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신념모델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초

미국거주 한국인 이민자들의 암과 식품에 대한 지식과 신념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Cancer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S.A.)

  • Cho, Jae-Kyung;Kim, Katherine;Elena Yu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3-149
    • /
    • 1998
  • 본 연구는 미국에 사는 한국인 이민자들의 암예방과 식품에 대한 지식과 신념에 관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도구로는 미국 국민 건강연구조사 (NHIS)의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연구의 대상자는 미국의 시카고에 거주하는 263명의 한국인 이민자들이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부분의 대상자(83.3%)들은 한국음식을 먹고 있다고 답하였다. (2) 대상자들의 47.5%가 영어를 전혀 못 읽거나 거의 못 읽는다고 답하였다. (3) 식생활 변화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현재 먹고 있는 음식을 즐기기 때문에 식생활을 바꾸고 싶지 않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4) 우리가 먹고 마시는 음식과 관계 있는 주요질병에 대해서 25.4%의 응답자만이 암이라고 답하였다 (미국 NHIS 에서는 48%). (5) 응답자의 48.3%만이 섬유소에 대해 들어보았다고 응답하였다. (6) 7.1%의 응답자만이 섬유소가 많은 음식으로 corn flakes와 bran flakes를 고를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보아 한국인 이민자들이 미국음식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보인다. (7) 약 62%의 응답자들이 암예방에 관한 무료 보건강좌에 참석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보건강좌 장소에 대해 "교회'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8) 질병예방에 관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느냐는 질문에 대하여 "신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볼 때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미국 정부에서 하고 있는 암예방 교육의 혜택을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이민자들의 문화적 배경에 맞는 암교육이 필요하며, 영어를 잘 못하는 이민자들을 위해 한국말로 번역된 보건교육자료를 사용하여야 한다.교육자료를 사용하여야 한다.표현을 위하여 확장된 기본 모델을 중심으로 각 레벨의 구성 요소들의 형식적 의미(formal semantics)와 레벨 내 혹은 레벨 구성요소들간의 관계성(relationship), 그리고 제약조건의 표현과 질의 추론 규칙들을 식별하여 FOPL(First Order Predicate Logic)로 표현한다. 또한, 본 논문은 FOPL로 표현된 predicate들과 규칙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Prolog로 변환하기 위한 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정보자원 관리를 위한 기본 함수들과 스키마 진화(schema evolution)를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최저 잔류탁도를 나타내는 최적 응집제 주입량에서의 Zeta potential은 원수탁도가 5NTU일 경우 Alum, PAC 및 PACS 모두 -20mV∼-15mV사이였으며, 원수 탁도가 10NTU인 경우에는 0∼0.5mV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응집제 종류 및 주입량이 상이하더라도 응집효율이 가장 양호한 상태에서의 Zeta potential은 일정한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 각 11.1, 10.2, 12.2 그리고 13.0%의 발달율을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수정 후 114 시간 개별배양된 수정란으로부터 분리된 small과 large의 할구를 공핵체로 사용한 처리구에서 핵이식 수정란의 세포융합율에 있어서 각각 71.0, 71.4, 69.9 및 77.1% 의 융합율올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핵이식 수정란의 배반포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각각 11.4%, 8.0%, 17.2% 그리고 12.9% 의 발달율을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핵이식 수정란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ionomycin 과 DMAP 의

