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신념모델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4초

건강의식과 유희성이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수용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The Effect of Health Consciousness and Playfulness on Intention to Use Tangible Fitness Game: Extended TAM)

  • 장한진;노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7
  • 이 연구는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의 수용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건강의식, 유희성이 기술수용모델의 선행변인으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먼저 기술수용모델의 핵심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이용과정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강에 대한 중요성, 신념, 관심을 의미하는 건강의식이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에 대한 유용성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유용성을 매개로 하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희성은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매개로 하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체감형 피트니스 게임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기술수용의 확장모델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설명력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금연홍보 캠페인의 메시지 효과평가 -영상홍보물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Evaluation of Anti-Smoking Public Relations Messag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Using Televised Health Messages-)

  • 이철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223-24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금연홍보 영상물 메시지의 전달방법이 흡연에 대한 신념, 태도, 행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영상물 제작에서, 정보결손모델, 건강신념모델, 계획된 행동이론, 사회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금연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를 실험연구를 통해서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금연 메시지의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는 메시지의 측면성, 자아효능감, 규범적 압력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메시지의 효과를 흡연자와 금연자 집단으로 나눠 이원변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금연자가 양면적 메시지로 구성된 실험물에 노출되었을 때, 그리고 규범적 압력의 메시지가 포함된 실험물에 노출되었을 때 금연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여부에 관계없이 규범적 압력이 포함된 실험 영상물이 사회적 흡연 신념을 억제시키는 설득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흡연여부와 관계없이 양면적 메시지와 규범적 압력이 포함된 영상물을 선호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자아존중감의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양면적 메시지와 규범적 압력의 메시지의 주효과가 일부 흡연신념을 통해서 나타난 것에 비해서 흡연여부의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태도가 차이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흡연자가 금연자와 마찬가지로 담배의 신체위해성이나 심리적, 사회적 이유로 흡연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인식한 상태에서 흡연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금연메시지를 구성하는 이론적 토대에 따라 영상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으로 향후 실제 금연 캠페인에 적용할 수 있는 메시지 전략도출에 기여를 하였다는 점이다.

  • PDF

금연 TV광고의 내용분석 연구 -한국과 미국의 차이에 기반한 건강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적용- (Content Analysis of Anti-Smoking TV advertisements: Different Adaptation of Health Communication Theories between Korea and the U.S.A.)

  • 홍은희;이철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76-87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텔레비전 금연 광고를 내용분석하여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금연 광고의 메시지 구성에 있어서 모델이 되는 이론들에서 제시하는 요소를 종합하고 이러한 요소가 실제 한국과 미국의 금연광고에서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특히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인 차이에 따른 광고 메시지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을 주요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금연광고와 같은 기간의 미국 금연광고를 샘플링하여 총 71개의 TV광고를 건강증진재단의 자료를 통해서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연광고는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이론인 건강신념모델, 합리적행동이론, 사회인지이론등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에게 흡연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고 흡연을 하지 않게 하는 행동적인 목적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금연광고는 사회적 규범의 메시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흡연에 대한 태도 메시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는 가장 적게 사용한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이나 모델링을 사용한 메시지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금연광고에서 사용된 정서는 국가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양국 모두 공포와 유머가 제일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슬픔이나 단순정보전달, 분노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었다. 청소년층만을 대상으로 광고가 제작된 경우는 양국 모두 많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금연광고에서 자주 사용된 메시지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을 발견함으로써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요소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금연광고의 학문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여대생의 인터넷 생식건강정보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Female College Students'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n the Internet)

  • 윤현수;오상희;이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89-409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들의 생식건강정보 탐색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그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건강신념모델(HBM)과 계획된행동이론(TPB)을 기반으로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감정적 평가를 주요 요인으로 정의하고 연구를 설계하였다.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을 통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은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반면에 지각된 장애는 낮을수록, 인터넷을 통해 생식건강정보를 탐색할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대생들의 인터넷 생식건강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여대생들의 성경험 유무, 생식기계 질환 경험 유무, 건강관심도 등에 따른 그룹 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결과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도서관이나 보건기관 등이 온라인 건강정보 문해교육이나 관련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여대생들의 생식건강 인식 정도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AIDS 예방의 건강신념, 태도 및 건강행동 (Health Belief Model Approach to Health Beliefs,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Concerning HIV / AIDS.)

