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 모니터링

Search Result 56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Health Monitoring Using Tongue Image Analysis (혀 영상 분석을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 Kim, Tae-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87-289
    • /
    • 2008
  • 본 논문은 개인의 혀영상을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혀의 절대적 특징들을 이용하지 않고, 병원에서 검진된 기준 건강 상태(reference health condition)와의 차이인 상대적 특징들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매일 혀영상을 촬영하여 전통 중의학에 기반한 관심영역을 추출하고 분석하도록 한다. 실험에서 1개월간 제안한 방법으로 혀영상들을 분석한 결과 본 논문의 방법이 건강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Portable Remote Vital Signal Monitoring System for Home Healthcare (홈헬스케어를 위한 휴대형 원격 건강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Youn, Jeong-Yun;Jung, Hwan;Hwang, Jun-Heum;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759-76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가정 내에서 보다 편리하게 건강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홈헬스케어용 휴대형 건강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의료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일반인들이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많은 건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생체신호인 심전도, 맥파 그리고 체온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다중생체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생체계측 시스템은 신호검출을 위한 센서부, 각각의 생체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시스템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부로 구성되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시스템 자체에서의 생체신호 모니터링뿐만 PC등의 홈서버 상에서 무선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웹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생체신호의 모니터 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평가 결과 홈헬스케어를 위한 원격 건강모니터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Preliminary Study for Health Monitoring Using Tongue Image Analysis (혀 영상 분석을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의 선행 연구)

  • Kim, Tae-Woo;Park, B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6
    • /
    • pp.1219-1223
    • /
    • 2006
  • Tong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patient diagnosis in traditional Korean(Chinese) medicine. This paper presents health monitoring method using tongue images of a person. The method uses not absolute tongue features but relative ones which are differences from reference health condition(RHC), diagnosed in hospital, for a person. A user can give tongue images to a health monitoring system everyday, which extracts regions of interest (ROI's) of the tongue, and compares their features with reference health condition. In the experiments, tongue image analysis for a person by our computerized method encouraged us that the method using tongue images can be contributed for health monitoring.

  • PDF

A Method for Improving Real-Time Performance of Life-care Monitoring (라이프 케어 모니터링에서 실시간성 성능향상)

  • Kim, Young-Hyun;Kim, Jai-Hoon;Seo,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73-1376
    • /
    • 2010
  • 최근 국민소득향상, 의학기술의 발달 등 이러한 변화는 건강관리에 관한 연구로 이어져 라이프 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라이프 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은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하며 실시간으로 유지 및 관리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 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실시간 처리해야하는 태스크가 증가함에 따라 마감시간 준수율이 하락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즉, 개인의 상태가 고려된 모니터링 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모니터링 요소는 주기를 증가시키는 방식과 중요도에 비하여 모니터링 자원 낭비가 최대인 모니터링의 주기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비교분석하여 실시간 처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성능을 평가한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 최대 29%까지 마감시간 준수율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Analysis of the Unconstraind BCG Parameter for Stress Discrimination (스트레스 판별을 위한 무구속 심탄도의 파라미터 분석)

  • Jeon, Gam-Pyo;Noh, Yun-H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148-151
    • /
    • 2010
  • 심장관련 질환은 현대사회에서 업무 과중과 스트레스에 의해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상생활 중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심장질환 관련 응급상황에 대처하기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무구속적인 방법으로 지속적인 심장 활동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구속 의자형 심탄도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계측된 심탄도 신호로부터 건강모니터링을 위한 특징성분을 검출하기위해 웨이브렛 변환과 템플릿 매칭을 혼합한 신호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적응 문턱치를 통해 심탄도 신호에서 심박동을 검출하였으며 심박동의 간격으로부터 HRV(heart rate variabillity)를 계산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심전도와 동시에 심탄도를 측정하였으며, 두 신호로부터 심박동 검출 성능을 비교하여 구현된 무구속 의자형 심탄도 계측 시스템의 유용성 및 무자각 건강모니터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트레스에 따른 HRV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피실험자로부터 인위적으로 숨을 참고 강제호기를 통해 흉강내압을 증가시켜 인위적인 육체적 스트레스를 가하는 발살바를 유도하였으며, HRV의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도출되는 파라미터들을 평가하여 심탄도 모니터링을 통해 안정 상태와 스트레스 상태의 판별 및 무구속 건강모니터링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Secure Health Data Transmission Protocol Using Identity-Based Proxy Re-Encryption in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원격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신원기반 프록시 재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건강정보 전송 보안 프로토콜)