  • PDF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초등학생의 우리 전통 식생활에 대한 인식 조사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 이경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1호
    • /
    • pp.86-97
    • /
    • 2013
  • 본 연구는 전국 8개 도시지역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관련한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건강 행동으로서 우리 전통 식생활의 실천에 따른 장점 (행동 수행시의 이득) 및 어려움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이 자아효능감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대상 초등학생들은 남녀 모두 매일 세끼 식사를 하는 편이었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식사를 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식사나 간식을 규칙적으로 먹는 정도와 야참 섭취는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그리 양호한 편은 아니었다. 식품선택 습관에 있어 남녀 모두 밥 위주의 식사와 매끼 김치와 채소반찬을 먹는 정도는 4.0 이상으로 높았으나 그 이외의 과일, 생선, 두부나 된장류, 고기류, 단 음식의 섭취는 보통 정도 수준으로 양호한 수준은 아니었다. 초등학생들은 남녀 간의 차이 없이 자신의 식생활과 관련하여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보통 정도에 불과하여 질병 위협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았으며, 특히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보다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더 낮았다. 그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면 영양과 건강 측면에서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기호 측면에서도 영양 측면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좋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우리 전통식생활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초등학생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는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항목별로 볼 때 습관이나 기호보다는 이용성과 조리기술에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식이 자아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식행동의 대부분 항목과 식품 선택 습관의 모든 항목에서 자신이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자기 조절 항목 중 음식을 권할 때 거절하기와 음식 앞에서 먹지 않고 참기, 그리고 전통음식 조리에는 다소 자신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은 질병 가능성이나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행동 수행시의 이득에서는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이 자아효능감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초등학생의 식습관은 식이 자아효능감 (${\alpha}$ = 0.675),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 (${\alpha}$ = 0.581), 행동 수행시의 이득 (${\alpha}$ = 0.339),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alpha}$ = 0.143)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들이었고 이들 요인에 의한 설명력은 53.5%이었다. 그중 식이 자아효능감이 초등학생의 식습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 = 0.472).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은 식습관이 우리 전통 식생활 측면에서 볼 때 보통 정도로 우려할 정도는 아니나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었고, 자신의 식생활과 관련하여 질병 가능성이나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편이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그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 또는 식습관과 관련한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그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면 영양, 건강, 기호 측면에서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우리 전통 식생활에 대한 자부심도 높은 편이었다. 또한 그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고 전통식생활 실천에 대한 식이 자아효능감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가정과 사회에서 전통음식을 접할 기회가 적고 전통음식 조리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먹어보지 않은 음식에 대한 식이 자아효능감이 낮았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우리 전통 식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더 많이 섭취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조리 활동이 포함된 우리전통 식생활 교육과 더불어 가정이나 사회에서 우리 전통음식을 접할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통과 호스피스 케어 (Suffering and Hospice Care)

  • 김명자;정인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1호
    • /
    • pp.21-28
    • /
    • 2007
  • 본 고에서는 보다 수준 높은 호스피스 케어를 위해서는 고통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영적 접근에 대한 의식확장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가정 하에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았다. 최근 건강관련분야 특히 만성적 건강문제에 접근하는 기본 패러다임으로 총체적 모델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데 이는 인간에 대한 존엄과 인간을 몸과 마음 그리고 영적인 요소가 하나로 통합된 존재로 보는 이론체계를 수용한다. 따라서 전인적, 총체적으로 인간을 이해하는 것은 죽음을 앞둔 대상자의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과 치유과정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이 때 제기될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은 또다른 차원의 문제인 것이다. 인간은 죽음을 체험하면서 궁극적인 고통과 대면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적 조치인 이성의 힘만이 아니라 절대자인 신(God : 하느님 : 우주)과의 관계 안에서의 모색이 연결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죽음의 고통을 겪고 있는 대상자들은 의료인의 따뜻한 마음과 전인적인 포용력을 요구하는 인간적인 특성을 소지하고 있다. 호스피스에 관심을 갖는 의료인들은 인간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종교심 또는 영적 영역의 장을 인정하고 애정어린 몸짓으로 대상자의 고통에 함께 함으로써 보다 수준 높은 호스피스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들의 곁에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한편 고통에 대한 의식을 확장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신념을 소지할 필요가 있다.

  • PDF

일부 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건강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VID-19 on Health Prevention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 조한울;최은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12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research is to identify how stress from Covid-19, health beliefs, and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affect health preven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8 university students, excluding health major students, at one university in D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31, 2020.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8 items on stress from COVID-19, 12 items adapted from a health belief measurement tool, 12 items from a social support measurement tool, and 11 items adapted from a tool that measures health preventive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th SPSS 26.0. Results: In model 1, stress from COVID-19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β=-.403, p=.003). Model 2 added four health belief factors into Model 1. Stress (β=-.419, p<.001), perceived severity (β=-.193, p=.030), and perceived barriers (β=-.182, p=.009)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del 3, stress (β=-.413, p<.001), perceived barriers (β=-.147, p=.034), and social support (β=.194, p=.01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ignificant (F=15.395, p=<.001) and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53.1%.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when college students had a high degree of health beliefs about COVID-19, the degree of health preventive behaviors was proportionally high. To make them practice preventive health behavi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health beliefs.

