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정보

Search Result 3,439,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요구와 추구행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 Kim, S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77-81
    • /
    • 2012
  • 소셜 미디어를 통한 건강정보 추구가 전세계적으로 일상화되어 가고 있으나 소비자건강정보 연구 영역에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 소비자들의 건강정보 추구 행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활발한 이용자 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정보요구와, 건강정보 추구 행태, 건강정보 활용 결과, 그리고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양질의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소비자를 교육하거나 건강정보 서비스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on Health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s of Middle-Aged Adults (중년층의 건강관심도와 건강정보추구도가 인터넷 건강정보 검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Hawyoung;Oh, S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8 no.3
    • /
    • pp.73-9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alth information use experience of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and 50s and to observe and analyze their health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according to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This study uses Information Foraging Theory with the concept of information scents which leads users to detect and collect cues in information searching. Type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cues that middle-aged people use when searching for health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Also, how their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ffected using information cues were analyzed. Three methods of research were used; (1) pre-interviews, (2) search experiments, and (3) post-interviews. Thirty-two middle-aged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performance on health information searching was recorded and referred to in the post-interviews using a think-aloud protocol. Findings presented that middle-aged people's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ffected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scents in health information search; those with high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consider the text made by the government office the most critical information cues. We believ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public libraries or non-profit institutions to understand middle-aged people's health information behaviors to design education programs for information retrieval considering users' health consciousness and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Findings could also contribute to Internet portal site or health-related web site designers developing strategies for middle-aged users to access health information effectively.

A Study Comparing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Perceptions of Evaluation Guidelines for Health & Medical Information (건강정보원 평가기준에 대한 공공도서관 및 의학도서관 사서간 인식비교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1
    • /
    • pp.107-129
    • /
    • 2014
  • Providing reliable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sources will be one of the basic skills of librarians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sources based on a survey of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As a result, a total of 21 items were selected as evaluation items, in three groups. The first, the health information content group, had 13 evaluation items, including accuracy, recency, medical expertise, regular updates, consideration of audience, objectivity, ease of understanding, plain (non-scientific or technical) language, completeness, relevance to the topic, verifiability, citation of information sources, and specification of precautions or warnings. The second group, the health-information sources group, had 5 evaluation items including clarity of health information for achieving its purpose, clarifica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compliance to the privacy policy, fairnes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and ethic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The third group was the health-information website design group, and featured 4 evaluation criteria: ease of access, search capabilities, website ease of use, and query-response services.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aged women : focused on 60-70s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지향, 인터넷 건강정보 문해력 및 건강행위 : 60-70대를 중심으로)

  • Lee, Young Hee;Ji, Eun Joo;Yun, Ok-J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4
    • /
    • pp.39-4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an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 on elderly women. The subjects consisted of 203 elderly women in the C city. The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ealth concer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health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60s and 70s. The e-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 difference.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in 60s was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explanation of health behavior is 14.8%. In 70s was living situation, and explanation of health behavior is 6.6%.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mprove health behavior for elderly women, and including health concern, e-health literacy in the information era.

Experience of Self-Management Health Inform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자가관리 건강정보에 관한 경험)

  • Choi, Ja-Yun;Jin, Xin;Ryu, Eui-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461-47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cquire a better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about health information (HI) for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 The thirty patients with COPD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until data saturation was reach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Four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of the self-management HI in patients with COPD such as "self-management practice based on HI", "difficulty in adhering to self-management based on HI", "various attempts to obtain self-management HI" and "satisfaction with provided HI". Conclusion: The majority of patients had no specific educational experience for self-management HI from other staff except for their doctors.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hospital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medical staff can provide self-management HI of COPD while also ensuring that accurate and continuous HI could be easily obtained through various media types, family, and acquaintances.

A Study in the Health Information Use of Immigrants (이민자의 건강정보이용 실태 분석)

  • Jang, Seon 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629-638
    • /
    • 202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ealth information usage of immigra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71 immigrants.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frequency of migrants' use of health information is low,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use health information less than once a month is high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use of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age, occupation, and those who contracted diseases. The main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was the Internet,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age and whether the Internet was used. Most of the respondents used health information for themselve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argets of using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having a cohabitee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immigrants do not actively use health information. However, when the age increased or the immigrant was unhealthy,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increased to solve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health information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s.