  • Noh, Si-Wan;Park, Youngho;Rhee, Kyung-Hyun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4
    • /
    • pp.197-202
    • /
    • 2017
  • The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enables a doctor to diagnose and monitor patient's health problem from a distanc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key establishment method between a patient and a particular doctor to solv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disclosure problem in data transmission process. However, when considering a misdiagnosis of doctor, the result of a diagnosis by a many doctors is more reliable. In previous work, in order to select multiple doctors, patient should generate shared key for each chosen doctor and perform many times encryp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data transmission protocol for receiving diagnosis from multiple doctors using identity-based proxy re-encryption scheme. In proposed protocol, a patient don't need key management work for session key. Also, monitoring server performs re-encryption process on behalf of patient. So, we can reduce computational burden of patient in previous work.

학술 1 - 목장 현장에서 수행하는 젖소의 유방건강 모니터링

  • Nam, Hyang-Mi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8 no.5
    • /
    • pp.287-291
    • /
    • 2012
  • 본고에서는 유방건강에 대한 목장 현장에서의 접근방식이 제시되었다. 유방건강에 대한 모니터링은 정기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및 관리방법의 정기적인 평가로 이루어진다. 최종 목표는 위생, 신체충실도, 유두끝 상태, 치료 등과 같은 유방건강 관리에 있어서의 중점관리점을 항상 최적의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유방염은 많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어서 현실에서는 모든 유방염 문제를 완전히 예방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유방건강에 대한 데이터는 문제가 임상형으로 되기 이전에 이상을 감지할 목적으로도 모니터링 된다. 유방건강에 대한 데이터와 관리방식을 정량측정함으로써 하나의 목장이 효율성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고 각 과정에 대해 생각하고 명백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각 과정과 결과에 대해 평가를 하는 하나의 사업으로서 접근된다. 전체적인 접근은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하며, 용인할만하고, 현실적이며, 기한이 정해진 SMART한 목표를 갖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이러한 목표들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계획이 뒤따른다.

  • PDF

Monitoring system of blood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PTT based posture (PTT기반 자세에 따른 혈압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 Kim, Mi-Seong;Noh, Yun-H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4-535
    • /
    • 2017
  •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 is improving and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easy for self-care for the modern people who are busy and the elderly who are uncomfor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care system that can more easily monitor the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s. The ECG and pulse wave including the important health information that can be conveniently measured by the general public can be measured and the PTT and to monitor the health status of the circulatory syste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we measured PTT according to posture change and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monitoring arterial blood flow during daily life.

  • PDF

Implementation of the Chest-belt Type ECG monitoring System for Remote Health Monitoring (원격 건강 모니터링이 가능한 체스트 벨트형 심전도 측정 시스템 구현)

  • Noh, Yun-Hong;Kim, Se-Jin;Chung, Wan-You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667-670
    • /
    • 2007
  • Wellness monitoring is a growing area that will benefit from the use of wearable computing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the wearable ECG monitoring system for ubiquitous healthcare. This paper presents a prototype wearable wellness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easuring, transmitting and analyzing continuous ECG data. The hardware system allows data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from chest belt type sensors to a server PC using Zigbee. We conducted experiments using the system for ECG monitoring and medical screening tests and present preliminary data and results.

  • PDF

Hypertension Monitoring and Notification Service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상황정보 기반의 고혈압 모니터링 및 알림 서비스)

  • Lee, Young-Ho;Kim, Jong-Hun;Shin, Da-Hye;Jung, Eun-Young;Park, Dong-K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57-66
    • /
    • 2011
  • In recent years, health management services have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interests on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based on increases in advanced ages and chronic disease patients. Thus, it requires the monitoring of health conditions and the specialized healthcare services not only in a hospital but also their own home. This study provides the specific notification services related to the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users' bio signal data and the notification services of specific patients and attempts to develop a hypertension monitoring system and a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indexes. Because this system considers the context of users by differing it from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ervices, it makes possible to obtain more exact measurement values. In addition, it is able to reduce certain health risks through managing specific patients and based on living indexes. Also, it can provide more customized services to users due to the exact and finely classified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