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객체 모델링

Search Result 87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Object Modeling for SMIL documents Editor Development (SMIL 문서 편집기 개발을 위한 객체 모델링)

  • Chae Won-Se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3 s.35
    • /
    • pp.161-171
    • /
    • 2005
  •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allows multimedia objects into a synchronized multimedia presentation. In this paper, I propose modeling rules, formal models, modeling function and an algorithm for SMIL documents using use case diagram and sequence diagram of UML(Unified Modeling Language)to Develop for SMIL Documents Editor. It will be used the use case diagram and collaboration diagram for object-oriented visualizing tool to describe the temporal behavior of the presentation.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developers of SMIL documents editor easily generate them using this rules and algorithm. And, the formal models and modeling functions provide an environment for processing object-oriented. documents.

  • PDF

Tolerance Analysis on 3-D Object Modeling Errors in Model-Based Camera Tracking (모델 기반 카메라 추적에서 3차원 객체 모델링의 허용 오차 범위 분석)

  • Rhee, Eun Joo;Seo, Byung-Kuk;Park, Jong-Il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8 no.1
    • /
    • pp.1-9
    • /
    • 2013
  • Accuracy of the 3-D model is essential in model-based camera tracking. However, 3-D object modeling requires dedicated and complicated procedures for precise modeling without any errors. Even if a 3-D model contains a certain level of errors, on the other hand, the tracking errors cause by the modeling errors can be different from its perceptual errors; thus, it is an important aspect that the camera tracking can be successful without precise 3-D modeling if the modeling errors are within the user's permissible rang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olerance of 3-D object modeling errors by comparing computational matching errors with perceptual matching errors through user evaluations, and also discuss permissible ranges of 3-D object modeling errors.

Object-Based Modeling and Language for an Object-Oriented Spatiao-Temporal Database System (객체지향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객체기반 설계 및 질의어)

  • Kim, Yang H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2
    • /
    • pp.101-113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bject-based modeling and language for an object-oriented spatio-temporal database system. For handling the structure of spatio-temporal objects and the spatio-temporal operators, we propose the two layers of data modeling: a spatio-temporal object model (STOM) and an spatio_temporal internal description model (STIM). We then propose STOQL, a spatio-temporal object-oriented query language. STOQL provides an integrated mechanism for the graphical display of spatial objects and the retrieval of spatio-temporal and aspatial objects.

  • PDF

Dynamic Behavior Modelling of Augmented Objects with Haptic Interaction (햅틱 상호작용에 의한 증강 객체의 동적 움직임 모델링)

  • Lee, Seonho;Chun, Junchu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5 no.1
    • /
    • pp.171-178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dynamic modelling of a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when external forces are applied to the object in real-time fashion. In order to simulate a natural behavior of the object we employ the theory of Newtonian physics to construct motion equa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varying external forces applied to the AR object. In dynamic modelling process, the physical interaction is taken placed between the augmented object and the physical object such as a haptic input device and the external forces are transferred to the object.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augmented object are either rigid or elastically deformable (non-rigid) model. In case of the rigid object, the dynamic motion of the object is simulated when the augmented object is collided with by the haptic stick by considering linear momentum or angular momentum. In the case of the non-rigid object, the physics-based simulation approach is adopted since the elastically deformable models respond in a natural way to the external or internal forces and constrain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ce caused by a user through a haptic interface and model's intrinsic properties, the virtual elastic object in AR is deformed naturally. In the simulation, we exploit standard mass-spring damper differential equation so called Newton's second law of motion to model deformable objects. From the experiments, we can successfully visualize the behavior of a virtual objects in AR based on the theorem of physics when the haptic device interact with the rigid or non-rigid virtual object.

Application Transaction Modeling in Secure Object-Relationship Model (보안 객체-관련성 모델에서 응용 트랜잭션 모델링)

  • 심갑식;조일래;노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2.11a
    • /
    • pp.257-266
    • /
    • 1992
  • 지금까지는 데이터의 무결성 보장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단계에서 트랜잭션 모델링은 데이터의 무결성 성질만을 언급하였고 보안 성질은 표현하지 못하였다. 또한,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동적 성질을 모델링하는 트랜잭션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완전히 보장하기 어려웠다. 응용영역의 효과적인 분석과 설계를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링에서 객체, 속성, 관련성 등과 같은 정적 성질 반만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을 보장하는 동적 성질의 모텔링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성 정보를 표현하는 보안 객체 관련성 Secure Object-Relationship Model: SOREM)에서 보안성이 첨가되어 자동으로 생성되는 기본 연산을 바탕으로 응용 트랜잭션을 모델링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보안 트랜잭션 모델링 과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보안 트랜잭션 정의언어(Secure Transaction Definition Language : STDL)를 사용하여 보안 트랜잭션 모델링 자동화 도구를 X 윈도우 환경에서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Object Oriented Data Model for IEC 61850 based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IEC61850 기반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 연구)

