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리 측정

검색결과 4,001건 처리시간 0.05초

StrongArm(SA1110)기반의 Laser 거리측정 (Laser distance measurement by StrongArm(SA1110) Platform)

  • 이상신;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68-871
    • /
    • 2003
  • 본 논문은 Laser의 특성인 단색성(monochromaticity), 지향성(directivity), 간섭성(interference), 에너지 집중도 및 고휘도(brightness), 위상의 균일성(응집도, coherence) 등을 이용한 여러 응용 중에서 거리측정에 관한 것이며, Laser를 이용한 거리측정은 빛의 파장, 빛의 진직성, 삼각측량, 변조 빛의 파장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삼각측량법을 개선한 삼각측량법으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두 개의 Laser를 CPU가 0-90$^{\circ}$ 까지 Laser 각도를 움직여 측정 대상 물체에 비춰지는 상을 가지고 거리를 측정한다. Laser의 정확한 각도제어, 빠른 거리 계산, 필요에 따라 이미지 처리까지 필요함으로 Intel사의 고성능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SrongArm (SA1110)을 기반으로 한 하드웨어를 구상하였다.

  • PDF

크레인의 이동거리 측정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stimation of Cordless Transmitter & Receiver for Measurement of Crane Moving Range)

  • 김태수;오인열;전중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808-814
    • /
    • 2007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크레인의 이동거리 측정시스템은 전파의 위상 및 크기를 이용하여 거리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제안하는 기술은 거리측정용 무선송수신기를 설계하고, 측정시스템을 구현하며, 송수신된 900Mhz대 RF 신호로부터 중간주파수인 450Khz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한다. RF 측정결과 9.3 dBm의 출력과 96dBc@10khz의 위상 잡음특성을 얻었고 얻어진 RF 신호에 대한 450Khz 데이터를 디지털신호처리를 통하여 거리정보를 얻는 것이다. 측정된 거리의 평가를 위해서 실제거리와 측정된 거리를 비교분석하고, 또한 평균처리 및 진폭특성을 통한 측정오차 제거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종거리 측정 결과 Ref. 신호에 비하여 10m-30m 거리에 대하여 0.12, 그리고 5m 이내의 근거리 실험에서 위상오차가 0.00422이었으나, 진폭특성을 보완하여 4m에서 2.4E-04의 오차를 얻을 수 있었다.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using laser)

  • 김호중;전흥구;김동학;이순흠;최관순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1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KISPS SUMMER CONFERENCE 2001
    • /
    • pp.85-88
    • /
    • 2001
  • 레이저 거리측정기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 방법으로 레이저송수신펄스의 시간차로부터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송광부, 수광부, 제어모듈 통의 하드웨어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거리측정의 오차를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거리를 계측하는 80196 기반의 거리측정기를 개발하였다.

  • PDF

항공사진측량과 위성영상측량에서 거리측정 정확도 연구 (Analysis of Distance Measurement Accuracy in Aerial and Satellite Image Photogrammetry)

  • 김형무;차득기;남권모;양철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3-255
    • /
    • 2010
  • 항공사진측량과 위성영상측량에서 거리측정정확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표준편차와 제곱평균편차간은 물론이고 측정정확도와 측정정밀도간의 정의에 대한 경향성 있는 혼동된 이해가 들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사진측량과 위성영상측량에서 거리정확도에 관한 표준편차와 제곱평균편차간은 물론이고 측정 정확도와 측정 정밀도간의 관계에 대한 제한적인 정의를 제안한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정확한 정의가 거리측정 정밀도가 아닌 항공사진측량과 위성영상측량에서 거리정확도에서의 개선을 가져옴을 보여준다.

  • PDF

개수로에서 디지털동영상을 이용한 부자의 이동거리 측정 (Measurement of Moving-Flot Distance by Digital Video in Open Channel)

  • 김호섭;박상덕;신승숙;김선정;김건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25-1529
    • /
    • 2010
  •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고 산지하천을 따라 대부분의 도로와 농경지 또는 주거지가 분포하고 있어 집중호우시 산지하천의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하천계획에서는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하천제방 등의 하천설계에 활용하는데 이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유출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홍수자료 생산에서는 수위-유량관계곡선 자료가 필요하며 이는 수위와 유속을 동시에 측정하여 취득된다.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에서 집중호우시에 유속을 측정을 할 경우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유속측정방법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이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영상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부유물의 이동거리를 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개수로에서 부자의 실제이동거리를 이론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그림 1과 같이 개수로에서 부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고 그림 2와 같이 실제이동거리와 이론이동거리의 관계를 나타낸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의 부자를 이용할 경우 영상이미지에서 이론적인 부자 이동거리 산정이 가능함하고 개수로에서 표면유속측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속과 수면변동이 큰 개수로에서 부자이동거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하천 합류부 유량비를 활용한 혼합거리 분석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Mixing Length at the Confluence using Discharge Ratio)