건강신념 모델에 근거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 조미영;황지윤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1호
    • /
    • pp.64-77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among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consultation, and pilot tests. Based on theoretical requirements and needs of beneficiaries,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16 sessions with nine topics: 'how to evaluate ow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understanding six food groups', 'healthy eating plan', 'understanding food cultures of Korea and Vietnam', 'traditional and seasonal Korean foods', 'how to cook Korean food', 'nutrition management of family members', and 'practicing of healthy dietary life'. Program contents in each session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could induce outcome and value expectations,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nd cues to actions regarding dietary behavior. This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would be helpful to implement healthy diet behaviors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Extension of thes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to health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ould improve the current poor nutrition statu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our program.

경기도내 병원에 종사하는 임상병리사의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Awareness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mong the Hospital Laboratory Room Technicians in Gyeonggi Province: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김두진;이원재;최광일;우성범;송양민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1-102
    • /
    • 2015
  •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intended to find the awareness and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of the laboratory technicians working in the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work environment of the laboratory technicians to prevent infec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13 laboratory technicians in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SPSS 21.0. and AMOS 18 were adopt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perceived sensitivity and cues to action influenced perceived threats of disease. Perceived threats and perceived barriers to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and perceived benefits of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obability of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hat hospitals need to prepare plans to prevent the employees from infection in the hospitals. The plans must include education, regular exams, injury prevention, and provisio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기업의 정보보안 활동이 구성원의 정보보안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irm's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on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 정재원;이정훈;김채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1-59
    • /
    • 2016
  •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내 외부의 위협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많은 돈과 인력을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보안위협과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고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정보보호 활동을 예방 지향적과 억제 지향적으로 구분하고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하여 기업의 정보보안 활동이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정보보안 정책을 준수하도록 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예방 지향적 활동은 심각성에, 억제 지향적 활동은 유익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심각성과 유익성은 각각 준수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기업에서 교육, 홍보, 모니터링 등 사전적인 활동을 시행할 경우 미 준수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강조하여야 하며, 감사, 처벌 등 사후적인 활동을 통해 보안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 기업의 의지를 보임으로써 보안 정책을 준수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라는 판단을 구성원 스스로 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정보보안 활동이 될 것이다.

건강신념모델과 한국인 만성질환자의 환자역할 행위 (H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of Koream Chronic ill Paients)

  • 구미옥;이은옥
    • 대한간호
    • /
    • 제29권3호
    • /
    • pp.49-63
    • /
    • 1990
  • This article reviewed & analyzed 33 studies of the Health Belief Model applied to korean chronic ill patients which were published from 1975 to 1990. The finding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ubjects of researchs are patients with various chronic illness including Pulmonary Tb., DM., Hemodialysis & Kindney Transplantation, Hypertension, etc. The type of research is retrospective survey in all studies. The measurement of health' belief in all studies & sick role behavior in most studies have relied on self repor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sick role behavior was done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in most studies. To analyze empirical support for the relatioh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sick role behavior, Significance ratio was computed. This ratio is value wherein the number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with relationship in the expected direction for an HBM dimension are divided by total number of studies which reported significance levels for that dimension. Examination of this ratio across the 33 studies reveals susceptibility(30.3%), severity(34.4%), benifit(65.6%), barrier(50%).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nd literature review.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reliable, valid and standadized instrument for measurement of health beliefs. 2. In the further 'measurement of perceived susceptibility of the chronic ill patients, It is considering that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are measured together or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susceptibility is eliminated. 3.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verity and sick role behavior is suggested to be analized using ANOV A, $x^2$ square instead of correlation coefficient. 4. Sick role behaviors should be measured by both self report and objective measurement. 5. Prospective, longitudinal survey should be needed. 6. Other factors influencing sick role behaviors of chronic ill patients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 PDF

패스워드 보안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Password Security Behavior)

  • 이동희;김태성;전효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87-198
    • /
    • 2018
  • 최근 다양한 핀테크 기술과 바이오 인증의 발달로 인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금융 거래 및 전자 상거래가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들에서조차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한 패스워드의 생성과 관리는 개인의 정보와 자산을 지키기 위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패스워드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건강신념모델을 활용하여 패스워드 보안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가 패스워드 보안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 지각된 심각성이 다른 요인들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 결정요인: 건강신념모델 확장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o the Particulate Matter: An Application of the Expansion of Health Belief Model)

  • 정동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71-479
    • /
    • 2019
  • 본 연구는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28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장애는 예방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은 예방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요구되며, 향후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위험에 대한 예방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