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분류

검색결과 1,053건 처리시간 0.05초

청각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뇌파신호의 분석 (Analysis of EEG Signal Evoked by Auditory Stimulation)

  • 이동한;김재욱;이종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3227-3229
    • /
    • 2000
  • 본 논문은 청각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변화되는 뇌파로부터 의미 있는 특징을 찾아내서 정량화 할 수 있는 변수 추출 및 분류 기법을 제시한다. 건강한 피실험자로부터 방향성 있는 청각 자극을 인가했을 때의 뇌파를 검출, 분류하였다. 뇌파의 변수 추출 방법으로는 짧은 시간영역에서의 신호의 갑작스런 변화량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Mallat's A1gorithm을 이용한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을 적용하였고, 분류 방법으로는 그 결과로 나온 웨이블릿 계수를 변수로 하여 Neural Network을 학습하여 사용하였다. 향후 피실험자의 훈련을 통해서 청각 자극이 없이 순수한 생각만으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뇌파분석기를 만든다면 생각만으로도 물체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센서모듈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제어 (Control of Ubiquitous Environment using Sensors Module)

  • 정태민;최우경;김성주;김성현;전홍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2호
    • /
    • pp.101-104
    • /
    • 2006
  • 유비쿼터스 시대가 다가오면서 앞으로 가정 및 회사 등 인간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공간에서의 좀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다양한 정보를 인간에게 인지시켜 줄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한다. 이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주변장치들의 네트워크와 인간에게 많은 정보와 편리성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센서모듈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를 신경망과 퍼지 알고리즘을 사용해 동작인식의 패턴을 분류하여 인간의 사고를 움직임 파악한다. 이러한 패턴의 분류를 통해 홈네트워크 시스템과의 센서모듈의 통신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패턴이 분류된 행동들의 명령으로 미리 지정된 간단한 손동작으로 여러 가전기기라든지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식을 더욱 간단히 제어하며, 인간의 건강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인간행동과 상태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의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의사결정나무 기반 비만과 대사증후군 데이터 분류와 특징 중요도 분석 (Decision tree based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data classification and feature importance analysis)

  • 이종욱;김영호;백병현;황두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80-883
    • /
    • 2021
  • 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위험요소로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한다. 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유전적 영향, 식습관, 신체활동 등이 연관된다. 비만 인구의 증가로 대사증후군의 발병률이 높아졌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지혈증과 고혈압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을 동반한다. 비만과 대사증후군 판별 요소 검출을 위한 개인의 신체 정보와 생활 정보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비만과 대사증후군을 분류하고 분류 시 사용된 특징의 중요도 분석을 수행한다. 비만 분석 결과는 체중과 신장이 높은 특징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대사증후군은 HDL, 허리둘레, 혈압과 나이 등이 높은 특징 중요도를 보였다.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행동 분류 모델 설계 (A Design of Behavior Classification Model for Pet Healthcare)

  • 최혁순;김민서;문남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55-656
    • /
    • 2023
  • 반려동물 웨어러블 시장의 성장함에 따라 반려동물의 행동 패턴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센서데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려동물 수면 패턴 모니터링을 위한 행동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6축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가속도 및 자이로센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한다. 제안된 모델은 ResNet을 통해 시간에 따라 가속도 및 자이로센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한 후 LSTM을 사용하여 시계열 정보를 고려한 행동 분류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확한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하게 되며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및 수면 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응용 관점에서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미들웨어 분류 및 비교분석 (Classification and Comparing Analysis on Wireless Sensor Network Middleware based on Application area)

  • 이현조;;장재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45-248
    • /
    • 2008
  • 최근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s : WSN)는 환경 감시(environment tracking), 개인 건강 상태 감지(personal health status monitoring) 등 실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응용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WSN 미들웨어의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개발된 미들웨어들은 각기 다른 개발 목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호간의 비교가 난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SN 미들웨어를 응용 관점에서 분류하고 분석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센서 노드 미들웨어들의 개발 목표에 기반한 특성들을 살펴본다. 둘째, 각 응용 분야에 따른 미들웨어의 분류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각 미들웨어의 강점 및 약점에 대하여 분석한다.

