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관리자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between Psychiatric Ward Nurse and General ward Nurse (정신과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행동건강간호역량에 관한 비교 연구)

  • Han, Jeong-Won;Lee, Hanna;Woo, Hee-Y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188-195
    • /
    • 2016
  • This study i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that utilized the Korean version of the BHCC (Behavior Health Ca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BHCC level between nurses stationed in psychiatric and general ward departm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6 hospitals that have at least 300 beds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re were a total of 190 nurses, consisting of 90 nurses from the psychiatric ward department and 100 nurses from the general ward department. The comparison demonstrated that nurses from psychiatric ward department showed a higher BHCC compared to general department nurses in most items. In the case of psychiatric ward nurses, compared to general ward nurses, the assessment was 5.29 times higher, the intervention was 6.06 times higher and the proper use of resources was 2.63 times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recommendation had no influence. Accordingly, education and training for general ward nurses should be improved and hospital administrators should pay more attention in conducting the BHCC education for the general ward nurses and on fostering education experts to develop related programs.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Fac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경북 지역 보육 시설 급식소의 위생 관리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조사)

  • Jung, Hyeon-A;Kim, An-Na;Joo, Na-Mi;Paik, Jae-Eun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21 no.3
    • /
    • pp.385-39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fac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The survey involved 248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food hygiene and safety education for childcare center managers in Gyeongbuk province from June to July 2010. A total of 236 survey pap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SPSS program. By the method,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Among the respondents, facility managers are 40s (41.9%) which accounted the most percentage, and for the type of facility, the largest amount was home (39.9%).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who are under 20 people accounted for 45.3% and food service staffs were accounted for 36.7%.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four items on the IPA, except for the topics "the immediate deal with trash and leftover food" and "minimizing time (within 2 hours) for distribution after cooking" (p<0.001). The average score on the IPA was 4.14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for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was 4.49 points out of 5. Finally, childcare facility manag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that is lower than can be done.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to administrators to manage the health care facility effectively.

PATERNAL INFANT BONDING : A CRITICAL REVIEW (부아(父兒)애착 : 문헌고찰 및 비평)

  • Kim, Hea-Sook
    • 모자간호학회지
    • /
    • v.2 no.1
    • /
    • pp.34-44
    • /
    • 1992
  • 지난 10년 동안 구미에서는 부모-아동 관계 영역에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부모-아동 애착이론의 획기적인 변화로 가족 중심 출산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편이 아내의 출산에 참여하던 것이 타부시되어 왔지만 애착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남편도 출산에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하여 임신에서부터 부부가 함께 이 과업을 완수하도록 모든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애착이론은 다양하여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과 동물 행동학적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개념들을 가지고 아버지-아동의 애착 및 유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여년 이상 되어오고 있다. 가장 관심의 촛점이 되어 연구 되어온 것으로는 애착형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는 민감한 시기(Critical period)를 중심으로 애착의 특성인 시각, 청각, 촉각, 상호호혜적 관계, 긍정적 애정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는 부아 애착(Paternal Infant Attachment)의 연구를 연구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상문제와 변수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17편의 연구들을 각각 년도, 표본수, 방법 및 측정, 결과 및 비고난을 비교 분석하여 도표를 작성하였다. 이론적 기틀과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적용과 제언을 한다. 1. 출산전 아버지의 특성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2. 연구자가 집단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구전에 표본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해야 한다. 3. 부모와 아버지의 과거력에 대한 상세한 정보수집이 강조되어야 한다. 4.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대중교육 뿐 아니라 정책 결정에 기여해야 한다. 5. 연구결과 평가와 해석을 위해 정확한 이론적 근거가 필요로 된다. 6. 간호연구는 부적절한 부아 애착 형성에 있어서 아버지의 특성을 확인하고 부아유대와 애착 증진의 요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

  • PDF

A Study of Current Status and Activities of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Rural Areas in Korea (한국의 농촌지역에서의 보건진료원 현황 및 활동분석연구)