  • 손근수;이경수;김동수;류시완;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8-228
    • /
    • 2021
  • 하천의 합류부는 서로 다른 지형학적 특성과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하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구간으로 하천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간 중 하나이다. 이러한 합류부 구간의 혼합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류에 유입에 따른 본류의 혼합이 발생하는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에 많은 연구들은 실측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송-확산방정식을 활용한 수치 모의를 통해서 다양한 조건에 대한 혼합거리를 분석하였고, 최근에는 첨단 센싱 장비들을 활용하여 간헐적으로 측정된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측정시기에 대한 혼합거리에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무적으로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혼합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제 혼합이 발생하는 혼합거리에 대해 시계열적인 변화를 통해 연중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유황에 따른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에 따른 혼합거리와의 관계식을 개발하여 유량비에 따른 혼합거리를 분석하여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황강과 낙동강의 합류부로 본류와 지류 관측소에서 측정된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10분 단위로 측정된 유량비를 산정하였고, 측정시기별로 수행된 합류부 혼합거리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관계식을 통한 조견표의 만들어 측정시기의 유량비에 따른 혼합거리에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수행된 결과를 바탕으로 유황에 따른 혼합거리를 분석하였고, 최대 혼합이 발생하는 거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연중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Distributed Agent Robotic System을 위한 거리 측정 시스템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Distributed Agent Rohotic System)

  • 황세희;황철민;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4권 제2호
    • /
    • pp.297-300
    • /
    • 2004
  • Distributed Agent Robotic System (DARS)은 독립된 로봇 개체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시스템이다. DARS에서는 각 개체가 주위 환경과 이웃한 개체들의 상태를 인식하고 자신의 처한 환경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 따라서 DARS 시스템에서는 센서와 같이 주위 환경을 인식하는 시스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주위의 장애물을 회피하거나 이웃한 개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DARS에서는 필수적이다. 물체와의 거리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적외선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시스템이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적외선을 쏘고 물체에 반사되어 나오는 적외선의 세기를 이용해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DARS의 거리 측정 시에 고려해야 할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을 통해서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측정한다.

  • PDF

외곽 검출을 통한 스테레오 비전의 실시간 거리 측정 (Real-time judging distance of the stereo vision by Edge Detection)

  • 황진;박태오;이배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0-82
    • /
    • 2007
  • 외곽 검출을 통한 스테레오 비전의 실시간 거리 측정을 제안하였다. 주차 시스템이나 이동 로봇의 경로 설정에 있어 실시간으로 거리 측정이 중요시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의 시각에 가까운 평행 축 상의 두 대의 카메라에서 취득된 영상을 이용한다. 카메라에서 얻은 영상으로부터 외곽을 추출하기 위해 Sobel Mask를 사용하였으며, 좌 우 구분을 위해 색 변환과 영상 정보로부터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영상 등록 과정을 거치고 거리 측정을 하였다. 거리 측정의 결과 2.4%의 오차율을 보였으며 이는 로봇의 이동 간에 적용할 경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산업용 레이저 거리 계측기 개발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Laser ranger Finder)

  • 배영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266-26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빛의 세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한 거리 계측과 측정 속도를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산업용 레이저 거리 계측기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5m 단위의 거리 계측에는 비행 펄스 시간 방법을 사용하고, 1mm 단위의 계측에는 헤테로다인 방법을 적용하여, 장거리 계측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측정 오차 1mm 이내, 측정 거리 1km 이내의 고정밀 거리 계측기를 제안하였다.

  • PDF

글자 크기와 조도의 변화에 의한 가시거리 측정과 예상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Visibility Range by the Variations of the Character Sizes and Illuminance)

  • 김태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22-8227
    • /
    • 2015
  • 가시거리는 볼 수 있는 거리로 정의되며, 이는 글자 크기, 조도 등에 따라 바뀐다. 글자 크기와 조도를 결정할 때 가시거리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시거리 측정과 예상의 2가지 연구를 하였다. 3가지 글자 크기와 3가지 조도에 대해서 약 120명의 학생에 대해서 가시거리를 측정했다. 측정하지 않은 조도에 대한 가시거리를 예상하기 위해서 독립변수가 조도이고, 종속변수가 가시거리인 함수를 제안하였다. 가시거리는 조도에 대해서 많이 바뀌지 않으므로 분수 함수를 제안하였다. 분수 함수에는 결정해야 할 3개의 변수-k,m,n-가 있다.측정한 가시거리 값들을 근거로 이 3개의 변수의 값들을 정하였다. 3개의 조도에 대해서 가시거리를 측정했으므로 세 개의 k들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3개의 k값들의 분산이 가장 작은 경우를 선택하여 이 경우의 3개의 변수-k,m,n-의 값들을 선택하였다. 3개의 글자 크기에 대해서 각각 다른 3개의 분수 함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함수와 측정한 자료의 차이가 적으므로 제안한 함수가 정확함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