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객관성

Search Result 2,2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Investigation of the Objectiveness of Image Indexing from Users' Perspectives (이용자 관점에서 본 이미지 색인의 객관성에 대한 연구)

  • 이지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9 no.3
    • /
    • pp.123-143
    • /
    • 2002
  • Developing good methods for image description and indexing is fundamental for successful image retrieval, regardless of the content of image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image indexing have developed a variety of image indexing systems and methods with the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types delivered by images. Such efforts in developing image indexing systems and methods include Panofsky's levels of image indexing and indexing systems adopting different approaches such as thesauri-based approach, classification approach. description element-based approach, and categorization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d users' perception of the objectiveness of image indexing, especially the iconographical analysis of image information advocated by Panofsky. One of the best examples of subjectiveness and conditional-dependence of image information is emotion. As a result, this study dealt with visual emotional inform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wo phases : one was to measure the degree of agreement or disagreement about the emotional content of pictures among forty-eight participants and the other was to examine the inter-rater consistency defined as the degree of users' agreement on index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 participants made fairly subjective interpretation when they were viewing pictur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made by the participants resulted from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or cultural background. The study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new ways of indexing and/or searching for images, which can alleviate the limitations of access to images due to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made by different users.

내전성 연축성 발성장애의 음성학적 및 근전도학적 진단 특성

  • 김형태;조승호;김민식;선동일;박영학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66-266
    • /
    • 1997
  • 배경 : 내전성 연축성 발성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객관적 진단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질환이다. 목적 : 내전성연축성발성장애 환자에서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음성분석의 특징과 근전도를 통한 근신경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Long-term assessment of criteria pollutant concentrations determined by DOAS and conventional measurement techniques (DOAS system과 기존측정망 시스템의 장기관측결과 해석 : 반포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준성가스 오염물질의 농도비교)

  • 김기현;김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47-50
    • /
    • 2000
  •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들을 광학적 원리에 기초하여 open path 방식으로 관측할 수 있는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이하 DOAS) 시스템은 대기오염관측의 기본적인 관념을 타파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Lindqvist et al., 1990). 비록 아직까지 이러한 시스템으로 분석가능한 모든 관측대상물질들에 대한 검정방식의 객관성이 확보되지는 않고 있지만, $SO_2$, $O_3$, $NO_2$를 포함하는 일부 기준성 항목들의 경우 미국의 EPA나 독일의 TUV와 같은 기관들에 의해 공인받았을 정도로 측정방식의 객관성을 인정받는 추세에 있다. (중략)

  • PDF

The Off-line Verification System of Signature of Handwrite (필적 및 서명에 대한 Off-line 자동분석시스템)

  • Kim, Sei-Hoon;Ha, Jeung-Yo;Kim, Gye-Young;Choi, Hyung-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c
    • /
    • pp.189-193
    • /
    • 2007
  • 필적 감정은 개인의 고유한 필적 개성을 이용하여 임의의 두 필기 문장 또는 텍스트가 동일인에 의해 작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기술로 유서대필 및 보안수사, 서명의 검증, 범죄 수사 등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감정 전문가의 판단기준에 의해 필적의 유사성을 판별하기 때문에 객관성 결여 및 과도한 소요 시간, 과도한 처리비용의 문제를 내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판별의 객관성과 업무의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통한 패턴 분석을 적용하여 두 필적의 유사성을 판별하는 방법을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학습단계와 자동분석단계로 나뉘며, 학습단계에서는 입력된 문서영상에서 필적의 영역을 추출한 후, 특징을 추출하고 DTW연산을 통하여 학습을 한다. 자동분석단계에서는 대조할 문서영상에서의 특징을 추출하고 입력된 문서영상과 대조할 문서영상간의 마할라노비스 거리(Mahalanobis Distance)를 구하여 서명 및 필적에 대한 유사도를 도출한다. 실험은 4명의 필적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Subjective Listening Test Methods by Reference CD Based on Sound Factors (음인자별 테스트용 Reference CD에 의한 주관적 음질평가법)

  • Kim Ki-duk;Choi Hoon-k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37-140
    • /
    • 2000
  • 스피커나 앰프 등의 음향기기의 음질을 평가한다는 것은 전기(electric)적인 신호와 음향(acoustic)신호의 종합적인 측정,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러한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외에 청취자의 심리상태와 관련하여 음질을 분석하는 주관적 음질 평가 역시, 계측기에 의한 측정의 한계와 귀의 탁월한 센싱능력에 힘입어 보편적인 음질 측정법으로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주관적 음질 평가법의 경우 개인적 취향이나 음에 대한 숙련정도에 따라 평가가 다를 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상태에 따라서도 평가가 달라지는 등 그 재현성이나 객관성이 논란이 되어 왔고 이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으로서의 음향기기(여기서는 스피커)와 청취자의 심리를 포괄하는 시험법인 주관적 음질 평가법에 재현성이나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청감에 영향을 미치는 음색인자를 스피커의 특성과 인간의 청각에 근거하여 8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Test용 Reference CD를 제작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Scale of Simulation based Government Exercise for Emergency (시뮬레이션 기반 비상대비 정부연습의 조치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 Joo, Choong-Geun;Lee, Sung-L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0
    • /
    • pp.45-56
    • /
    • 2020
  • This study is about the scale to evaluate the data of the countermeasures in the 'simulation based government exercise' (tentative name). The criteria and weighting of the scale is a standard for evaluating the data of each agency input. This maintains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of the evaluation, which complements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observer. Therefore, the criteria should accommodate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 exercise evaluation,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in the simulation environment, the objectivity, no-duplication and causality between criteria, and the grade applying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weighting should be set. In this study, three major criteria of timeliness,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is set up for the evaluation scale and it consists of sub-criteria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below respectively and the concept of it was defined. The weighting was calculated by AHP analysis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it. When this evaluation scale is applied to the 'simulation based government exercise'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consistency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of measures by integrating the quantified evaluation into the observation evaluation and to conduct AAR by scientific techniques.