  • Kim, Jin-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2
    • /
    • pp.343-352
    • /
    • 2000
  • 한국의 농촌 보건의료 문제를 해결 하기위하여 일차보건의료가 도입되었으며 일차보건의료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보건진료원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목적은 보건진료원의 일반현황과 보건진료원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활동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있다. 분석방법은 사회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조사는 1998년 7월과 11월기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보건진료원 전원에게 송부하여 스스로 작성하게 하였다. 1880명의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1663명의 응답자가 작성한 설문지가 최종분석되었으므로 분석율은 88.5%였다. 분석결과 보건진료원의 일반현황으로 광역사의 보건진료원 평균 연령은 39.7세이며 시지역 보건진료원의 연령이 군지역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총근무기간도 시지역의 보건진료원의 12.4년-13.6년으로 농촌지역보다 걸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건진료원의 평균 관할 인구수는 901명이었다. 보건진료소 관할지역의 노인인구 및 만성질환자의 분포가 매우 높았다. 보건진료소로부터 민간의료기관이 위치한 거리는 시지역 (7.1-11.3km) 보다 농촌지역이 12.1km로서 지리적 접근성이 시지역보다 낫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건수분석결과 월평균 가정방문수는 평균 47.8건, 일평균 내소자수는 14.1건 및 일평균 전화상담은 5.2건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활동수준은 40세이상이 4세 이하보다 월평균 가정방문수와 일평균 내소자수가 많았으며 통계적요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력이 많을수록 일평균가정 방문수 및 전화상담 건수가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무조건에 대한 만족도는 80%정도로 높았다. 연구결과 보건진료원의 활동지역내 노인인구 및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높고 민간의료기관의 지리적 접근성도 낮고, 관할인구규모가 적어서 인구규모를 늘리고 노인 및 만성질환자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며 농촌지역주민의 건강관리자로서 보건진료원의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PDF

Case Managers' perceptions on Strength Case Management experiences for poor families with the infants and early children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 : 영유아 빈곤가정을 대상으로)

  • Min, So-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3 no.1
    • /
    • pp.275-304
    • /
    • 2012
  • This study explores the case manager's experiences in terms of how they were challenged by the difficulties of the case management process, overcame them, and obtained the positive outcomes.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used, employing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0 case manag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case manag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trength among clients and communities. Case managers commented that they tried to actualized the principles of Strength Case Management, thereby facing the changes and growths among clients and communitie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effective settlement of Strength Case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Living in Supported Housing (독립주거 거주 중증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Sung-e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6
    • /
    • pp.281-29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housing, program, and servic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living in supported housing. A cross sectional survey of a random sample of 237 clients residing in supported housing in Philadelphia was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structured interviews, administrative data, the 2000 U.S. Census data file and the Philadelphia police crime databa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personal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at a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Clients with diagnoses of schizophrenia, those with lower levels of psychiatric symptoms, those with higher levels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those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supportiveness with staff had higher levels of quality of lif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lient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staff relationships can be important variables for understanding quality of life among supported housing residents.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identified in this study may help service providers design and plan services to promote quality of life and stable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of supported housing residents.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for Ship Officers' Job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해기사 직무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 Yang, Dong-Bok;Kim, Joo-Sung;Kim, Deug-B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2
    • /
    • pp.266-274
    • /
    • 2021
  • Ship officers are subject to excessive job stress, which has negati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acts and may adversely affect the smooth supply and demand of human resources. In this study, a mobile web application was developed as a tool for systematic job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officers and verified through quality evaluation. Requirem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ship officers and staff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of shipping companies, and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configuration step. The application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waterfall model, which is a traditional software development method, and functions were implemented using JSP and Spring Framework.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user interface, confirmed that proper input and output results were implemented, and the respondent results and the database were configured in the administrator interface. The results of evaluation questionnaires for quality evaluation of the interface based on ISO/IEC 9126-2 metric were significant 4.60 for the user interface and 4.65 for the administrator interface in a 5-point scal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ata analysis system through utilization of the collected big-data sets.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여성과 어린이 건강문제와 증진방안)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7b
    • /
    • pp.3-17
    • /
    • 2002
  • 국민건강은 국가발전의 기본조건이다. 국민건강은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에서 비롯되고,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을 위하여 여성이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여성과 어린이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모자보건사업은 국가보건사업 중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60대부터 보건소를 통하여 가족계획, 산전관리, 안전분만유도, 예방접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국민의료보험의 실현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산전관리 수진율과 시설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였고, 가족계획실천율도 1991년에 79.4%까지 증가하여 합계출산율이 1.6으로 감소하였고, 어린이 기본예방접종률도 90%이상이 되어 전염병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사업 관련 지표들이 이렇게 향상되자 일선 보건요원에서부터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권자에 이러기까지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중앙부처의 모자보건업무 담당 부서도 축소되고, 모자보건 사업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와 여성의 건강실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각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시설 분만율의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분만율이 40%대까지 급증하였고, 모유수유률은 10%대로 떨어졌다. 어린이의 체격은 커지고 있으나 체력은 떨어지고, 비만한 어린이가 급증하여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유병률이 어린이들에게 증가하고,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과 장애가 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율과 음주률이 증가하고, 성적 성숙이 빨라지고 사회의 개방풍조로 성(性)활동 연령이 낮아지고 성활동이 증가하여 혼전임신과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은 일찍 단산하고, 폐경 연령은 높아지고, 평균수명은 길어져 중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가 길어져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될 기회가 늘어났다. 이러한 시기의 중요 건강문제들은 뇌혈관질환, 폐암, 유방암, 골다공증, 뇨실금 등과 같이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렇게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건강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정책이 없었고, 따라서 새로운 모자보건사업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선 보건요원의 훈련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보건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보건정보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에 소수의 학자들이 어린이와 여성건강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모자보건사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보건복지부가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23개 보건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여성과 어린이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시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전국의 45개 보건소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에서는 임산부가 대상이었던 기존의 모자보건사업과는 달리 신생아, 영유아, 학동기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신혼부부에서부터 장년기 여성에 이르기까지 사업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건소는 지역내 대학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적 지원을 받고, 보건요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고, 보건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구입하였고, 민간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보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모자보건 선도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취약계층 중심의 보건교육, 상담 및 지도, 고위험대상자 조기발견 및 민간기관 의뢰 및 주구관리,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의뢰, 지역 보건통계 생산과 관리, 그리고 지역내 가용자원 안내 등이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 의뢰 또는 검진비용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민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치료, 사후관리를 포함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위험 및 건강의심 대상, 임부와 장년기 여성에 대해서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과감히 민간기관에 의뢰, 위탁하친 보건소는 상담자,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업관리자의 양적 평가에 대한 고정관념과 질적 평가에 대한 인식부족, 기본 생정통계와 정보체계의 미비로 인한 부정확한 통계생산, 사업요원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그리고 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효율적인 사업확산과 조기 정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보건정보체계확립, 그리고 공공보건기관과 민간의료기관간의 공식적인 협력체계확립이 필요하다.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평가, 조정을 위하여 중앙에 '모자보건 선도사업 기술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 운영이 잘되는 보건소를 특성화 보건소로 지원 육성하고, 사업요원의 업무 적정화를 위한 보건소 조직과 기존 보건사업체계의 평가와 재편이 필요하다. 보건사업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과 보건통계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모자보건사업관련 보건교육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는 중앙 보건교육자료 및 정보센터가 필요하다.

