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증진 자기효능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4초

일부 중년층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병 예방행동의도, 구강병 예방행동에 관한 융합적 관계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liefs, Oral Disease Preventive Intention and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in Partial Middle Aged Adults)

  • 최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09-215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신념과 구강병 예방행동에 관한 융합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U시 일부 중년층 28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로 볼 때 구강건강신념 중 구강병 예방행동의도, 구강병 예방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은 가치 있는 것이라고 느끼는 중요성이었다. 구강병 예방행동의도를 매개로 직간접적 영향을 알아본 결과, 중요성, 유익성 변인이 구강병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 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이미 구강병에 이환되어 심각성과 장애를 느끼고 있는 중장년층의 구강예방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강 건강이 전신질환만큼 중요하다는 중요성과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을 계몽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하겠다.

청소년의 건강 체중관리를 위한 융합 인식 및 식행동과 창의·융합역량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convergence awareness for healthy weight management and eating behavi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of adolescents)

  • 김윤화;이영미;이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76-389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 체중관리를 통한 창의·융합역량 강화를 위해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과 체중관리 관련 식행동 및 창의·융합역량 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대구·경북과 경기지역 청소년 43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에서 12월까지 5점척도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 창의성, 융합적 사고력, 자기효능감, 운동, 식이다양성 요인은 남학생의 평균점수가 여학생보다 높은 반면,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과 탈억제 식행동 점수, 체중감량 시도경험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과 탈억제 식행동 점수와 체중감량 시도경험은 비만 청소년이 저체중 청소년보다 높았지만, 식사량관리, 체중감량 신념과 관심은 저체중 청소년이 비만 청소년에 비해 높았다.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 요인에는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 융합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운동, 식이다양성 요인이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관리 관련 절제 식행동 요인에는 건강 체중관리 융합인식, 운동, 식사량관리, 정크푸드관리, 체중감량 신념, 체중감량 시도경험 요인이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체중감량 관심 요인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관리 관련 탈억제 식행동 요인에는 융합적 사고력, 체중감량 시도경험, 비만도 요인이 양의 영향을 주는 반면, 자기효능감, 식사량관리, 정크푸드관리, 체중관리 지식요인은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지속가능한 건강 체중관리 교육은 체중관리 지식과 융합적 사고력 및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건강 체중관리라는 문제해결능력을 창의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성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융합교육과 연결되어 이루어진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이민여성의 신체활동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mong Chinese Immigrant Women)

  • 조성혜;이현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60-76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mong Chinese immigrant women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of physical activity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pecific cogni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61 Chinese immigrant women living in Busan. A health promotion model of physical activity adapted from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was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25 to November 20, 2012. Using SPSS 18.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Results: The averag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the Chinese immigrant women was $1,050.06{\pm}686.47$ MET-min/week and the minimum activity among types of physical activity was most dominant (59.6%).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and accultu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model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3.7%.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acculturation and self-efficacy for immigrant women will aid in increasing the physical activity in Chinese immigrant women.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운동만족 및 건강증진행동 관계연구 : 헬스센터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self-efficacy,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 focused on the case of health training center)

  • 정영신;윤천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15-23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health belief of adult female users of the health training center affect health-promoting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of Rosenstock et al.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PLS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valid 177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Seoul and nearby c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eve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not on exercise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susceptibility does no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barri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not on exercise satisfaction. Fourth, perceived suscepti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Fifth,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Sixth, exercis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대학생의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자기효능감, 행복, 생활만족,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llege Stud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Playing on Self-Efficacy,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 백정원;남희은;류지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3-183
    • /
    • 2012
  •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the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health and self-efficacy,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2011 to December 2011, targeting 876 college students in 10 different region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rea. From the questionnaires, undependable and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81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in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ups with the strong show higher self-efficacy, have more happiness and express better life satisfaction. It has been empirically proved that those college students with a strong will to improve their health love themselves more and value themselves higher, which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대생의 두피건강신념과 두피관리행동 (A study on differences in scalp health beliefs and scalp care behavior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서희;임연실;전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66-2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두피관리행동의 증진을 위해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으로 나누어 두피관리행동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여대생 총 534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18일에서 2020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두피건강관리 건강신념수준의 차이는 인지된 유익성과 인지된 장애성,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두피관리행동 차이에 대한 결과로는 사회지향성향, 유행추구성향, 경제지향성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두피건강신념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보와 교육 프로그램의 개설 및 라이프스타일의 유형별 두피관리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an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roke Patients)