  • 김명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5-147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Health Belief Model (HBM) constructs explain the likelihood of taking preventive behaviors for AIDS among the young adolescents in Korea. HBM was appli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questionnaire items in this study. The survey instrument included all of the constructs of Health Belief Model, namely,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s, cue to actions for preventive behaviors concerning AIDS. Additional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ir sexual experiences, and AIDS Knowledge Test were included in the study. Each of HBM constructs were developed with a 5-point Likert type scale from l(never agree) to 5 (absolutely agre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47 military men in a city on September 18, 1996,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ecaus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military soldiers,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limited to all men, young age, and ummarried. Educational status was evenly distributed between high school graduates and university students. 2. On the average, the respondents started their first sexual relationship at 18 years old and 82.6% of them did not use condom when having their first sexual experience. Thirty-one percent of the subjects had sexual contact with prostitutes and the average number of sexual contact with prostitutes was 5 times during the past 2 years. 3. The results of AIDS Knowledge Test scores demonstrated that the respondents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AIDS. However, some misconceptions about transmission of AIDS through casual contact were still prevailed. Sixty-six percent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at people infected with HIV should be isolated from the society in order to protect the general public. 4. All the respondents expressed that they had heard about AIDS before. TV was found to be the source which provided information on AIDS most frequently. 5. Among fundamental constructs of Health Belief Model, scores of perceived benefit of taking preventive action against AIDS marked the highest score, while scores of perceived susceptibility were the lowest. As a result of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13 variable groups were found to predict the preventive action by 25%. Among them, only perceived benefit variable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explain preventive behaviors by 17%.

  • PDF

건강 신념 모델에 근거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병 관련지식과 성적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 신윤희;전영경;조성미;조예령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1304-1313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four session program was delivered to 18 students during 4 week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3 students. The theme of the first session was 'sex, gender, and sexuality: all our concern', 'dangerous sex' for the second session, 'safe sex' for the third session, and 'right sex for you and me' for the fourth session. Result: At follow-up, the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sex education program with several sessions within the theoretical frame of HBM was effective to improve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Th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a systematic sexual education program to teach healthy sex and to extend the program for other various populations.

청소년과 그들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A형 간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 및 건강신념 연구 (Adolescents' and Parental Knowledge, Health Beliefs Toward Hepatitis A Vaccination)

  • 윤서희;이효연;김한울;공경애;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3호
    • /
    • pp.147-160
    • /
    • 2013
  • 목적: 최근 과거에 비해 A형 간염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예방접종 도입 이전에 출생한 청소년들은 A형 간염의 대량발생 위험성이 있다. 본 연구는 A형 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청소년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A형 간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을 조사하였다. 방법: 만 13-19세의 A형 간염 과거력이 없고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건강한 청소년들과 그들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A형 간염 및 A형 간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을 조사하였고, 건강신념은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의 4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총 314명(157쌍)의 청소년과 보호자들이 모집되었고, 청소년과 보호자의 평균 나이는 각각 $16.0{\pm}1.6$, $45.6{\pm}4.7$세였다. 대상자의 A형 간염 및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점수는 청소년, 보호자 각각 18점 만점에 평균 $6.4{\pm}3.7$점, $7.3{\pm}3.4$점이었으며, A형 간염과 예방접종에 관한 건강신념 세부항목들의 평균점수는 청소년과 보호자 각각 다음과 같았다. 민감성 점수(점수범위: 2-10점)는 $5.6{\pm}1.6$점과 $5.9{\pm}1.7$점; 심각성 점수(점수범위: 5-25점)는 $16.3{\pm}4.1$점과 $18.3{\pm}3.6$점; 유익성 점수(점수범위: 5-25점)는 $19.7{\pm}3.3$점과 $20.6{\pm}2.1$점; 장애성 점수(점수범위: 17-85점)는 $41.3{\pm}8.9$점과 $39.0{\pm}9.1$점이었다. A형 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주된 원인은 청소년과 보호자 모두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해야한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결론: 청소년층의 A형 간염 대유행의 위험을 낮추고 접종률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보호자가 함께 참여하는 반복적인 학교 보건교육이 필요하며, A형 간염 예방접종의 국가필수예방접종 도입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 PDF