  • Kim, Jeong-Soo;Kim, Sang-Sig;Jang, Hyuk-Soo;Chung, Tae-Sun;Jang, Byung-Tae;Lee, Jae-Wook;Joe, S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42-44
    • /
    • 2005
  • 데이터 모델링의 객체 지향적인 접근은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객체의 재활용과 객체 정보의 숨김과 같은 효율성을 제공한다.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IEC 61850 표준은 이러한 객체 지향 개념에 기반한 데이터 모델링을 IEC 61850 표준문서의 파트 7에서 제시하였다. 표준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가장 작은 기능으로써 Logical Node(LN)를 모델링 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LN을 비롯한 여러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들을 설명하고 분석하였다.

  • PDF

Concurrent Object Model Verification with SPIN++ (SPIN++를 이용한 병렬 객체 모델의 검증)

  • 조웅희;배두환;차성덕;권용래;원성기;변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472-474
    • /
    • 1998
  • 병렬 객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시, 병렬성에서 기인한 경쟁 조건의 만족 여부나 교착 상태, 기아 상태 등의 오류를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개발의 초기 단계에 발겨하고 수정하는 것은 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병력 객체모델의 검증을 위해서는 객체간의 상호 메시지 교환과 동적 행위를 기술할 수 있는 모델링 언어가 필요하며, 검증하고자 하는 속성을 기술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모델링을 위해 SPIN에서 사용되는 PROMELA를 쓰레드 기반의 객체 모델링 언어인 SPIN++로 확장하고, 속성의 기술을 위해 확장된 선형 시제 논리를 제안하였으며, 유한 상태에서는 모델 검사(model checking) 도구인 SPIN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병렬 객체 모델의 정형적인 검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스템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teractive Object Modeling Within a Table-type Virtual Environment (테이블형 가상 공간에서의 인터랙티브 객체 모델링)

  • 이선민;권도영;최수미;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92-59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형 가상 공간인 가상워크벤치 상에서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삼차원 객체를 모델링 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삼차원 객체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많이 이동되는 이차원 스크린 기반의 환경과 삼차원 가상 현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다. 삼차원 가상 현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링 환경에서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삼차원 공간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관적이지만 객체를 정확하게 선택하거나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주기 위하여 테이블형 가상 공간에서 그리드 기반의 객체 생성 및 스냅핑을 적용한 객체 조작 방법을 제안하고 이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Searching Model for Class Reuse (클래스 재사용을 위한 검색 모델 연구)

  • 허종오;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796-801
    • /
    • 2002
  • 최근의 소프트웨어 개발은 객체지향 프로그램 개발 기법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초보 개발자에게는 적절한 객체를 식별하고 정확한 속성과 행위를 부여하는 객체 지향 기법은 상당히 힘든 문제이다. 객체의 집합, 즉 클래스 모델링 기법에도 재사용 기법을 사용한다면 이미 작성된 모델을 참조하여 객체 지향 개발 기법을 처음 접하는 초보 개발자에게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숙련된 개발자에게는 검증된 모델을 통해 모델링 실패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성(Similarity) 측정 기법을 적용하여 클래스간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관계 일치여부를 분석하여, 재사용 가능한 클래스를 검색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Object Extraction Methology us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Modeling in the Analysis Phase (정보 구조 모델링을 이용한 분석 단계에서의 객체 추출방법에 관한 연구)

  • 정정인;박재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07-509
    • /
    • 2000
  • 기존 객체 지향 방법론에 의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표기법이 복잡하고, 산출물도 많아서 사용자가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단계에 있어서도 객체추출의 자세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지 않고 있어서 개발자들의 감각과 경험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일관성이 없으며, 추출된 객체들 사이의 연결을 찾기가 쉽지 않아 확장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표기법과 산출물로 개발 초기부터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보 구조 모델링을 이용하여 분석 단계에서의 객체 추출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