  • 박선일;조복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9-158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thod: The research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5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to two General hospitals and one Oriental treatment hospital in G. Metropolitan.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1st, 2003 to January 30th, 2004. The survey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Shah, Vanclay and Cooper's MBI(11 items), and Sherer and Maddux's self-efficacy(10 items), Walker, Sechrist, and Pender's HPLP(23 items)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obtain data were analyzed with an SPSS 10.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lpha,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ADL the score was 50.5, self-efficacy 40.4,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54.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DL by gener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as follows : for monthly income(F=2.72, p= .048), duration of stroke(F=7.98, p= .001), number of attack(F=5.21, p= .007), operation (F=17.88, p= .0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efficacy by gener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as follows : for monthly income(F=4.83, p= .003), number of attack (F= 6.20, p=. 003), operation(F=4.03, p= .04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lth promoti ng behaviors by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s follows : for aphasia(F=4.24, p=.04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ed between ADL and self-efficacy(r= .698, p=.000),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r=.398, p= .000), AD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r= .235, p= .011). Conclusion: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L,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 will be considered useful nursing intervention effect to progress, support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troke patients.

  • PDF

중학교 비만학생과 정상체중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Obese and Normal Weight Middle School Students)

  • 김나연;정인숙;김정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828-837
    • /
    • 2001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self-efficacy an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obese and normal-weight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360 middle school students (180 normal-weight students and 180 obese students) in Pusan from November 22nd to December 20th. 2000.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used in the study after being re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wit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and the literature review: General Self Efficacy Scale(Sherer et al.. 1982).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alker. Sechrist & Pender. 1987).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obesity (p=.014) mother's obesity (p= .007), sibling's obesity (p=.00l), and school record (p=.001) between obese and normal-weight students.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self-efficacy between the obese and normal-weight students (p=.0001)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p= .000) and in six sub-i terns: personal relationship (p =.000), exercise (p=.001), responsibility for health (p=.003), stress management (p = .015), self-actualization (p =.043) between the obese and normal weight students. 4. There were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obesity and the self-efficacy (r=-.19. p<.001), health promoting behavior (r=-.18. p<.001), specifically personal relationship(r=-.20. p<.001), stress management (r=-.12. p<.05), responsibility for health (r=-.15. p<.01), and self-actualization (r=-.14. p<.01).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fluence the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I recommend adding programs that can lea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o the obesity preven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PDF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의 경험 (Experiences of Problem drinkers Participation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Moderate Alcohol Drinking)

  • 강경화
    • 대한보건연구
    • /
    • 제44권4호
    • /
    • pp.1-13
    • /
    • 2018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문제음주자 관점에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명함으로써 탐색적 이해를 보여주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질적 기술 연구 설계가 사용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13명의 문제음주자와 개별 면담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내용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는 알코올 정보, 알코올의 효과에 대한 기대, 자기효능감과 행동 변화 측면에서 4개의 주제 및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직장 내에서 운영된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개인별로 동기 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나,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대체로 수용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자를 신뢰하는 참여자일수록 음주행동 변화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결론: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는 충분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음주 폐해에 대한 인식과 변화 동기의 증진 및 행위기술인 자기효능감의 획득을 통하여 문제음주 행동 변화에 유용한 접근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등 다양한 일차건강관리 현장에서 알코올중독 예방을 위한 조기개입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령후기 아동이 인지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신체건강과의 관계 -심리사회적 관점-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physical health among late school-aged children -A psychosocial perspective-)

  • 김수린;유조안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7호
    • /
    • pp.43-82
    • /
    • 2017
  • 절대적 소득을 강조하는 물질적 관점으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 격차를 설명하는 것에 대한 한계가 지적되면서, 비교적 최근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연구는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나, 자기평가를 위한 사회적 비교를 활발히 수행하는 학령후기 아동 역시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주관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이 인지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그들의 신체건강과의 관계는 물론,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리사회적 관점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건강복지패널 1차 년도(2014) 자료의 초4 아동 394명 및 그들 부모의 응답에 대해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령후기 아동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신체건강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심리사회적 관점에 근거한 매개변인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건강행동을 통해 신체건강에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심리사회적 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침으로써 열악한 신체건강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비롯하여, 아동기 건강증진을 위한 몇 가지 고려사항들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