치과의료소비자의 구강건강신념이 건강보험 급여화에 따른 스케일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of oral health beliefs on scaling performanc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consumers)

  • 이명선;임희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oral health beliefs on scaling performanc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consum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353 people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20, 2013. They filled out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s. The questionnaire included 6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6 questions of oral health behavior, 6 questions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1 question of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The oral health belief consisted of 6 questions of seriousness, 6 questions of susceptibility, 8 questions of barriers, 5 questions of benefit, and 3 questions of self-efficacy measure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in the study was 0.75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0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ost-hoc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 belief model were Seriousness(${\beta}=0.091$), Self efficacy(${\beta}=-0.471$) and age(${\beta}=0.855$)(p<0.05). Those who had highly perceived seriousness and younger age tended to have probability of scaling performance. Higher self-efficacy tended to take more chance to have scaling performance probability. Conclusions: In order to cover the scaling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it is very important to notice the benefit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to the consumer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enables the scaling practice to be easily accessible to the people. Easy access to scaling by low cost strategy can improve the oral health behavior.

간호대학생의 COVID-19에 관한 지식, 건강신념 및 불안이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횡단적 연구 (Nursing students' knowledge, health beliefs, anxiet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on COVID-19: A cross-sectional study)

  • 사혜원;김영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4-29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related knowledge, health beliefs, anxiety levels, and preventive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preventive behavior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192 nursing students from March 4, 2021 to March 25, 2021.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nursing students' knowledge, health beliefs, anxiet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regarding COVID-19.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level was 15.08±1.70 out of 5, and their health belief level was 3.72±0.32 out of 5. These scores were considered high. Their anxiety score was 3.29±3.84 and considered very low.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enefits (r=.29, p<.001) and cues to action (r=.28, p<.001).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by multiple regression were identified as health beliefs and living arrangements (F=8.95, p<.001, Adjusted R2=14.3%).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beliefs and living arrangements could b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nursi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ppropriate education and widespread awareness campaigns aimed at potential health care professionals about the prevention of new emerging diseases.

앤더슨 모형을 적용한 일부 성인의 치과 의료이용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ental Service Utilization of Adult: An Application of the Andersen Model)

  • 최은실;김미나;노선미;박지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7-76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 일부지역의 성인을 대상으로 치과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앤더슨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5월 7일부터 6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SPSS 통계 Package version 20.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대상자의 51.7%는 여성이며, 남성은 48.3%이다. 연령은 만 18세 이상 29세 미만 31.2%, 30대 31.1%, 40대 24.5%, 50세 이상 64세까지는 13%이다. 지난 1년간 치과 의료이용을 한 응답은 57.5%이다. 치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 연령(p<0.001), 지역(p=0.005), 흡연유무(p<0.001), 구강보조용품사용(p<0.001), 건강신념 중 유익성(p=0.004), 자기효능감(p<0.001), 장애성(p=0.028)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치과 의료이용여부를 위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모델 1, 2에서는 구강보조용품 사용중 치실, 전동칫솔, 치간칫솔 사용이 유의하였으며, 모델3에서는 구강보조용품중 치실, 전동칫솔, 치간칫솔과 더불어 건강신념 중 자기효능감과 장애성이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인성 요인의 구강보조용품 사용과 필요 요인의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장애성이 치과의료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따른 구강 보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치과 의료 이용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