Assessment of Quick Sweat Absorbency and High Speed Drying Fabric Using a Psychophysical Method (정신물리학적 측정법을 이용한 흡한속건성평가)

  • 김주용;구지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11-1318
    • /
    • 2003
  • 최근 흡한 속건성은 사이언스 소재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재 성능이다. 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측정 평가법이 존재하고 있지 않고, 몇몇 의류업체에서는 단순히 객관적 속성만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속성인지들의 연속적이 값들이 실제 인체에서는 얼마만큼의 변별력으로 인식되는지 정신물리학적 측정법으로 최소 자극치(PSE)를 구하여 등급을 나누어 보았다. 시료는 흡한속건성 직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Coolmax(R), Coolever(R), 친수성 이중직물의 3개 그룹으로 나누었고, 측정 인자로 객관적 속성인자는 cling force, drying time을, 이와 대응하는 주관적 속성인자는 clinginess, dampness를 측정하고 각각의 PSE값을 구하였다. 그룹에 따라 객관적 속성인자 값들이 이라고 느끼는 PSE 구간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속력을 측정하여 그룹마다의 흡한속건 등급을 정하였다. 또한 설계된 소재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transmissibility라는 인자도 도입하여 수분 전달성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Clinginess, Dampness, Transmissibility 각 인자들을 평가해본 결과 Coolmax(R) 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atistical Analysis Standard for Hydrologic Data (국가수문자료 통계처리 기준 개선방안 연구)

  • Oh, Chang-Ryeol;Baek, Chang-Hyun;Kim, Hwi-Ri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2-452
    • /
    • 2011
  • 통계자료는 국가의 정책을 수립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자료로서 국가 경영에 필수적인 인프라에 해당하며, 국가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산되는 통계자료의 신뢰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신뢰성은 생산되는 통계자료의 정확성을 가장 기본으로 하며, 더 나아가서는 시기적절하게 통계자료를 생산하고 수요자 중심의 통계지표를 발굴 제시했을 때 통계자료로서 의미를 갖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계자료가 갖는 의미에 맞고 효과적인 통계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현재 발간중인 한국수문조사연보의 통계량과 산정기준, 적용성 및 활용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표준화된 통계처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수량과 수위, 유량측정성과 및 유량자료 통계량 44종에 대한 통계량별 결측치 처리기준과 활용성 및 결측치 처리방안에 대하여 검토로 통계값의 일관성 및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자연현상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가능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기왕의 극치자료와 비교검토가 용이하도록 통계량 표 개선과 이동시간 기준 최다강수량 등 신규 통계값에 대한 산정기준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신규 통계량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표준화된 통계처리 기준에 따라 통계값을 산정할 경우 통계 자료의 일관성 및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uman Sensibility and Emotion in Sensibility Ergonomics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 이구형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13-122
    • /
    • 1998
  • 인간의 감성은 감정과는 구분되는 심리적 현상으로, 감정이 강도가 높으며 생리적, 신체적 반응을 동반하는데 비하여, 감성은 강도가 낮으며 겉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가 없다. 감정은 외부의 감각자극에 대하여 두뇌에서 단계적인 정보처리의 결과로 나타나지만 감성은 반사적이고 직관적으로 발생된다. 감정은 하나의 대상에 대하여 여러사람이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공통성과 객관성을 갖지만, 감성은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도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시간과 환경에 따하서도 변화한다. 감정은 일반성, 객관성, 반복성과 같은 학문적 연구대상으로서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나, 감성은 그 특성이 학문이나 연구의 대상이 되기 위한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연구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감성이 감정에 비하여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감정의 종류가 외부자극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반면 감성의 발생은 개인의 재부상태, 즉 생활경험에 의한 기억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감성의 개인성, 변화성, 불확실성, 애매모호성등을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문이 갖는 폐쇄성에서 벗어나 보다 많은 변수를 체계적이고 다각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학문과 연구대상에 대한 조건의 확대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감성은 해당 시점에서 개인이 갖고 있는 심리상태와 함깨 연령, 성별, 교육정도, 건강상태와 같은 개인요소뿐만 아니라 개인의 의식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사회특성, 나아가 전통과 관습, 종교, 환경등와 같은 문화적 특성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그리고 이들 요소들을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많은 요인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는 감성은 감성의 영향을 받는 생활환경과 결합되고,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 기억은 두뇌의 Limbic system은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hypothalamus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감성의 측정평가를 위해서는 생활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의 파악과 함께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