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증진 행위

검색결과 804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생들의 거주형태에 따른 스트레스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ymptom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University Students by the Type of Residence)

  • 이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47-457
    • /
    • 2016
  •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과 비기숙사 생활을 하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 313명,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2015년 10월 2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적 통계, 피어슨 상관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가 남녀 모두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 흡연 및 음주여부는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와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쳤다.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에 우울, 불안, 정서적 분노가,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에는 인식력 장애, 우울, 정서적 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정서적 분노 및 불안이었으며 설명력은 67%였으며, 비기숙사 생활 대학생의 경우에는 우울과 정서적 분노가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63%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에 대한 적합한 건강증진행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가 결혼과 임신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Marriage and Pregnancy Recognition)

  • 김정애;조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85-93
    • /
    • 2018
  • 본 연구는 C도의 3개 대학에서 227명의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실태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결혼과 임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11월 15일부터 12월1일까지 건강증진행위와 결혼 및 임신에 구조화된 설문지로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개인위생, 영양 식습관, 물질 남용, 운동, 스트레스 관리, 자아실현)은 결혼과 임신 인식에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가 유의미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결혼과 임신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 관리로 나타났다(Non-standardization Ɓ=.845,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임기 여성의 임신 유도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보건계열 대학생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 이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20-6129
    • /
    • 2015
  • 본 연구는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보건계열 189명, 비보건계열 204명의 대학생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값들과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은 두 계열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활스트레스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세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보건계열 대학생의 경우에는 27%의 설명력을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경우에는 3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조사와 계열별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Aging Anxiety among Middle Aged Women)

  • 서정희;노윤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39-347
    • /
    • 2019
  •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0세까지의 중년여성 160명이었다. 자료는 SPSS 23.0으로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a) 노화불안은 사회적 지지(r=-.411, p<.001), 건강증진행위(r=-.614, p〈.001)와 음의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r=.429, p<.001)와 건강증진행위는 양의 상관이 있었다. (b)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요인인 영양(${\beta}=-0.329$, p<.001)과 스트레스 관리(${\beta}=-0.325$, p<.001), 폐경상태(${\beta}=0.214$, p<.001), 배우자지지(${\beta}=-0.160$, p=.011)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4.7% 이었다(F=33.12, p<.001). 이 연구에서 중년여성의 영양과 스트레스 관리, 배우자지지, 폐경 인식은 노화불안을 낮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이들 변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확인할 연구가 필요하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임재란;한양금;김한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08-316
    • /
    • 2020
  • 본 연구는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로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실시하였다.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보건계열학과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223명을 대상으로 서면 동의서를 받은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1041490-20171010-HR-002).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학업스트레스 평균은 3.02±0.89점, 대학생활적응 평균은 3.16±0.48점, 건강증진행위 평균은 2.14±0.45점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경제수준, 전공만족도,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이었으며, 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37.5%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 학업스트레스는 낮추고 대학생활적응을 높여주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파악을 위한 체계화 된 노력도 요구된다.

보건교육활동증진을 위한 보건관계 법규의 진단 및 개발방향

  • 홍재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24
    • /
    • 1987
  • 보건교육활동은 개인의 건강한 생활과 집단의 건강을 보호ㆍ증진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학습하게 하여 올바른 건강생활태도를 가지고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활동을 통털어 말한다. 그러나 보건교육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람직한 보건행위에 있다. 즉 어떤 사람이 보건에 대한 깊은 지식과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 PDF

예비초등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Association of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o Attitudes about Child with Asthma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문소현;조헌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85-492
    • /
    • 2017
  • 본 논문은 일부 지역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만성질환인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교육대학생 3, 4학년 329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점수는 4점 만점에 2.85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49점,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3.67점이었다. 연구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와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건강지각, 학년이 확인되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를 12.2%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다 적극적인 자기 건강관리가 요구되는 예비교사인 교육대학생에게 있어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되어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 실천이 만성질환아동인 천식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천식 및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을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Pender의 모형을 적용한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소인숙;정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58-269
    • /
    • 2017
  • 본 연구는 Pender(1996)의 건강증진모형을 중심으로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9월 18일부터 10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와 Scheffe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은 사회적지지, 행동계획 몰입, 이전건강 행위,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자기효능감, 가족기능, 지각된 유익성, 상황적 영향 등 8가지 변수로 파악되었고, 총 설명력은 58%이었다. 이상으로 유방암 환자들이 재활기에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고 질 높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상승시키도록 돕는 간호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결과 유방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으로 밝혀진 사회적 지지, 행동계획 몰입, 이전건강 행위,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자기효능감, 가족기능, 지각된 유익성 및 상황적 영향 수준이 낮은 대상자들에게 특별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