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주성능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vibration Control System of Ship Superstructure wit Dynamic Characteristics (가변 동 특성을 갖는 선박 거주구의 진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엄재광;조대승;한성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963-972
    • /
    • 2002
  • 선박 거주구는 승무원 및 여객들이 상주하는 곳으로서 대형 상선의 경우 주선체 상부에 건물형태의 높은 구조이므로, 선박의 불균형력과 프로펠러 기진력으로 인해 주 선체와 연성되어 진동이 발생한다. 대형상선의 거주구는 육상구조물과는 달리 주선체와 마찬가지로 강성은 일정하나 화물적재량의 변화에 따라 선박 거주구의 유효질량이 변화함으로 가변적인 진동특성을 갖는 구조물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변 동특성을 갖는 대형상선의 거주구 진동을 수동형 및 능동형 흡진장치를 통하여 제어할 경우 거주구의 고유진동수 변화에 따른 제어성능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으면서도 제어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난 강건제어 시스템의 설계 가능성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적용대상은 진동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컨테이너 운반선과 초대형 원유운반선의 거주구 진동특성을 3차원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검토하고,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거주구 형태의 구조물의 질량변화에 대한 동조형 흡진기의 제어성능을 시험과 선형이차 진동제어 장치의 진동제어성능 실험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For Livability Management System (거주 성능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평가 사례 연구)

  • Ko, Se-Kwang;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9-131
    • /
    • 2008
  • 본 논문은 거주 성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원시 인계동 반경 1km지역에 대한 거주 성능 평가 적용 사례이다. 수치지도가 가지고 있는 기본 데이터를 EasyMap을 이용하여 1차, 2차의 단계로 가공한 후 Geomania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는 거주 성능 관리 시스템을 통해 분석/평가 자료로 사용된다.

  • PDF

Habitability Evaluation of Two-way Void Slab for Vertical Vibration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연직진동에 관한 거주 성능 평가)

  • Jo, Seong-Woo;Choi, Sun-Young;Choi, Jong-Moon;Kim, Sang-M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58-461
    • /
    • 2011
  • 이방향 중공슬래브 시스템의 구조특성 및 성능평가 연구의 일부로 실제 건축물에 적용된 이방향 중공슬래브의 연직진동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캡슐형 경량체를 사용한 이방향 중공슬래브가 적용된 두 건축물에서 바닥 용도상 일상적인 진동발생원이라고 가정할 수 있는 75 kg 성인의 보행, 달리기, 제자리 점프에 대해 슬래브의 연직진동을 측정하였다. 두 대상 건축물은 각각 연구소와 교육시설 용도로 설계 및 건축되었다. 측정된 수직 가속도 데이터로 일본건축학회 환경기준에 (AIJES-2004) 근거하여 진동수 범위 3~30 Hz에 대해 1/3 옥타브 밴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AIJEES-2004에 제시한 기준에 따라 바닥의 연직진동에 대한 거주 성능을 평가한 결과, 측정한 세 건축물에 적용된 이방향 중공슬래브 모두 보행과 달리기에 대해서는 피진동자의 10% 미만이 인지, 제자리 점프에 대해서는 50~70% 미만이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방향 중공슬래브가 바닥의 연직 진동에 대해 거주 성능이 양호함을 보여주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based Evaluation Application for the Residential Performance of Hanok (한옥의 거주성능 평가를 위한 모바일 기반 어플리케이션 설계와 구현)

  • Mi-Hyang Lee;Seung-Hoon Ha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2
    • /
    • pp.109-12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mobile application to evaluate the residential performance of Hanoks anytime and anyplace free of time and space constraints made possible by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o effec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anoks, the mobile application includes architectural information and help functions to ease the usability by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be intuitively understoo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field photos through empirical cases in line with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s. To test the functiona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 a field evaluation was conducted at the Set-yi-seo Literature Center in Eunpyeong Hanok Vill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using smart phone based applications for evaluating buildings such as Hanoks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a model for developing future user-friendly performance evaluation applications for public Hanok research and development.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sidential Performance for Deteriorated Multi-family Housing (노후공동주택의 거주성능 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 Hyun Taek-Soo;Lee By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7 no.2
    • /
    • pp.77-85
    • /
    • 2006
  •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multi-family housing.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for the reproduction have evaluated by the safety of structure. Therefore those pass over the functional factors which is important for the evaluation of residential qualities. This study represents that the reproduction renovation should not be secured the safety of structure but established the quality of lift. And questionnaire asking expert's opinion also supplemented. As a result, the item for examination and the weight for evaluation are suggested in functional deteri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xistent redevelopment criteria are not appropriate to decide the environmental comfort, the vital function of housing and the residential management finance. 2. The future criteria have to evaluate the existing environmental comfort, be reconstructed to put first general deterioration. 3. Evaluation elements was extracted throughout the document research, evaluation elements analysis system was separated in residential area, suburb of dwellings, community, and housing complexity environmental assesment, 4. Each category of influence ratio was extracted to assess total deterioration throughout the expert question survey. 5. Each category analysed (1) $0{\sim}30%$: function is good (unnecessary to improve) (2) $31{\sim}40%$: average (necessary of partial improvement) (3) $41{\sim}59%$: bad (necessary of total improvement) (4) $60{\sim}100%$: the worst (unable to improve throughout the repair)

