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함

Search Result 34,636, Processing Time 0.05 seconds

건강을 지키는 현장-가족단위 건강관리 등록제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6 no.5 s.162
    • /
    • pp.2-4
    • /
    • 1992
  • 평생건강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 개인의 건강관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가족단위 건강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는, 가족의 유전적 소인, 생활 환경 요인 등이 질병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대전ㆍ충청남도지부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가족단위 건강관리 등록제를 도입ㆍ실시하고 있다. 지부 부속의원 내원자 중 종합검사를 받은 부부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는 본 제도는, 앞으로 질병의 조기발견과 평생건강관리에 좋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되어, 이번 호에 소개해 본다.

  • PDF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Heo, Seong-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5
    • /
    • pp.168-176
    • /
    • 202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a survey was conducted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brushing-related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better the health practice behavior, brushing-related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more positively it affected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practice behavior in order of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implementation, and smoking showed a positive effect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Therefor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continued oral health programs converging systemic and oral health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omprehensive and oral health in adults.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aged women : focused on 60-70s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지향,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 및 건강행위 : 60-70대를 중심으로)

  • Lee, Young Hee;Ji, Eun Joo;Yun, Ok-J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4
    • /
    • pp.39-4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an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 on elderly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203 elderly women in the C city. The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health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60s and 70s. The e-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 difference.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in 60s was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explanation of health behavior is 14.8%. In 70s was living situation, and explanation of health behavior is 6.6%.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 behavior for elderly women, and including health concern, e-health literacy in the information era.

The Health Behavior Patterns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일부 농촌주민의 건강행위유형과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실태와의 관련성)

  • Kim, Young-Gab;Kang, Myung-Guen;Ryu, So-Yeon;Kim, Ki-Soon;Kang, Sung-Deu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9 no.1
    • /
    • pp.43-63
    • /
    • 200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patterns of health behaviors of some rural residents in Korea by sub-grouping them into populations with similar patterns of diet quality, physical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and cigarette smoking, and th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health behavior patterns and health status or health management of them.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722 rural residents above 20 years old on a typical rural district in Korea, a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from the survey data for health planning of a health center. Study questionnaire for this survey was developed from modifying the questionnaire for 'National Nutrition and Health Study' conducted in 1998. To classify health behavior pattern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test the association of health behavior patterns with health status or health managemen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e identified six health behavior typologies : 67.8% of the sample had a good diet quality but showed sedentary activity level(good diet lifestyle) and 10.9% had heavy smoking behavior(smoking lifestyle). Individuals included in fitness lifestyle cluster(6.2%) had high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ose in drinking life style(2.6%) had had mainly large amount of alcohol. Zero point six percent of sample were included in hedonic lifestyle cluster, who showed poor health behaviors in all. Those included in passive lifestyle(11.9%) had no activ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but tended to avoid risk taking health behavior such as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2.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mpare with the individuals in good diet lifestyle,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of those in fitness lifestyle showed higher and that of those in smoking lifestyle, drinking lifestyle, hedonic lifestyle, passive lifestyle showed lower than them, retrospectively. 3. Adjusti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to compare with the individuals in good diet lifesty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good health management practices in fitness lifestyle was higher,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health check in past 2 years was lower than them, retro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patterns between rural population and national population, which influenced significantl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ractice of them. We suggested tha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m be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ese points.

  • PDF

일본에서의 건강증진사업의 노력과 성과 : 건강일본 21의 중간평가

  • O, Eu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8-108
    • /
    • 2009
  • 일본에서는 일차보건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건강증진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기된 알마아타선언이 발표된 1978년과 때를 같이 하여 같은 해부터 국민건강 만들기 대책이 시작되어 지금까지 30여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 동안 두 차례의 정책수정 과정을 거쳐, 2000년부터는 제3차 건강만들기의 활동으로 "건강일본 21"을 실시하고 있다. 건강일본 21의 기본적인 목적은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활기가 넘치는 사회를 실현하며, 조기사망을 예방하고 치매와 같은 병상상태의 생활에서 벗어나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조기사망이나 장애와 관련된 암, 뇌졸중, 심장질환, 자살 등과 같은 질환군을 파악하고, 이러한 질환군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 고혈압, 당뇨, 치주질환 등에 관한 위험군을 찾아내어, 이러한 것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흡연, 음주, 식사,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과 관련된 요인들을 개선하도록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일본 21에서 사업영역으로 정한 (1) 영양 및 식생활, (2) 신체활동 및 운동, (3) 휴양 및 마음의 건강 만들기, (4) 흡연, (5) 음주, (6) 치아건강, (7) 당뇨병, (8) 순환기질환, (9) 암 등에 관한 각 분야에 있어서 현재의 현황을 알아보고, 지금까지의 성과를 파악하며 앞으로의 현실가능성을 전망해 보았다.

