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 Selection Model of Green VE for Sustainable Design

친환경건축물 설계를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

  • 송창엽 (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CM기술부문) ;
  • 문현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0.11.02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As environmental issues are rising recently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 stress are emerging in all industry segments. Especially environmental impact of buildings occupy a critical portion, so each country is operating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for life cycle of buildings. Accordingly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for every facility is operating in Korea. And acquisition of grade I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is mandatory for every new public buildings since 2010. To design green building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eco-friendly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checked from the schematic design phase. But in many cases eco-friendly elements are checked at the end of constructed design phase. So applying eco-friendly elements at the value engineering process, which is performing through schematic and constructed design phase, could make a efficient and systematic green building design. Value engineering process is divided into pre workshop, workshop and post workshop stages. And subject selection in pre workshop stage is the step that finds out the subjects which has the great possibility to be improved to perform efficient value engineering workshop. So this study present the Green VE subject selection model to select the most considerable eco-friendly subjects in projects.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모든 산업분야에서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이 환경에 미치는 양향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전생애주기 동안에 에너지 절약과 생태환경보전을 위해 국가별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모든 시설물에 대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신축되는 모든 공공청사에 대해서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의 취득을 의무화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친환경건축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설계 초기단계부터 친환경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실시설계가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근본적인 친환경요소들을 설계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 Value Engineering에서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한다면 효율적인 친환경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과 기존의 VE 대상선정 기법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에서 집중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선정하기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652호
  2. 국토해양부(2009).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규정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306호 및 지식경제부고시 제2009-329호
  3. 국토해양부 (2010).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301호 및 환경부고시 제2010-52호
  4. 국토해양부도시사랑(2010). 신축업무용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시행, http://blog.naver.com/ city_style
  5. 김보애, 손우상, 진정 (2010). 친환경 공공청사 건출물 설계를 위한 Green VE 아이디어 발상방안, 서울시립대학교 학사학위논문
  6. 이복흠 (2009). 친환경 주거단지의 인증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판교신도시 친환경건축물 예비인증사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왕수, 남현진, 김재민 (2008). "친환경건축물 예비인증 작업사례 분석을 통한 설계공정 효율성 고찰",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pp. 131-136
  8. 전재열(2003)." 건축 설계초기단계에서 VE 대상선정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9(2), pp. 123-130
  9. 조한 (2006).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실내환경 관련부문 비교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4), pp. 21-28
  10. 하승룡 (2010). 메가프로젝트 기획/계획단계 VE적용을 위한 준비단계 수행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Castro, D., Sefair, J., Flo、rez, and L., Medaglia, A., (2009). "Optimization model for the selection of materials using a LEED-base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in Colombia", Building and Environment, 44(6), pp. 1162-1170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8.08.009
  12. Lo, S. M., Hu, B. Q., and Yuen, K. K., (2005)." On the use of reliability interval method and grey relation model for fire safety ranking of existing buildings", Fire Technology, 41(4), pp. 255-270 https://doi.org/10.1007/s10694-005-3732-9

Cited by

  1. Development of Eco-VE Function for Construction vol.161, 2016, https://doi.org/10.1016/j.proeng.2016.08.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