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 정보역량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9초

중소기업의 해외시장진입방식 결정요인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Factor and Performance for SMEs' Global Market Entry Mode)

  • 최윤정;정석재;이석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05-629
    • /
    • 2013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에 있어 통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을 선행 연구를 통해 추출하고, 해외 진출과 관련된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전략요인을 크게 기업역량과 정보역량으로 구분하였다. 기업역량에는 기술사업화 역량, 기업내부 역량, 글로벌 역량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보역량은 해외 수요시장 정보역량과 해외 선진기술 정보역량을 고려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제변수를 포함한 총 27개 변수를 활용하였으며, 성과변수로는 재무적 변수와 비재무적 변수를 활용하였다.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시, 기업의 진입 전략과 관련하여 진입통제 모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 나아가 선택한 통제 모드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과와 관련된 추가적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T-test를 수행하였다.

  • PDF

대학생의 학창경험이 사회 진출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활동 로그분석을 중심으로 (School Experiences and the Next Gate Path : An analysis of Univ. Student activity log)

  • 이은주;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4호
    • /
    • pp.149-171
    • /
    • 2020
  • 대학생 시기는 실질적으로 직업선택을 해야 하는 시기이다. 우리 사회가 빠르게 고도로 발달하는 만큼, 직업은 다양화, 세분화, 전문화되어 대학생들의 취업 준비기간은 또한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학교 내외에서 하는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취업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대학생들의 로그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실험을 위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활동 데이터를 6개의 핵심역량(직무전문성강화 역량, 리더십 및 팀웍 역량, 세계화 역량, 직무몰입 역량, 직업탐색 역량, 자율이행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여기서 구분된 6개의 역량 값이 취업여부(취업그룹, 미취업그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역량 모두 취업집단과 미취업집단의 수준차이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학교에서의 활동은 취업에 유의미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6개의 역량이 취업의 질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6개의 역량수준을 상·하로 나누고, 첫연봉액을 기준으로 6개의 그룹을 만든 후 관계를 확인해 보았는데, 그 결과 6개의 역량 중 세계화역량, 직업탐색역량, 자율이행역량 수준이 높은 학생이 연봉을 기준으로 한 취업성과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창경험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역량을 인사조직관리분야의 역량과 연결하며, 개인의 경력성공을 위해 대학생으로서 필요한 역량을 직업탐색역량과 자율이행역량을 추가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활동로그의 실데이터 기반으로 각각의 역량을 측정하고 결과변수와 검증을 한 점이다. 세 번째, 양적성과(취업률)뿐만 아니라 질적성과(연봉수준)를 분석한 점이다. 본 연구의 실무적 활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생들의 경력개발계획 수립 시 가이드가 될 수 있다. 전략이 없거나 균형을 갖추지 못한 또는 과도한 스펙을 쌓기는 지양하고 직업세계와 직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자신의 강점을 표현할 수 있는 취업준비가 필요하다. 두 번째, 학교와 기업, 지자체, 정부 등 대학생들을 위한 행사를 기획하는 담당자는 대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경험을 설계할 본 연구에서 제시한 6대 역량을 참고할 수 있다. 이벤트의 수요자인 대학생이 필요한 역량을 키우면서 하면서 각 기관의 목적을 더할 때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세 번째,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의 균형발전을 구상하는 정부의 정책담당자는 대학생들의 호기심과 에너지를 대학생들의 역량개발과 국가의 균형발전을 함께 성취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만들 수 있다. 기존에 없던 플랫폼서비스를 시도하고, 기존의 아날로그 상품이나 서비스와 기업문화를 디지털화 하는 데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디지털세대인 현 대학생들의 활약은 전 산업에서 촉매가 될 뿐 아니라 성공적인 경력개발을 위한 대학생들에게도 필요한 경험이라 사료된다.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연구 (Research on Components for Developing a Read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김수경;최승숙;황정현;윤성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29-16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강화를 위해 독서역량과 독서역량 개념에 따른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진단 문항을 개발하여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브레인스토밍, 델파이조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한다. 연구 결과 독서역량 진단도구 구성요인은 크게 2개 영역(정의적 영역, 환경적 영역), 4개 범주(독서동기, 독서태도, 인적 환경, 물적 환경), 4개 범주별 총 13개 구성요인(독서 흥미, 독서가치, 독서인정, 독서기대, 독서습관, 독서효능감, 독서몰입, 독서불안(회피), 가정/가족, 학교/교사, 또래, 독서환경, 매체환경)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융합적 직무역량강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Convergent Job Competence Enhancement Working in a Social Welfare Facility on Quality of Life)

  • 김산용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3-11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융합적 직무역량강화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20개, 경기지역 20개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회수된 188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표본추출법은 비확률표집법에서 임의표집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종사자의 역량강화정도와 삶의 질간의 관계에서 살펴보면 개인역량과 만족감, 환경역량과 불만족감, 관계역량과 만족감에서만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나머지영역에서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종사자의 개인역량, 환경역량이 불만족감에 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역량이 불만족감에 부(-)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개인역량정도, 이직하고자 하는 마음을 통제하는 역량정도, 관계역량이 만족감에 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 복지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 영재의 역량 탐색 및 역량 사전의 개발 (A Study on Science-gifted Students'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Competency Dictionary)