Utilization of Infant Health Information and Needs of Staffs in Child Daycare Centers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한 보육교사의 건강정보 이용 및 요구)

  • Kim, Ji-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01-603
    • /
    • 2010
  • 본 논문은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해 보육교사들이 어떠한 경로를 이용해 건강정보를 찾아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영유아 건강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한 후 전문가 검증과 예비조사를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지역편중을 배제하기 위해 두 개 시에서 편의추출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다수의 보육교사가 인터넷을 통해 영유아 건강정보를 찾고 있으며 건강정보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고 특히 응급처치와 전염성질환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struction of Korean symptom articulation data using rule-based data augmentation technique (규칙기반 데이터 증강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증상발화 데이터 구축)

  • Seong-Won Jeon;Dong-Jun Lee;Dong-H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0-362
    • /
    • 2023
  • 건강정보 검색 요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건강정보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건강정보 검색 서비스는 정형화 된 전문적인 의료정보와 그 해석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스스로 이해하여 원하는 건강정보를 검색해야 한다. 사용자의 검색 피로를 줄이고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건강정보 검색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사용자의 비의료적 표현인 한국어 증상발화 데이터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규칙기반 데이터 증강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한국어 증상발화 데이터를 증강하였다. 증강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보이기 위하여 KoBERT 기반의 증상분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증강된 데이터가 그 전의 데이터보다 F1 스코어가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중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 분석(2002-2003넌)-뉴스, 건강관련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 문현경;장영주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86-1087
    • /
    • 2003
  •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때문에 현대인의 영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대중매체에서도 영양과 건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방송매체 중 공중파 TV 프로그램에서의 정보들은 쉽게 접할 수 있어 올바른 영양 및 건강생활을 위한 정보나 실천지침을 국민들에게 전달되는 통로서의 긍정적인 부분도 있으나 시간상 제작환경상 등의 제약으로 인해 왜곡된 정보를 전달하는 부정적인 부분도 있다. 이에 건강관련 식품영양정보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유형별로 분류,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방송매체중 공중파 TV프로그램 중 정확한 보도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과 드라마 중 가족드라마를 선정하여 건강관련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질적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강관련 식품영양 정보들에 대한 건수, 시간수, 주제, 취재원, 적절성과 부적절성 평가 및 부적절성의 요인들을 양적 질적으로 평가하여 연도별 비교분석을 하였다. 2002년도 4월 30일부터 2003년 9월 30일까지 모니터링 전문 교육을 마친 식품영양학 전공 모니터원이 조사기간 중 담당 프로그램을 모니터하여 각 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과 질을 조사하여 SPSS 통계팩키지를 사용하여 빈도 및 평균분석을 하였다. 총 모니터건수는 15,226건이었으며, 이중 총 건강관련정보건수는 5,623건으로 36.9%를, 식품영양관련 정보는 4,848건으로 3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건강관련 정보 대비 식품영양정보건수의 비율은 86.2%로 높게 나타났다. 뉴스프로그램의 총 건강관련 정보수는 17.9%에서 16.1%, 식품영양정보수의 비율은 6.6%에서 3.6%로 낮아졌으며, 건강정보프로그램의 총 건강관련 정보수는 51.5% 에서 94.6%, 식품영양정보수의 비율은 32.4%에서 57.4%로 높게 나타났다. 드라마의 식생활관련 장면 방송시간비율은 20.8%에서 17.2%로 낮게 나타났다. 뉴스프로그램에서 건강관련정보가 가장 많이 보도되는 달은 2002년 10월, 2003년 9월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정보의 주제로는 뉴스프로그램은 질환, 건강정보프로그램은 음식, 어린이교육프로그램은 식품, 노인정보프로그램은 생활습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보의 취재원으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터뷰가 73.7%로 가장 많았다. 식품영양정보의 부적절한 평가율은 뉴스는 49.3%에서 72.2%로, 건강정보프로그램은 54.0%에서 67.8%로 2002년보다 2003년도에 높게 나타났으나, 드라마는 63.2%에서 16.2%로 낮게 나타났으며, 어린이교육프로그램 40.0%, 노인정보프로그램 17.9%인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의 식생활 장면에서 음식의 양이 부적절한 경우는 28.6%에서 15.8%로 낮아졌으나, 음주장면의 경우 10.7%에서 11.5%로 증가하였음은 앞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흡연 장면의 경우 드라마상의 흡연장면 방송금지 선언의 여파로 1.6%에서 0.2%로 감소하였다. 뉴스 및 정보프로그램에서는 부적절한 평가를 받은 정보들은 적정섭취량이나 실생활에 활용할 실천방안 등에 대한 제시가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전문용어에 대한 설명부족, 영양가 비교기준이 다르거나, 식품 등의 효과에 대한 내용이 과장된 경우가 많았다. 드라마의 경우 음주, 커피, 야식 등 불필요한 식사장면이 많이 나오거나 음식의 양이 사람수에 비해 많다라는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TV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건강관련 정보기사가 차지하는 비율과 이중 식품영양정보기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건강관련정보기사의 질적인 평가에서는 부적절한 평가를 받은 비율도 함께 높아지고 있어 이의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요구와 추구행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 Kim, Sooj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4
    • /
    • pp.239-260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undergraduates' health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their perceptions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Interviews with 22 undergraduates revealed that social media was used mainly in a preventive stage or in a health maintenance stage. The perceptions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widel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media. This finding indicated the need for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at could help undergraduates effectively evaluate and acquire health information 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