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울치료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일반 성인의 작업과 활동의 중재 형태에 대한 행위 관찰 시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의 EEG 활성도 차이 (Differences of EEG Activation in Mirror Neuron System during Action Observation for Occupation-based, Purposeful Activity, Preparatory Method in adult subjects)

  • 고효은;윤태원;정현애
    • PNF and Movement
    • /
    • 제13권1호
    • /
    • pp.17-2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Methods: T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system was compaired among 3 condition by oneway ANOVA. Result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mu suppression in all conditions. Although all conditions showed mu suppres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activated during action observation to be able to occupational therapy bu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not separately activated among the conditions.

3D 모션입력장치를 이용한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rror Therapy Using 3D Motion Input Devic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Quality of Life,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 박정원;최호석;신원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41-51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3D motion input device based mirror therapy could improv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 : Thirty six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enroll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3D leapmotion mirror therapy group, mirror therapy group, and sham therapy group. 3D leapmotion mirror therapy group performed 3D motion input device based mirror therapy, mirror therapy group performed general mirror therapy, control group performed sham therapy. All patients received a total of 15 exercise session over a 5 week period (three times per week). Fugl-Meyer Assessment-upper extremity(FMA-UE), Stroke Specific-Quality of Life(SS-QOL),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were performed prior to and five weeks after the treatment RESULT : Subjects in the 3D leapmotion mirror therapy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upper extremity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llowing training. The changes of upper extremity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3D leapmotion mirror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em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3D motion input device based mirror therapy is an intervention to improv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PNF의 간접적인 치료가 동결견 환자의 거울 닦는 동작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증례보고 (The Effect of PNF Indirect Treatment to Clean up the Mirror for Frozen Shoulder Patient: A Case Report)

  • 이병기
    • PNF and Movement
    • /
    • 제9권2호
    • /
    • pp.39-44
    • /
    • 2011
  • Purpose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NF indirect treatment for frozen shoulder patient Methods : Frozen shoulder patient was measured range of motion test of shoulder joint, visual analog scale(VAS) for pain and clean up the mirror activity at pre 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in 2 weeks. Results : The ROM, activities of shoulder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VAS point for pain after treatments. Conclusion : We found that PNF indirect treatment could improve ROM and functions of shoulder and pain for frozen shoulder patient.

거울신경세포시스템에 근간한 동작관찰-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 고효은
    • PNF and Movement
    • /
    • 제13권4호
    • /
    • pp.175-18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rror-neuron-system-based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on improvements in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daily living activiti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en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along with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the patients engaged in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through repeated imitation practices after they viewed a video.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20 minutes, three times each week for eight weeks. A Manual Function Test (MFT) was conducted to compare upper extremity functions before and afte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was used to compare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s and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were shown after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left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s and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based on the mirror neuron system improves chronic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s and their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Therefore,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positive effects on the functional recovery of chronic stroke patients.

Wii 균형 게임과 자가 거울 균형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무릎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Wii Balance Games and Mirror Self-Balancing Exercises on Knee Joint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심경섭;전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0-40
    • /
    • 2017
  • Background: Many studies have reported positive results of the various mirror training and virtual reality games in improving dynamic standing balance and posture adjustment in chronic stroke patients. However, no systematic study has been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games and the mirror balance training.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Wii balance games and Mirror Self-Balancing Exercises in improving proprioception of knee joint and standing balance of people with chronic stroke.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volunteer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Wii balance games group and a Mirror Self-Balancing Exercises group with 10 patients in each group. Each training was performed for 30 mins a day for 4 days. In addition to the balance training, 30 mins neuro-developmental-treatment based routine physical therapy was given to both groups. Proprioception was measured using two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s, and static balance was measured using a Wii balance board. Dynamic balance assessment tools included the Berg Balance Scale, Dynamic Gait Index, and Timed Up-and-Go test. Results: All measured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p<.05). Only the improvement of the affected knee proprioceptio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Wii balance game group (p<.05). However, other variabl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p>.05).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both Wii balance games and Mirror Self-Balancing Exercises may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proprioception of knee joint and the bal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전치의 후방견인에 따른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수직적 변화 (The vertical changes of the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resulting from incisor retraction)