딥러닝을 이용한 음식 이미지 분류 기술 개발 (Food Image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 이가경;임세연;양진이;유민정;김선옥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3-140
    • /
    • 2023
  • 본 연구는 20대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음식 이미지 분류 모델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AI Hub에서 546,194개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175개의 음식 클래스를 구성하였으며, ResNet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하고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 촬영한 음식 이미지에 대한 인식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모델 성능을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분석하였다.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비교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전종덕;류소연;한미아;박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3호
    • /
    • pp.182-194
    • /
    • 2013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도시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행태와 질병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도시와 농촌지역의 노인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으로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 검진조사에 참여하여 분석에 필요한 변수가 모두 확보된 3,82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의 분류는 행정지역과 동, 읍면으로 구분된 거주지역을 이용하여 '대도시', '도시', '농촌'으로 분류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여 지역에 따른 건강행태, 정신 건강 및 만성질환수준 증의 건강상태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은 농촌지역이 사회경제적 여건은 도시지역에 비해 열악하지만 노인의 건강행태나 건강상태는 도시지역에 비해 더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지역을 대도시 지역과 비교할 경우 건강행태 및 건강상태의 교차비는 독감접종 1.58(95% 신뢰구간 1.25-2.01)로 유의하게 높았고, 유연성운동 0.47(0.37-0.59), 근력운동 0.56(0.38-0.81), 비만 0.76(0.62-0.92)로 유의하게 낮았다. 질환 이환 중 관절염(0.81, 95% 신뢰구간: 0.66-0.99)과 당뇨병(0.70, 0.55-0.89)의 교차비는 농촌지역에서 대도시지역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 수준은 이들의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중재분류 (NIC)에 근거한 부인과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분석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Gynecological Nursing Unit Nurses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 홍성정;이성희;김화선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5-28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intervention performed by nurses on gynecological nursing units. Methods: The instrument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fifth edi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2008). Data was collected by Electronic Medical record from August, 2010 to October, 2010 at one hospital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ies in the Microsoft Excel 2010 program. Results: Of a total of 82 NIC, domain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showed higher percentages for physiological: basic (36.3%) and physiological: complex (34.5%). The classes of nursing interventions showed higher percentage for health system medication (12.1%), perioperative care (10.0%), and drug management (8.6%). The most frequently used top interventions were Discharge Planning. The thirty least used interventions was environmental management. Top thirty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s belonged to the domain of physiological: basic (37.9%), physiological: complex (31.1%), and behavioral (5.4%). Conclusion: These findings will help in the establishment of a standardized language for gynecological nursing units and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응급실 중증도 분류 간호사의 업무 경험: 질적 연구 (Triage Nurses' Work Experiences in Emergency Department: A Qualitative Research)

  • 박유진;공은희;박영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6-18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work experiences of triage nurses working at emergency departments in Korea. Methods: A qualitative descrip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wenty-one nurses of emergency department participated in the first interview and 1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seco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ield not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orty-eight codes, 12 categories, and six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analysis: caring on the frontline, burden as an initial evaluator, handling things alone, lack of others' understanding, becoming an expert, and needs for improvement. Participating triage nurses faced many challenges and difficult situations in emergency departments. They felt burden and loneliness as initial evaluator. Also, they felt pride in their work and struggled to become a professional.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that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riage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in Korea. The results provide description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working experiences of triage nurses. The results provide valuable fundamental data for regulatio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research for triage nurses in Korean emergency departments.

중증도 분류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중증도 분류역량 (Emergency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riage Competency)

  • 박재형;배선형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4-13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riage competency in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ER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in August and September 2021, involved 118 ER nurses from three hospitals in the Gyeonggi-do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5.0. Results: The mean score of triage competency among ER nurses was 87.63±15.65. In the regression model, age, ER experience, triage exper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predicted 52% of the triage competency. Bo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noted to be significant (β=.32, p<.001; β=.3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ER nurses were identified as major factors in triage competency. To improve ER nurses' triage competency and enha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 systematic and ongo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