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도시

Search Result 79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 및 지원 방향

  • Song, Ye-Ri-A;Nam, Eun-U;Mun, Ji-Yeong;Choe, E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6-86
    • /
    • 2009
  • 목적 : 국내외 건강도시 네트워크 관련 조직의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서 대한민국 건강도시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국내 건강도시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방법 : 국내외 관련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38개 건강도시 담당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 및 담당자 면접조사를 실시함. 조사 결과는 SWOT 분석에 의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결과 : 국내 건강도시 응답률은 82.4%였음. 국내 건강도시는 사업 담당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고,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76.3%가 작성하였음. 건강도시의 규모는 중소도시(시) 31%, 농어촌(군) 22%, 대도시(구) 47%로 조사됨. 건강도시사업 담당부서는 71%가 보건소이었으며, 건강도시업무 전담인력 보유 도시는 19%였음. 건강증진기금을 재원으로 활용하는 도시는 34%에 불과하였음. 국외 현황으로는 브라질에서는 건강도시 관련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국가별로 추진 방법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음. 결론 : 우리나라는 2007년도부터 건강도시협의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2008년도부터 교육훈련 비용 및 전담인력을 지원하고 있었음. 그러나 사업을 추진 중인 자체단체는 아직 예산의 부족과 전담인력의 부족, 그리고,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사업 추진으로 인하여 본 청사와의 갈등 등이 있었음. 향후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침서 개발, 정부의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PDF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

  • Nam, Eun-Woo;Song, Ye-Ri-A;Park, Myeong-Bae;Mun, Ji-Yeong;Kim, Geon-Yeop;Park, Jae-Seong;Go, Kwang-Uk;Lee, Mu-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120
    • /
    • 2006
  • 연구 배경: 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도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건강도시 사업 계획을 위해서는 도시의 건강 수준 측정이 필요하다. 이때에, 도시 전반의 현실적 상태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가 도시건강의 개념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활용한 건강도시 인증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건강도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시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연구 목적: 의료 건강생활실천 안전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 등 각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건강도시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건강도시 평가 및 인증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내용 및 범위: 국내 건강도시 사업 추진에 대한 현황 파악과 보건복지부에서 고려중인 건강도시 인증 방안에 대하여 국내외 동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건강도시 인증에 필요한 지표를 개발하고, 건강도시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통한 인증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 방법: 관련 국내외 문헌 고찰 및 각종 자료를 분석한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국내 건강도시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지역사회중심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새로운 모델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강도시에서 사업을 개발 추진시 필요한 목표관리적인(Management by Objective) 건강도시사업에 대한 방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건강도시 인증사업의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통+섬기는 마음 - 세계 속 건강 - 세계 속의 건강도시에서 우리가 나갈 길을 찾다!

  • Kim, Won-Hak
    • 건강소식
    • /
    • v.34 no.12
    • /
    • pp.42-43
    • /
    • 2010
  • 행복한 삶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건강도시를 표방하는 도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건강도시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름 뿐인 건강도시가 아닌 진정 시민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외국의 건강도시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건강도시가 나아갈 길을 찾아본다.

  • PDF

대한민국 건강도시의 유형 및 사업분석 - AFHC 가입 지자체를 중심으로 -

  • O, Yu-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85
    • /
    • 2009
  • 건강도시는 1986년 초기부터 그 개념이 국내 학계에 소개되어 왔으나 1996년이 되어서 시범사업이 국내 최초로 시도 되었고, 현재는 여러 자치단체서 건강도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거나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도시를 수행하고 있는 국내 지자체가 급증하고 추이인 반면, 건강도시의 공통적인 기준이나 지자체의 역할이 모호하여, 사업 추진시 어려움이 드러나고 있다. 중앙정부나 광역시 차원에서도 지자체를 지원하기 위안 방안 마련을 위해 현재 대한민국 건강도시의 현황과 이에 대한 적합한 지원방안이 절실한 상태이나 현재 건강도시에 대한 현황이 종합적으로 검토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건강도시를 재원과 사업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정립하고, 유럽의 건강도시와 비교하여 현재 수행하고 있는 사업 분석을 통하여 건강도시 사업 추진을 지원하고 지속가능한 건강도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y City Project in Korea (국내 건강도시 프로젝트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도시 관련 특성 조사)

