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아파트의 리모델링시 적합한 열관류율 대안의 도출 (Derivation of Appropriate Thermal Transmittance Alternatives in Apartment Remodeling)

  • 김송도;이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012-40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20년까지 리모델링을 하는 국내 아파트에 에너지절약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외 패시브하우스에 적용된 에너지절약을 위한 기술들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패시브적인 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적용 시 에너지절감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의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제도를 사용하여 선정한 5개 사례의 에너지절감율을 산출하고 등급을 부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합리적인 열관류율 대안을 도출하고, 국내에서 추진되는 아파트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제시하였으며, 이 방안은 표준주택 대비 에너지를 40%이상 절약 할 수 있다.

국내외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성능 평가방법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foreign energy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for residential buildings)

  • 송승영;구보경;이병인;송진희;김연희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1-198
    • /
    • 2009
  • Many Countries are making nationwide efforts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which causes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global warming problems. Energy performance assessments and certification systems have been in force to save energy consump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are anticipated to have strong effects through the systems. Korean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is in its early stages and is considered that the additional upgrade is needed for the accurate assessment. Thus,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methods of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of Korea and the SAP2005 of UK were compared and energy requirements of an actual residential building were calculated with two assessment methods, respectively. The strengths and shortcomings of two systems were analyzed and a way of improving Korean system was suggested.

  • PDF

건물에너지 효율등급 제도를 이용한 시나리오별 목표 온실가스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nding Ways to Reduce the Emission of Target Greenhouse Gases for Various Scenarios Utilizing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 방영현;강아람;박효순;서승직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89-94
    • /
    • 2012
  •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climatic changes caused by the meteorological anomalies. In response to such phenomena, after the adoption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n 1992, efforts to actively respond to the meteorological changes are proliferating all over the world; eve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issue to tackle the meteorological changes has emerged as a top-priority national agenda. In the year of 2008, after the declaration of the low-carbon, green-growth paradigm by the government, the UNFCCC COP15 has announced a 30% reduction target of the emission of the greenhouse gases by 2020 as compared to the "Business As Usual, BAU" and has also confirmed, as a commitment plan to achieve reduction in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the reduction target of greenhouse gases for all sectors, industries and years. (26.9% for building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new apartment houses in the year of 2001,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has been applied to newly constructed building complexes, built in 2010; the accumulated emission reduction has been evaluated at around 450,000toe and the accumulated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 is at $826,000tCO_2$ And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se values under various scenarios (New construction, new construction / expansion of existing uses, when transferred to 1stgrade), the effects on the degree of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by the increased certification of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are an alyzed and it is our aim to express the importance of the certification system capable of carrying out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building energy in order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제로에너지 정책·제도 변화에 따른 이슈 및 트랜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Issues and Trends of Zero Energy Policy)

  • 이항주;김인수
    • 에너지공학
    • /
    • 제29권2호
    • /
    • pp.79-84
    • /
    • 2020
  • 2020년 BAU대비 30%의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건설 산업에서의 온실가스저감을 위한 제로에너지건축물 구축기술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제로에너지건축물 기반 구축과 상용화를 통해 의무화로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제도 현황 및 에로사항 파악을 통한 기술 지원 및 확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패시브 강화(에너지효율등급 1++이상) 및 에너지자립율 달성(20%이상)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으로 인한 과다한 공사비가 발생됨에 따라 보급 활성화에 주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 활성화를 위해 제로에너지인증을 위한 주요 문제점 및 해결 방안 등을 제시하였으며, 최근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에 따른 정책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동주택에서 발코니 확장형이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 (Energy Consumption on Balcony Remodeling Type in an Apartment House)

  • 현종훈;최무혁;김지연;박효순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06-1411
    • /
    • 2008
  • The percentage of apartment houses in residential buildings has increased every year, and it result in higher energy consump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fter the house law could be amended to legalize the remodeling of the balcony, buyers and contractors prefer to choose the balcony remodeling type when they choose a house for installment sale. Many construction companies design an apartment house considering balcony remodeling. So, this paper compares the balcony remodeling type with the basic type(prior to remodeling balcony) by using the building energy rating system tool. The balcony remodeling type consumes heating energies more than the basic type, and is unable to receive high rating. If the balcony is remodele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all and window and reduce the area of remodeling balcony.

  • PDF

친환경건축물 설계를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 (Subject Selection Model of Green VE for Sustainable Design)

  • 송창엽;문현석;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2-52
    • /
    • 2011
  •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모든 산업분야에서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이 환경에 미치는 양향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전생애주기 동안에 에너지 절약과 생태환경보전을 위해 국가별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모든 시설물에 대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신축되는 모든 공공청사에 대해서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의 취득을 의무화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친환경건축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설계 초기단계부터 친환경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실시설계가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근본적인 친환경요소들을 설계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 Value Engineering에서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한다면 효율적인 친환경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과 기존의 VE 대상선정 기법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에서 집중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선정하기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