  • 강창수;김경호;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5-196
    • /
    • 2000
  • 입술의 돌출을 해소하고자 하는 환자들은 자신의 안모 개선을 안모의 측면보다는 거울로 볼 수 있는 정면을 통하여 느끼는 것이 보편적이다. 안모의 정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때에는 입술이 후방으로 들어간 정도와 함께 입술과 그 주위 조직의 수직적 변화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교정치료 진단이나 치료 후 평가를 위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 분석 시 전통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입술의 시상적 이동뿐만 아니라 흔히 간과하기 쉬운 수직적인 변화에 관해서도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술 돌출을 주소로 내원한,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 61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전치의 후방견인 시 나타나는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수직적 변화를 계단식 다중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하순의 philtrum길이 (SnLs, LiB') 는 전치의 후방견인 후 증가하였고, 상,하순의 vermilion height (LsStms, StmiLi) 와 vermilion length (LsLi) 는 감소하였다. 2. 상,하순의 길이 (SnStms, StmiB')와 연조직의 하안면 고경 (SnMe')은 치료 후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상순의 philtrum길이 증가에 상악 전치의 정출 ${\Delta}U1V$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하순의 philtrum길이 증가에는 치료 전 overjet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4. 상,하순의 vermilion height감소에 상순의 두께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 PDF

3차원 물체의 심상회전이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Reaction Time during Mental Rota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 이정원;안시내;황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14-1121
    • /
    • 2012
  • 심상회전은 어떤 대상이나 형태를 심상으로 하나의 각도에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키는 활동으로,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할 때 환경과 자신에 대한 위치 및 움직임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정상인과 만성 편마비환자를 대상으로 반응시간(reaction time)과 정답율(precision)에 심상회전과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에서 편마비 환자를 치료할 때 심상회전능력의 변화가 과제수행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만성 편마비 환자 31명과 정상성인 2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거울상(mirror image)을 이용한 대조과제(comparison task)와 각도불일치상(angular disparity image)을 이용한 회전과제(rotation task) 등의 2 가지 유형의 심상회전과제를 수행하였다. 검사자는 대상자에게 한 쌍의 상에 대하여 동일한 상인지 아닌지를 '예'와 '아니오'로 가능한 한 빠르게 대답하라고 요구하였고, 상을 노출한 시간부터 대상자가 대답한 시간까지의 반응시간과 정답률을 측정하였다. 대조과제 및 회전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은 편마비 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느리게 나타났다. 그러나 편마비 환자와 정상인은 심상회전과제에 대한 정답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편마비 환자군과 정상군 모두에서 쌍을 이룬 상의 각이 불일치할 때 반응시간이 느리게 나타났지만, 정상군보다 편마비 환자군에서 심상회전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따라서 재활과정에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치료를 할 때, 회전각도를 이용한 난이도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정상인에 비하여 편마비 환자의 심상회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재활과정에서 치료사는 염두 해 두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가상현실환경에서 정상성인의 거울보행이 보행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it Exercise Using a Mirror on Gait for Normal Adult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Gait Characteristics Analysis)

  • 이재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3-246
    • /
    • 2022
  • Purpose :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irtual and non-virtual realities in a normal person's mirror walk on gait characteristics. Methods : Twenty male adults (Age: 27.8 ± 5.8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flection markers were attached to the subjects for motion analysis, and they walked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with mirrors by wearing goggles that showed them the virtual environments. After walking in virtual environments, the subjects walked in non-virtual environments with mirrors a certain distance away after taking a 5 min break. To prevent the order effect caused by the experiential difference of gait order, the subjec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groups of 10 and the order was differentiated. During each walk, an infrared camera was used to detect motion and the marker positions were saved in real time. Results : Comparison between the virtual and non-virtual reality mirror walks showed that the movable range of the leg joints (ankle, knee, and hip joints), body joints (sacroiliac and atlantoaxial joints), and arm joints (shoulder and wrist joints) significantly differed. Tempo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ompared to non-virtual gaits, the virtual gaits were slower and the cycle time and double limb support time of virtual gaits were longer. Furthermore, spaci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ompared to non-virtual gaits, virtual gaits had shorter steps and stride lengths and longer stride width and horizontally longer center of movement. Conclusion : The reduction in the joint movement in virtual reality compared to that in non-virtual reality is due to adverse effects on balance and efficiency during walking. Moreover,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change based on the gait mechanisms for balance, exhibiting that virtual walks are more demanding than non-virtual walks. However, note that the subject group is a normal group with no abnormalities in gait and balance and it is unclear whether the decrease in performance is due to the environment or fear. Therefore, the effects of the subject group's improvement and fear on the results need to be analyzed in future studies.

