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지각

검색결과 733건 처리시간 0.029초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과의 관계 (Correlations among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Compliance with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Elderly People)

  • 최영아;박점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1-152
    • /
    • 1999
  • 본 연구는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정도와 각각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의 질적인 삶을 유지, 증진시키는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재가노인 191명으로 K시 소재 1개의 노인학교와 8개의 노인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강현숙(1984)이 개발한 가족지지 측정도구,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강윤숙(1989)이 개발한 예방적 건강행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8년 9월17일부터 9월31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대상자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정도는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일반적인 특성별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예방적 건강행위와의 관계는 t-test와 ANOVA로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예방적 건강행위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정도는 평균 40.49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연령, 배우자 유무, 동거유형, 경제상태, 한달 용돈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노인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평균 29.01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정도는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동거유형, 경제상태, 한달용돈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노인의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정도는 평균 53.15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 행위 이행정도는 경제상태, 한달용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과의 상관관계에서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고(r=.57, P<.001), 가족지지와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정도와도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으며(r=.44, P<.001), 자아존중감과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정도와도 서로 순상 관관계를 나타내어(r=.51, P<.00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예방적 건강 행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 우울, 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sleep, depression and pain on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장경오;박수진;배두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66-1575
    • /
    • 2014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 우울, 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시에 소재하는 보건소에 등록된 저소득층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2012년 12월 20일부터 2013년 2월 15일까지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평균 $9.89{\pm}2.21$점, 수면은 평균 $39.72{\pm}8.79$점, 우울은 평균 $7.13{\pm}7.54$점, 통증은 평균 $5.37{\pm}1.90$점, 삶의 질의 평균은 $7.61{\pm}2.25$점이었다.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고, 수면양상이 좋으며, 통증정도가 낮고, 우울정도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수면이었으며, 44.6%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건강신념, 감염관리 지식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lth Belief and Knowledge on Performance of the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

  • 장옥선;박점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501-508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건강신념과 감염관리 지식 및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8개 요양병원에 재직중인 간호인력 146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20년 9월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감염관리 개인보호구 이용 용이성(β=-.198, p<.05), 건강신념(β=.124, p<.05), 건강신념 하위 변인인 지각된 민감성(β=.104, p<.05), 지각된 유익성(β=.111, p<.05)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을 위하여 개인의 건강신념 중 지각된 민감성을 이용하여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과 기존의 교육방법과 다른 요양병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 할 것을 제언한다.

치매환자를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이 건강지각과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aring burden of Caregivers who manage Dementia patients on the Health perception and Somatic symptom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27-440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고 있는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을 알아보고, 케어부담감이 신체증상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요양보호사 17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및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케어부담감은 "중상", 신체증상은 "중간"수준으로 나타났고, 건강은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안녕감은 낮게 나타났다. 케어부담감은 신체증상(r=.157, p<.05), 신체증상은 지각된 건강과 양의 상관관계(r=.220, p<.01)를 보였고, 신체증상과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요양보호사 근무동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보호사의 근무지에 따른 케어 부담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해보는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반복연구를 수행해 볼 필요가 있겠다.

청장년 직장인의 A형 간염에 대한 지식,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행위 (Knowledge of hepatitis A,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young and middle-age adults)

  • 차경숙;유양숙;조옥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98-30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knowledge of hepatitis A,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young and middle-age adult's. Methods: 207 young and middle-age adult's workers living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knowledge of hepatitis A was assessed by the questionnaire which researchers developed. Health perception was measured by Health Perception Scale (Ware, 1979) whil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assessed by Lee's(2006) questionnaire. Thes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Results: The knowledge score of hepatitis A was 9.53; the health perception score was 3.71;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was 3.3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hepatitis A,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Howe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clusion: The knowledge of hepatitis A found to be low. Therefore further study needs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hat could improve knowledge and awareness of hepatitis A.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지각,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Health Perception,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 Middle-Aged Women)

  • 이은정;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1-19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d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women who were attending a cultural center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July 31,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program. Results: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r middle-aged women was differ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religion, exercise, economic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time activities.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alth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ing anxiety. Health percepti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exercise, leisure time activities (exercise and social activity) were verified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unted for 3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health perception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 women. It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aimed at improv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ate-middle age women.

정부출연 연구기관 종사자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Employee according to Perceptive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 김지현;박숙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0-28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employe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22 employees in thre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the IBM SPSS/WIN 19.0 program. Results: The predicting factor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ge, smok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The variables explaine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34.3%. Conclusion: A survey of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ill be required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employee is needed.

운동프로그램이 피로, 지각된 건강상태, 운동관련 정서, 지각된 유익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여대생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e, Exercise-related Affect, Perceived benefits, and Self-Efficacy - From the samp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 최은숙;이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54-126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6-wk low intensity exercise program on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e, exercise-related affect, perceived benefits, and exercise self-efficacy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hirty-fou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3-17 and 30-60 minute sesseions of exercise program over 6 weeks. Data analysis was done by t-test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fatigu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2) The second hypothesis, “The perceived health stat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ercise-related affect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4) The fourth hypothesis, “The benefits of exercis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5) The fifth hypothesis, “The self-efficacy for exercise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 PDF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of Wrist Wearable Device)

  • 신명섭;이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98-506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IOT 산업을 이끌어갈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소비자 측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품 속성(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혁신성, 유행선도력, 자기효능감, 건강관심도) 가운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중에서는 유행 선도력과 건강 관심도, 제품 속성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역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이 구매 의사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비자의 이용 경험을 고려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ical Awareness about Pandemic and Health Beliefs of Standard Precaution on the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of Nursing Students)

  • 최동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7-14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을 조사하고, 이들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163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의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는 윤리인식(r=.17, p=.033), 지각된 민감성(r=.33, p<.001), 지각된 심각성(r=.24, p=.003) 및 지각된 유익성(r=.3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지각된 장애성(r=-.31,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8.09, p<.001), 지각된 유익성(β=.20, p=.014)과 지각된 장애성(β=-.20, p=.008)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8.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윤리인식과 함께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 중 유익성 및 장애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