간 연계를 통해 도로점용료 산정업무의 신뢰성 제고 및 업무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A Study on Measures for Sharing Information on Construction Technology Knowledge (건설기술지식정보의 공유방안에 관한 연구)

  • OK, Hyun;Kim, Jin-Uk;Kim,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9-21
    • /
    • 2014
  • 최근 건설산업은 해외건설 수주액 증가에 따른 외형성장은 이루었으나, 시공분야에 집중되고, 고부가가치 영역인 건설ENG 분야의 해외시장 점유율 및 경쟁력은 극히 낮은 수준이다. 또한 대형 건설ENG 업체와 중 소형 건설ENG 업체 간에 건설수주액을 비롯하여 기술경쟁력에서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기존 건설ENG 관련 정보시스템은 설계 시방기준 등 단순 자료축적을 통한 정보제공이 대부분이며, 실제 건설ENG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제공 및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ENG 업계가 실제 필요로 하는 건설기술지식정보에 대한 공유 체계의 마련을 통해 건설ENG 분야의 기술력 향상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주청과 건설ENG 업체 사용자 간에 직접 필요한 정보의 요청 및 제공 등 노하우를 상호 교환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사 건설사업의 수행 시 신속한 정보제공을 통한 업무처리시간의 단축으로 업무효율성이 증대되리라 예상된다.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Monetary Value for Service Qual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formation (건설기술정보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금전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 Kim, Nam-Gon;Jeong, Seong-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2
    • /
    • pp.201-221
    • /
    • 2019
  • Th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provides the documents an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through the Construction Technology Digital Library System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engine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monetary value of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documents and information service quality provided by this system.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model was designed to apply the DBDC- CVM. We surveyed the members of 300 this systems for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they are willing to pay to maximize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variables was analyzed with the basic statistics of the survey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ogit model is used to estimate the monetary value of individual respondents who are willing to pay for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 previous research, we measured the use value of information servic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measurement of value based on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Experimental study on RFID frequency band and tag for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management (건설자재 정보관리를 위한 RFID 주파수 대역 및 Tag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n, ChoongHan;Ju, KiBum;Yang,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874-877
    • /
    • 2007
  • 최근 건설 산업이 고도화, 지능화됨에 따라 건설자재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RFID 기술을 이용하려는 연구 및 적용 사례가 증가 하고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인식 기법을 뜻하는 것으로 건설자재에 RFID Transponder(이하 태그)를 부착하여 생산, 유통, 설비 등 전 과정의 정보 추적 및 관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RFID 시스템 특성상 전자기장이 형성되는 철골자재나 수분이 포함된 콘크리트, 도료(안료) 등의 자재에서는 RFID 적용이 쉽지 않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RFID 장비마저도 표준화 되어 있지 않고 사용 주파수 대역 또한 각각 다르기 때문에 건설자재에 적용하기위한 RFID 시스템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자재에 RFID를 적용하기 위한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연구로써 목재, 철재 빔, 도료(안료), 콘크리트, 배관자재(철/동/PE)에 Passive Type의 일반(Pager) 태그, 금속 태그, 액체형 태그를 부착 매립하여 125KHz, 13.56MHz, 900MHz의 주파수 대역과 자재 물성별 인식거리 및 인식률 시험을 진행하여 건설자재에 RFID를 적용하기위한 표준 주파수 대역 및 재질에 따른 적정 태그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Present Status of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Domestic General Contractors (국내 종합 건설회사의 품질관리 정보시스템 동향 분석 -국내 6개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Do Young-Suk;Baek Jong-Kun;Kim Jae-J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3 s.19
    • /
    • pp.137-145
    • /
    • 2004
  • Owing to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some of big general contracto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to integrate the information of quality in planning, design, procureme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hases, and tried to maximize the usefulness of it. But the trend has confined only to some big general contract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ut together and analyze the character of Qua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of big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and classfy them into a result-focused system and a process-focused system in order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both of development and adoption of the systems.

A Study on Adaption of eGoverment Standard Framework to the CALS System (건설CALS시스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적용을 위한 사전 분석)

  • Yang, Sung-Hoo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751-753
    • /
    • 2013
  • '98년 건설CALS기본계획을 바탕으로 개발된 건설CALS시스템은 건설사업관리 건설인허가 단위시스템을 시작으로 시설물유지관리 용지보상 건설CALS포탈 등 5개 단위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국내 900여개 이상의 건설현장 및 건설 관련 공공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각 단위시스템의 개발 시기 도구 등이 서로 상이하여 사용자 요구사항 및 법령 개정에 따른 시스템 개편 등 외부 환경변화의 패러다임을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단위 시스템의 구조적 요소를 통일하고 외부환경의 적용이 가능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객체 지향 중심의 웹 시스템 구조를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변경하는 것으로써 시스템 재사용성이 향상되고 신규 기능 추가가 용이해지며 리소스 절감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