  • Jung, Gil-Ho;Kim, Keon-Yeop;Na, Bak-Ju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4 no.2
    • /
    • pp.155-167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y city project related characteristics to members of the Korea Healthy Cities Partnership(KHCP). Methods: This study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healthy city, characteristics of healthy city(political support, collaboration & citizen participation, healthy city project, infrastructure development, capacity building), self-evaluation of healthy city and etc by self-questionnaires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7, which were distributed to government workers who were in charged in health city project of 23 membership cities of KHCP. Results: The number of urban city was 11(47.8%) and that of rural municipality was 12(52.5%). Public health center was almost in charge of healthy city project(73.9%).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y city, healthy city municipal budget(91.3%), city health profile(91.3%), technical support of cooperative university(82.6%), healthy city regulation(78.3%), citizen participation(78.3%), committee(73.9%), setting approach(69.9%) and healthy city network(69.6%) were good. But intersectoral collaboration(34.8%), long-term healthy city plan(39.1%), administrative policy or campaign promise(43.5%), programs to the vulnerable population(47.8%), department in charge(47.8%) and seminar(47.8%) were not good. Especially, characteristics of healthy city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department in char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tersectoral collaboration, citizen participation, setting approach and healthy city network. Conclusions: In spite of rapid expansion in healthy cities, there were great difficulty in political support, collaboration, department in charge and programs of health equity. So we need to go a long way to achieve the vision of healthy cites by its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 Method and The Current Situations in South Korea's Health Cities Based on Health-friendly Models (건강친화성(健康親和性) 모델에 기초(基礎)한 우리나라 건강도시(健康都市) 현황(現況) 및 발전방안(發展方案) 개발(開發))

  • Jeong, Gil-Hoo;Na, Baeg-Ju;Lee, Moo-Sik;Kim, Keon-Yeop;Jeong, Gye-Rim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39-342
    • /
    • 2009
  • 본 연구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회원도시 23개 자치단체 건강도시 추진 담당자에게 건강도시 추진현황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07년 2월부터 2007년 12월 까지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회원 도시 담당자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건강도시 사업 일반현황, 건강도시 사업 기본현황, 건강도시 발전방향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 하였으며 모든 처리 방법은 SPSS 12.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지자체 일반현황은 23개자치단체중 도시형(47.8%), 농촌형(52.2%)이며, 가입년도별로는2004년(17.4%), 2005년(30.4%), 2006년(26.1%), 2007년(26.1%)로 나타났다. 2. 건강도시 사업추진현황을 보면, 장기계획수립(43.4%), 생활터접근(69.5%), 민정보제공(78.2%), 협력대학(82.6%), 부서협력잘됨(34.7%), 네트워크적극참여(34.7%), 세미나실시(47.8%)로 나타났다. 3. 건강도시 발전방향 으로는 추진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사업개발(39.0%), 우선순위로는 부서협력(30.4%), 핵심인물단체장(82.6%), 발전가능성지속발전(65.2%), 발전기여(86.9%), 시행주체국가주도(52.1%)로 나타났다. 4. 도시형태별 건강친화성 평가점수는 69점이하 도시형(8.60%), 70~79점농촌형(21.7%), 80~89점 도시형(26.0%), 농촌형(17.3%), 90정이상 도시형(13.0%), 농촌형(13.0%)로 나타났다. 5. 조직구성여부별 건강도시 기본현황 추진실태를 살펴보면, 조례제정여부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 운영위원회 구성 조직구성(100%), 미 구성(54.5%), 프로파일작성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 예산확보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이 건강도시 사업추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건강도시 사업추진 시에는 건강도시를 추진하는 담당부서 구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건강도시 사업추진은 먼저 시작한 도시가 건강친화성 평가 점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건강도시 사업은 일시적인 사업이 아닌 끊임없이 노력하는 도시가 되어야 하며, 건강도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주도하에 실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ase Study of Kobe City for Modeling of Healthy City (건강도시 모델 개발을 위한 고베시 사례 연구)