The Relative Weights of Environmental Constituents According to Experts' Characteristics (전문가 특성별 거주성능 요소의 상대적 가중치 분석)

  • Kang, In-Ho;Lee, Seung-Mi;Park, In-Seok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09.04a
    • /
    • pp.288-293
    • /
    • 2009
  •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per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ed at estimating the relative weights of the constituents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rough experts' evaluation. The respondent group was composed of 72 experts in the fields of architectural design, housing design, urban design, and urban plann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relative weights of residential constituents were different between detailed fields ; 2) the relative weights of residential constituent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institute in which experts are engaged ; and 3)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stimation results of the relative weights, the relation between residential performance constituents and physical design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 PDF

Evaluation of Judging Structural Performance Based Design in Steel Structure (강구조 건축물의 성능기반설계를 위한 성능규정치의 평가)

  • Oh, Sang-Hoon;Oh, Young-Suk;Hong, Soon-J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57-5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규모, 용도 및 형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되는 성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능설계에 대한 개념을 검증하고, 강구조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한 성능레벨 및 성능한계에 대한 분류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강구조 건축물의 경우 강도가 높고 경량인 특성에 의해 다른 구조형식에서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거주성능 및 진동특성을 제어하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성능레벨을 설정하여 구조물이 항복하기 전의 성능레벨을 기능유지 및 무손상의 2단계로 제시하고, 이 때의 한계치를 기능한계 및 손상한계로 구분하였다. 강구조 건축물의 손상한계를 정의하기 위해 강구조 건축물의 설계 예를 이용하여 항복 층간변형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구조물의 손상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손상한계를 규정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층간변형각은 구조형식 및 설계방법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손상한계치의 층간변형각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향후 이에 대한 해석적, 실험적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운전석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지각 불편도 평가

  • 이상규;박우진;정의승;기도형;최재호;박성준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120-127
    • /
    • 1997
  • 오늘날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에 대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적절한 거주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인간공학적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특히 부적절한 거주 공간에서 비롯된 좋지 않은 운전 자세는 운전시 신체 각 부위에 과다한 피로를 유발시키고 운전 성능에도 영향 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안전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거주 공간의 설계시 출발점이 되는 것은 SgRP(Seating Reference Point)이며 이의 설정은 운전 자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운전자의 불편도 (Discomfort)를 최소로 하며 운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Driving Simulator 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취할 수 있는 Seat의 전후, 상하 위치에 따른 여러 운전 자세에서 운전자가 느끼는 불편도 및 각종 Control의 조작성등의 주관적인 Measure와 운전시의 운전성능을 나타내는 객관적 Measure를 측정, 평가하였다. Seat의 위치는 Whole Body Discomfort, Steering Wheel, Gear, Pedal의 조작성 등의 주관적 종속 변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관적 종속변수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 나지 않았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Regression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Isocomfort Surface를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 적합한 SgRP 및 Seat Track 설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the Water mist nozzle for Accommodation of Cruise ships (특수선 및 크루즈선 거주구역용 미분무수 노즐의 화재진압성능평가 - 공공장소 화재시험 -)

  • Kwark, Ji-Hyun;Kim, Yo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41-146
    • /
    • 2010
  • 특수선(FPSO, Drillship)의 거주구역이나, 대형 여객선(크루즈선) 공간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수용시설(accommodation) 즉, 객실, 라운지, 공공장소, 창고 등은 24시간 사람이 상주하는 구역임으로 화재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SOLAS II-2 Reg. 10.6과 FSS code Ch. 8에 적합한 미분무수 소화설비를 설치할 것을 강제화하고 있다. 이러한 미분무수 소화설비는 미분무수 노즐, 압력용기, 섹션밸브, 펌프유닛 등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핵심부품인 미분무수 노즐은 IMO Res. MSC 265(84)에 따라 노즐성능시험 및 화재진압성능시험을 통해 형식승인을 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기준에 만족하는 미분무수 노즐을 개발하고자 선실 및 복도에 대한 화재시험에 이어 공공장소 화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두 가지 천장 높이에 대한 화재진압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ire Evacuation Assessment Considering Occupied Environment Variation in Existing Buildings (기존 건축물의 사용승인허가 전·후 거주환경을 고려한 화재피난성능평가 연구)

  • Kim, Hak Kyung;Choi, Doo Chan;Kim, In Tae;Kim, Hee Moon;Sim, Hye 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6
    • /
    • pp.105-110
    • /
    • 2016
  • In Korea, fire hazard and risk analysis and response management planning related to existing decrepit buildings, including interior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layout revision, due to various occupancy purposes have not been researched or established. Therefore, regulations and technical standards that can manage and reduce fire hazards and risks based on fire hazard analysis and evaluation are required.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a site survey and fire evacuation assessment including performancebased analysis in 3 actual existing buildings to find the life safety issues and provide improvement recommend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