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주지유추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타임라인데이터를 이용한 트위터 사용자의 거주 지역 유추방법 (Location Inference of Twitter Users using Timeline Data)

  • 강애띠;강영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69-81
    • /
    • 2015
  • SNS사용자의 거주 지역을 유추하여 그들이 생성한 데이터에 거주위치를 부여하는 것은 위치희박(location sparsity)과 생태학적 오류문제로 인해 연구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온 공간빅데이터 연구에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weet 사용자의 거주 지역을 유추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타임라인데이터 속에서 찾아낸 일상생활활동패턴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트윗 사용자의 일상생활활동패턴은 이동궤적과 사용자의 언어(text)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자를 활용한 모델을 일상이동패턴모델, 후자를 활용한 모델을 일상 활동장 모델이라 명명하고 각각 모델에 입력될 변수를 선정하였다. 자신의 거주 지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의 트윗 발생 여부와 가장 높은 빈도의 거주행정구역 표현 단어를 사용하는지 아닌지를 종속변수로 한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을 작성하였으며 설명력은 일상 이동패턴모델, 일상 활동장 모델 각각 67.5%, 57.5%였다. 이 모델을 스트레스 관련 트윗을 작성한 사용자의 타임라인데이터로 구성된 테스트데이터에 입력해본 결과 전체 사용자 48,235명 중 5,301명의 거주 지역을 유추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위치 부여된 스트레스 관련 트윗 9,606개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유추기법을 통해 기존 SNS데이터 분석연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수집 방법보다 44배 많은 위치 부여 트윗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방법론은 SNS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에서 위치 부여된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각종 지역통계와 상관관계파악을 통해 지역적 현상 분석에도 SNS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 향토음식의 메뉴 품질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Degree for Menu Quality of the Regional Cuisine in Gangwon Province)

  • 이형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13
    • /
    • 2010
  • 본 논문은 강원도 향토음식의 메뉴 품질 만족도에 대하여 요인 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검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직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의 경우, t-검정 결과는 거주지, 학력, 수입 변수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성별, 지역, 직업별로 만족도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 횟수, 관광 수준별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직접 서비스 만족도를 높게 평가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춘천과 속초 지역이 강릉 지역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의 경우는 성별, 지역 및 직업 특성 변인에 대해서는 유의수준 1%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인 반면, 다른 특성 변인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 직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평균 만족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 서비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유추할 수 있다고 하겠다.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지역별로는 직접 서비스 만족도의 경우와 같이 춘천, 속초가 강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PDF

고대 토양의 과학적 분석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the Scientific Analysis of Ancient Soil)

  • 서민석;김민희;정용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309-326
    • /
    • 2004
  • 유적지의 발굴 현장에서 고대인의 삶과 동일시대에 존재했던 토양을 이용하여 유기 화학적 방법을 통한 잔존 지방산 분석과 현미경 관찰로 기생충 충란과 화분의 분석, 그리고 고대 미생물의 유전자 분석을 수행 할 수 있다. 지방산 분석은 인간과 동물의 부산물을 규명할 수 있어 고대 화장실 문화의 복원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유기 화학적으로 TLC와 GC-MS 방법을 이용하여 고대 식생활과 영양원을 확인 할 수 있다. 고대 토양의 현미경 관찰로는 기생충의 충란과 화분을 확인 할 수 있는데, 기생충의 확인을 통해 과거 인류의 질병을 유추 할 수 있으며, 화분은 고대 인류 거주지 주변의 환경을 간접적으로 확인 및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유적지 토양에 존재하는 고대 생명체의 유전적 다양성과 변화 양상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멸종된 생명체의 유전자 보존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유기화학, 토양학, 미생물학, 분자 생물학, 유전학과 같은 자연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고고학적 발굴지의 토양을 분석한다면 기존에 해석하기 힘들었거나 간과하였던 부분을 재해석과 이해를 돕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생물 종 다양성과 고대 인류의 기원과 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