수술중 전자선치료에 있어서 선량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n Dose Distribution of Cones for Intraoperative Radiation Therapy)

  • Kang, Wee-Saing;Ha, Sung-Whan;Yun, Hyong-Geu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권2호
    • /
    • pp.1-12
    • /
    • 1992
  • 전자선을 이용한 수술중 방사선치료를 위해서는 수술중에 드러내 놓은 종양에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하되 주변 정상 조직을 보존하기 위하여 cone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임상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 것 뿐만아니라 콜리메이터에 의한 적정 X-선 창 크기도 정할 필요가 있다. holder와 cone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제 결합형 cone장치를 개발하였다. 광자선의 SSD 100cm에서 조사면 크기가 직경 4~9cm이면서 lcm씩 차이가 있는 28cm 길이의 원통형 cone을 만들였으며, holder는 cone의 직경이 7cm이상인 것과 미만인을 것을 접속시키기 위해 따로 두 개를 만들었다. holder의 측면에는 조사부위를 관찰하기 위한 거울과 조명등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두었다. cone에 의한 조사면 크기와 콜리메이터에 의한 X선 창의 크기의 여러 가지 결합에 대하여 수중의 전자선의 깊이선량분포독선 및 측방선량분포곡선, 선량분포를 1차원 물팬톰 장치로 조종하는 p-형 실리콘 검출기로 측정하였다. 출력계수도 p-형 실리콘 검출기로 수중에서 측정하였다. 전자선의 에너지와 cone의 크기의 결합이 일정할지라도 콜리메이터에 의한 X-선 창의 크기는 표면선량 및 최대신량점의 깊이, 80% 선량점의 깊이, 측방선량분포, 출력계수에 영향을 미쳤다. 그중, 출력계수의 변화가 가장 현저하였다. 예로서 9 MeV 전자선의 출력계수는 0.637과 1.549의 범위에 있었다. 콜리메이터에 의한 X-선 창의 크기는 수술중 전자선치료용 cone 장치의 벽으로 향하는 산란 전자의 양에 영향을 미치고, cone장치에서 다시 산란된 전자는 출력계수 뿐만 아니라 선량분포도 바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수술중 전자선치료용 cone장치에 대한 선량분포 측정은 임상에서 선량의 불확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다.능적으로 평가되어야 하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수 있었다. 즉, $a^{*}$ / $b^{*}$ 의 비값이 1이상 흑은 1에 가까울 때는 미숙기, 0.8 부근 일때는 적숙기, 0.8보다 작아 질수록 적숙기에서 과숙기로 점차 옮아감을 알 수 있었다.지해줄 수 있는 문헌들이 충분히 고찰되지 못하였고, 이론적배경 또한 횡문화 이론과의 관련성이 적었다. 또한 횡 문화 연구에 기초가 되는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은 잘 나타났으나,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 간에 괴리가 있었다. 3. 표본추출방법은 문화에 기반을 둔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점에서 한계성 이 있었다. 4. 방법론적 이유로는 대상자와의 면담시간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았으며, 고유한 언어를 통역하는 과정에서 의미론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면접과 기록과정에서 보면 자료의 기록과정과 분류 및 분석과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참여관찰과 면접방법을 사용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되어 있지 않았다. 5. 연구결과의 적용 및 이에 대한 논의는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는데, 수편의 연구만이 방법론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분야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특이한 것은 어 떤 연구자도 이른 개발을 위한 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서울 구로구 시흥동 산사태 발생 지역의 산사면에 대하여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예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흐름 모델이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분석 연구를 통하여, 변수 a값은 작은 변화에 대하여 목적함수값에 큰 변화를

  • PDF

익산지역 유치원 아동의 이중치와 결손치의 발생빈도에 관한 조사 연구 (THE PREVALENCE OF DOUBLE TEETH AND CONGENITAL MISSING TEETH IN PRESCHOOL CHILDREN OF IKSAN CITY)

  • 주진형;이광희;김대업;정영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0-216
    • /
    • 2003
  • 이중치는 쌍생치와 융합을 포함한다. 선천적인 결손치는 치아가 하나이상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익산시 유치원 어린이에서의 이중치와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조사 인원은 569명의 남아와 462명의 여아로 1,031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은 17개월에서 84개월의 연령이내였다. 이중치는 다양한 진단학적 치료적 문제를 가진다. 쌍생치는 하나의 치배가 두개의 치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임상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치관이 나뉘어져 거울상(mirror image)으로 보이게 된다. 융합치는 두 개의 치배가 합쳐져서 형성된 것으로 물리적인 힘이나 압력이 두 개의 정상적으로 분리된 치배를 접촉시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융합은 두개의 정상치아 사이에서 나타나거나 혹은 정상치아와 과잉치 사이에서 나타나는데 후자의 경우 쌍생치와 구별하기 힘들다. 1,031명중 23명(11명의 남아, 12명의 여아)이 이중치를 보이고 17명(8명 남아, 9명 여아)은 선천적 결손치를 보였다. 이중치의 유병율은 2.2%였다.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율은 1.6%였다. 피검자중 1명은 이중치와 결손치를 가지고 있었다. 유치열기의 이중치와 선천적 결손치에서 모두 남녀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