  • Lee, Ja-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2
    • /
    • pp.188-2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 good sample for a healthy city to adapt its strategy. People has interested in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ir health in the region with a step-up in income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They has realized that urban environ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ir quality of life, concentrated on development of clean city and healthy city from the point of urban planning. The movement of healthy city has been spread out from Europe on 1986, and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been supporting the practical work to improve upon the physical or social condition on each regional level. The policy of healthy city has promoted centering around each local government which is made up of networking with others globally to interchange informations. This study reviewed a successful case of Kobe city in detail and will provide further useful insights into planners in building appropriate policies.

  • PDF

A Study on The Smart Healthy City - Focus on Hierarchical Analysis of Urba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스마트 건강도시에 관한 연구 - 도시 특성과 개인 특성의 위계 분석을 중심으로 -)

  • Seo, Jong G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3
    • /
    • pp.512-52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i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level of individual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health level in 2016 for local governments in Korea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Results: It was found that urban characteristics, along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level of individuals. Although the degree of influence is very large, some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more detailed research is needed for future urban policy. Conclusion: Although urban characteristics affect an individual's health level,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variables of individual urban policies.

Evaluation of Healthy City Project Using SPIRIT Checklist: Wonju City Case (SPIRIT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건강도시평가: 원주시 사례)

  • Nam, Eun-Woo;Moon, Ji-Young;Lee, Albert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27 no.5
    • /
    • pp.15-25
    • /
    • 2010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onju Healthy City project and identify its problems, and seeking a way for its improvement based on the Healthy City project philosophy and strategies. Methods: We used the SPIRIT Checklist that was a process evaluation tool and developed by Alliance for Healthy Cities for the study. We analyzed 39 related materials and gathered opinions on the evaluation result with Healthy City Team staffs, related department staffs and the advisory committee. Finally, a joint meeting with AFHC SPIRIT evaluation expert verifi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sults: The evaluation of Wonju Healthy City project confirmed that Wonju city is equipped with the resources, such as mid-term plan, infrastructure, cooperative organizations, and the Healthy City network to enable the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Healthy City project based on strong political commitment. However, the necessity of additional complementary processe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further improvements to assist health promotion strategies was evident.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Wonju Healthy City project that activ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based on the political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public health center and Healthy City project departments in city hall.

Establishment of Health City Development Plan Using BSC Technique -The Case of 'N'-Gun Health Center- (BSC기법을 이용한 건강도시 발전계획수립 -N군 보건소를 중심으로-)

  • Kang, Sung-Hong;Kim, Won-Jo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8
    • /
    • pp.2917-2925
    • /
    • 2010
  • Although it is Gun area, 'N'-Gun in Gyeongsangnam-Do has continually been implementing the 'health city' project after it entered the program in 2005 to promote healthy lives of its residents. It is evaluated that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however, as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N'-Gun are rapidly changing, needs for new advanced 'health city' projects with improved qualities are gro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advanced model of 'health city' pla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N'-Gun in Gyeongsangnam-Do. For this purpose, international as well as national health-city-related literature and data were broadly gathered and reviewed, and, based on this, we established 'N'-Gun Health City development plan, utilizing BSC(Balanced Scorecard) technique. Main contribu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would be the suggestion of the model whereby the problems that many existing health city plans are facing can be systematically evaluated, and more effective methods of developing the plan can be applied based on the evaluation. Also, it is especially expected that the BSC technique would be a very useful framework for developing health city plan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