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관리 프로그램

Search Result 1,18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건강을 지키는 현장-한국체력과학노화연구소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0 no.1 s.206
    • /
    • pp.14-17
    • /
    • 1996
  • 보다 건강하게, 그리고 기왕이면 젊음을 좀 더 오래 유지하면서 살기를 원한다면, 무엇보다도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는 일이 우선되어져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건강생활은 어떻게 하는 것인지 기본적인 상식은 갖고 있지만 구체적인 방법, 특히 연령 · 계층별로 어떤 방법으로 생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진 서울의대 체력과학노화연구소는 바로 이러한 연령계층별 건강교육용 프로그램, 특히 장 노년층 대상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일선 건강관리요원, 보건관련 연구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해 온 곳이다. 내년부터는 일반인을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할 계획도 갖고 있는 연구소의 활동은 아직 일반인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보다 젊고 건강하게, 보다 긍정적인 삶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해양치유자원을 활용한 주민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 Yun, Seok-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26
    • /
    • 2018
  • 해양지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원인 해조류, 해양기후, 해수 등을 활용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해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상 질환을 대사증후군으로 선정하였으며, 신체활동 및 스트레스 관리와 영양 관리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해양치유자원과 결합하여 개발하고자 한다.

  • PDF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The Effect of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 on Health Care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어머니 건강교육프로그램이 자녀 건강관리행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Kim,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6
    • /
    • pp.338-34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ealth education program to help mother's cope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s health,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ontents of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a discussion with experts and previous studies. The program consisted of two parts,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health, which were measured over 4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helped mothers improve the level of health care and reduce parenting stress lev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for handicapped children's healt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해기사 정신건강 통합관리시스템개발 및 원격 심리지원에 관한 연구

  • Yang, Won-Jae;Ryu, Chang-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62-264
    • /
    • 2015
  • 해기사 정신건강 통합관리시스템개발 및 원격 심리지원에 관한 연구로써, 해기사에 특화된 양방향 웹기반 정신건강 관리기반을 제공하고, 정신건강 관리 및 판별프로그램, 원격심리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인간과실 해양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