  • 강성주;김은혜;윤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53-370
    • /
    • 2012
  • 최근 과학 영재 교육 대상자의 선발 제도로 관찰 추천제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잠재적 역량이 높은 과학 영재를 파악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발 기준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내적 속성에 대한 변별을 도울 수 있는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사전화하였다. 검증된 선행 역량 사전/모델로부터 역량을 추출하고, 구조화된 설문과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과학 영재의 역량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목표 제시', '계획 수립', '정보 수집 및 분석', '문제 해결', '고차원적 사고', '전문 지식 및 자기 개발'의 6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지적 역량군과 '자신감', '성취 지향성', '호기심'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정의적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역량명과 역량에 대한 정의, 핵심 요소, 행동지표와 수준으로 구성된 역량 사전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관찰 추천을 통한 잠재적인 과학 영재의 선발 기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융복합 환경에서 기업 내부 협업프로세스와 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llaboration process and capabil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convergence environment)

  • 김훈;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151-15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환경에서 기업의 협업프로세스와 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가설을 세우고 PLS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5개 기업(한국 4개, 미국 1개)의 1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기업의 협업프로세스는 학습역량과 생산역량을 통하여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업 내부의 협업프로세스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학습역량과 생산역량이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협업프로세스가 각 이해관계자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보공유,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활동이 이루어지는 루틴이라 정의할 때, 학습역량과 생산역량을 거쳐 기업의 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SW 역량 인증제 관련 교과목 강의 평가 및 성과 분석 (Evalu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ectures related to SW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 박혁규;강윤정;이민혜;원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1-263
    • /
    • 2022
  • 소프트웨어 인력 수요에 대응해 소프트웨어 교육 체계를 혁신하고 창의 융합 사고를 갖춘 소프트웨어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SW 중심대학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2015년 8개 대학을 선발하여 시작하였고, 2022년 9월 현재 기준으로 44개 대학이 참여 중에 있다. 2018년에 선정된 원광대학교 SW 중심대학 사업단은 SW 역량 강화를 위해 SW 역량 인증제를 채택하여 학생들의 관련 프로그램 참여를 활성화였다. 본 논문에서는 SW 역량 인증제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과목 학습자의 강의 만족도 및 인증제의 성과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 결과를 통해서 SW 역량 인증제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 PDF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The Introduction of Design Thinking to Scie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Its Characterizations as a Method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 이도현;윤지현;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3-105
    • /
    • 2014
  • 최근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21세기 핵심 역량으로서 집단 창의성이 강조됨에 따라, 집단 창의성 계발 방안으로서 협업과 공감을 강조하는 디자인적 사고를 과학 교육에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디자인적 사고의 효과적인 도입과 전략 마련을 위하여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 초점집단면접, 중요사건기법 분석을 통해 디자인적 사고의 속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역량군과 15개의 핵심 역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팀의 조직', '의사소통', '자기조절', '설득력', '주도성'의 5개 역량으로 구성된 협업 역량군, '분석적 사고력', '전략적 사고력', '직관적 사고력'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통합적 사고 역량군, '사용자 지향', '관계형성', '대인이해'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간중심 역량군, '성취지향', '정보수집', '호기심', '유연성'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다학제 역량군을 들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내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집단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략 마련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Analysis of Education Needs for Instructional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 김미정;안영식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41-56
    • /
    • 2017
  • 본 연구는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 역량의 중요도 및 현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을 기획 역량, 실행 역량, 관리 역량, 지원 역량으로 구분하고 35개의 하위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 수준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동시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는 35개의 항목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사회관계망 관리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육 요구 최우선순위 항목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1사분면에 위치하고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에 따라 '프로그램 평가 역량'으로 나타났다. 차순위 항목은 '학습 자원 및 정보 수집 역량', '교수매체 개발 역량', '교수매체 활용 역량', '프레젠테이션 역량', '행 재정 이해 역량', '집중력 개발 역량', '공정한 학생 평가 역량', '팀워크 구축 역량'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들은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우선순위 개발 역량으로 판단되며 개인차원과 조직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신기술 개발 역량: 제품 기획 역량의 매개적 역할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Exterior Information Network Heterogeneity and New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The Mediating Role of Product Planning Capability)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1-127
    • /
    • 2018
  • 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은 기술 융합 및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업 환경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공적인 제품혁신과 프로세스 혁신을 창출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관점에서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 벤처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이러한 직접 효과에 미치는 제품 기획 역량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모형을 개발한다. 683개의 중소 벤처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소 자승 회귀 분석을 실시한 통계적 연구모형 검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주요 연구 결과를 제공 한다. 첫째,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신기술 개발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소 벤처기업의 제품 기획 역량은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신기술 개발 역량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완전 매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