  • PDF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s of the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Building Family Strength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중심으로-)

  • Lee Soo-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7 no.1 s.35
    • /
    • pp.113-129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a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building family strength, (2) to apply its program &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classrooms on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nior high schools, (3) to provide self-direc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enior high schools' teachers and 11th-12th grade stud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 (1) The area of family life education in the 7th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2) The students' abilities needed to acquire skills for family life were analyzed. (3) A framework for life-span family life education developed by NCFR and Adult Roles and Responsibilities Resource Guide in Utah, U.S. were reviewed and analyzed. Five units of the family life education such as 1)acquiring abilities for self management. 2)acquiring abilities for communicating, ?building family strength, acquiring abilities for crisis management, ?preparing the wise parent's roles was reconstructed. (4)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family life educatio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cluding lesson plans, work sheets, materials for teacher. hand outs, ppt materials. cartoons, pictures etc. were developed. (5)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applied in the senior high school's classes and were revised. Additionally. a CD-rom title was made.

  • PDF

Nutritional Risk,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Low-Income Elderly Women (저소득층 전기여성노인과 후기여성노인의 영양위험, 지각된 건강상태와 우울)

  • Lee, Myung-Su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7 no.1
    • /
    • pp.12-22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nutritional risk,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levels of young-old (65-74 years) and old-old (75-84 years) women on low-income. Methods: A total of 624 elderly women, each over 65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under the auspices of a community social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11 by means of personal interviews which employed questionnaires.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nutritional risk measuring Mini Nutritional Assesment (MNA) by Kim (2000), perceived health status developed by Lawton et al. (1982), Elderly Depression Criterion developed by Sheikh & Yesavage (198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Nutritional risk,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ung-old and old-ol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risk and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risk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 38.2% variance in depression levels of young-old and a 29.7% variance in depression levels of old-old were explained by perceived health status, nutritional risk and the number of people living together. Conclu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variances in depression levels among low - income women differing in age. As a result, the outcomes of this study ought to be employed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grams aimed at promoting the health of elderly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