  • PDF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 및 지원 방향

  • Song, Ye-Ri-A;Nam, Eun-U;Mun, Ji-Yeong;Choe, E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6-86
    • /
    • 2009
  • 목적 :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서 대한민국 건강도시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국내 건강도시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방법 : 국내외 관련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38개 건강도시 담당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 및 담당자 면접조사를 실시함. 조사 결과는 SWOT 분석에 의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결과 : 국내 건강도시 응답률은 82.4%였음. 국내 건강도시는 사업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고,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76.3%가 작성하였음. 건강도시의 규모는 중소도시(시) 31%, 농어촌(군) 22%, 대도시(구) 47%로 조사됨. 건강도시사업 담당부서는 71%가 보건소이었으며, 건강도시업무 전담인력 보유 도시는 19%였음. 건강증진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도시는 34%에 불과하였음. 국외 현황으로는 브라질에서는 건강도시 관련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국가별로 추진 방법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음. 결론 : 우리나라는 2007년도부터 건강도시협의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2008년도부터 교육훈련 비용 및 전담인력을 지원하고 있었음. 그러나 사업을 추진 중인 자체단체는 아직 예산의 부족과 전담인력의 부족, 그리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본 청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음. 향후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침서 개발, 정부의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PDF

Women and Children's Health Care in Korea: Status and Strategies (한국의 여성과 어린이 건강 - 실태와 전략 -)

  • Lee, Kyung-Hye
    • Women's Health Nursing
    • /
    • v.7 no.4
    • /
    • pp.657-665
    • /
    • 2001
  • 여성건강은 개인 뿐만 아니라 가족, 사회, 국가적으로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미래사회의 자원인 인간을 출산하고 양육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여성은 스스로 자신의 몸을 지키고 건강행위를 위한 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출산과 관련하여 여성은 자신의 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한나라의 발전수준은 모자보건의 수준으로 결정하며 영아 사망률과 모성사망률은 국가 발전의 수준을 대표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여성과 어린이 건강 실태를 살펴보았다. 모성사망률과 영아사망률은 여성의 산전간호 수진률의 증가와 영아 예방접종률의 증가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모유수유률의 감소와 영아의 사고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은 자라나는 어린이의 건강을 위협한다. 어린이 사고는 환경과 돌보는 어른들의 부주의에 의해서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어린이 사고를 방지하고 모유수유률을 증가시키는 예방전략이 필요하다. 여성의 흡연, 음주, 약물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과 여성폭력이 증가하는 것은 여성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식습관 장애와 같은 잘못된 건강행위는 여성의 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자녀출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성과 어린이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여성이 여성으로서의 인식을 가지고 건강관리기관을 찾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간호사를 비롯한 의료인은 여성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고 자가간호 할 수 있는 힘과 의지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성건강전문간호사가 필요하다. 또한 국가와 사회단체(NGO)가 함께 여성건강이 국가적인 사업임을 인식하고 지원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PDF

Health Zone_부모 카운슬링 - 건강한 두뇌 똑똑한 건강

  • Lee, Yun-Mi
    • 건강소식
    • /
    • v.36 no.3
    • /
    • pp.30-31
    • /
    • 2012
  • 자녀의 건강과 두뇌 성장을 별개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자녀의 몸은 미완성이다. 불완전한 신체 조직은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성장하기 때문에 두되는 건강 상태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 쉽게 말해, 머리 좋은 아이를 만드는 일은 건강한 아이를 만드는 일과 같다.

  • PDF

행복+건강한 마음: 젊어서 관리한 건강 80세까지 간다 - 운동 중에 마시는 물, 보약이나 다름없다!

  • Lee, Il-Seop
    • 건강소식
    • /
    • v.34 no.8
    • /
    • pp.10-11
    • /
    • 2010
  • 피트니스센터 회원권을 끊지 않는다 해도 건강한 신체는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물 마시기에 인색하면 건강한 몸만들기는 불가능해진다. 충분하고 효과적인 물 마시기가 선행돼야 운동효과를 볼 수 있고 건강한 몸 만들기도 가능해진다.

  • PDF

건강관리사업의 체계화

  • Jeon, Won-Bae
    • 건강소식
    • /
    • v.9 no.12 s.85
    • /
    • pp.19-22
    • /
    • 1985
  • 건강관리 사업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분야가 건강 상담과 건강진단 업무라고 할 수 있으며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현상 황하에서는 이 사업이 건강관리대책의 중심사업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