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 맞춤형 특징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 폰 기반의 당뇨병 환자를 위한 개인 맞춤형 식단 관리 시스템 (Smart Phone based Personalized Menu Management System for Diabetes Patient)

  • 이영호;김종훈;김재권;민경필;정은영;박동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9
    • /
    • 2010
  • 당뇨병은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와 합병증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식이, 운동, 약물 처방 등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체계적인 식단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 스마트폰 기반의 개인 맞춤형 식단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의 식단 서비스는 영양사나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식단을 처방하며 상황 및 개인의 선호도는 반영 되지 않는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당뇨식단을 계절, 날씨, 시간, 선호도에 맞추어 제공한다. 특히, 스마트 폰 서비스로 구현하여 언제 어디서나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자에게 레시피 및 개인화된 식단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손쉽게 식단 변경이 가능하다.

암 예후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Node2Vec 기반의 유전자 발현량 이미지 표현기법 (A Node2Vec-Based Gene Expression Image Representation Method for Effectively Predicting Cancer Prognosis)

  • 최종환;박상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0호
    • /
    • pp.397-402
    • /
    • 2019
  • 암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계획을 제공하기 위해 암의 진행양상 또는 환자의 생존 기간 등에 해당하는 환자의 예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생물정보학 분야에서 다루는 중요한 도전 과제 중 하나이다. 많은 연구에서 암 환자의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기계학습 모델들이 많이 제안되어 오고 있다.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는 약 17,000개의 유전자에 대한 수치값을 갖는 고차원의 수치형 자료이기에, 기존의 연구들은 특징 선택 또는 차원 축소 전략을 이용하여 예측 모델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특징 선택과 예측 모델의 훈련이 분리되어 있어서, 기계학습 모델은 선별된 유전자들이 생물학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예후 예측이 효과적으로 특징 선택 및 예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자들 사이의 생물학적 상호작용 관계를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에 통합하기 위해 Node2Vec을 활용하였으며, 2차원 이미지로 표현된 발현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은 이중 교차검증을 통해 평가되었고, 유전자 발현량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는 기계학습모델보다 우월한 예후 예측 정확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Node2Vec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량의 새로운 이미지 표현법은 특징 선택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이 없어 예측 모델의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접근법이 개인 맞춤형 의학의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소통+섬기는 마음 - 우리 사업장 탐방 - 새롭게 증축된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 개인맞춤형 검진시스템과 함께 고객 앞으로!

  • 김은섭
    • 건강소식
    • /
    • 제35권1호
    • /
    • pp.40-41
    • /
    • 2011
  •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가 지난해 11월, 장장 6개월 동안의 증축공사기간을 거쳐 한층 달라진 위용을 일반에 공개했다. 가장 큰 특징은 내부구조변경을 통한 건강검진시스템의 개선과 고객의 입장을 배려한 동선배치로 고객만족을 실현한 것이다.

  • PDF

개별화 맞춤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는 AI 기반 플랫폼 분석 (AI-Based Educational Platform Analysis Supporting Personalized Mathematics Learning)

  • 김세영;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417-43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 맞춤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는 AI 기반 플랫폼 활용 시 고려해야 할 교수·학습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플랫폼 5개(똑똑!수학탐험대, 노리AI스쿨수학, 칸 아카데미, MATHia, CENTURY)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AI 기반 수학교육 플랫폼이 개별화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세 가지 요소(PLP, PLN, PLE)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플랫폼에서 구현하고 있는 PLP, PLN, PLE의 특징은 다양했지만, PLP와 PLN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학습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PLE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AI 기반 수학교육 플랫폼을 활용하는 개별화 맞춤형 수학 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실천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3차원 모델을 사용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얼굴의 합성 (Synthesizing Faces of Animation Characters Using a 3D Model)

  • 장석우;김계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1-4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의 얼굴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얼굴에 자연스럽게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먼저 정면과 측면의 직교하는 2장의 2차원 얼굴영상을 입력 받아 얼굴의 주요 특징을 템플릿 스테이크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에 맞게 일반적인 3차원 얼굴 모델을 변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적합한 얼굴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2장의 얼굴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텍스처 맵을 3차원의 얼굴 모델에 매핑하여 현실감 있는 개인화된 얼굴 모델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개인화된 3차원의 얼굴모델을 애니메이션 캐릭터 얼굴의 위치, 크기, 표정, 회전 정보를 반영하여 캐릭터 얼굴에 자연스럽게 합성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사용자 맞춤형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실험에서는 제안된 캐릭터 얼굴 합성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한 여러 가지 실험결과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캐릭터를 이용한 여러 가지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 이미지에 따른 맞춤형 넥타이 개발 - 넥타이 디자인의 특징 및 직업군과의 연결 - (Development of Custom Necktie According to Personal Image - Characteristic of Necktie Design & Connecting to Job -)

  • 홍지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51-58
    • /
    • 2003
  • 개인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첫인상으로, 남성의 옷차림에서 상대방 눈 다음으로 시선이 바로 머무르는 곳은 바로 수트의 브이 존(v zone)이다. 따라서 남성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데에 넥타이가 순간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이미지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넥타이를 소재로 하여, 남성의 이미지를 몇 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넥타이의 디자인적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이미지는 매력성과 능력성의 2개의 축으로 독특성, 사교성, 온유성, 주목성, 역동성/활동성, 신뢰성의 6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이미지에 적합한 넥타이 디자인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이미지를 분류된 6개의 직업군과 연결시킴으로써 직업군에 어울리는 넥타이 디자인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넥타이 판매에 활용한다던 소비자들은 쉽게 자신의 기호, 상황, 직업과 관련하여 적합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넥타이를 선택한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통해 보다나은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개인 맞춤형 국소부위 질소 냉각 장비 개발 (Development of Nitrogen Cooling Equipment for Personalized Local Area)

  • 이영지;이주현;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13-91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국소부위 질소 냉각 장비 개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장비는 크게 냉기공급모듈과 본체, 그리고 질소분사(건)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진다. 첫 번째로 부피온도 감지센서로 피부온도를 측정한 정보를 활용하여 냉기의 공급량과 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하므로 완벽한 안전성 확보를 통한 기능상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두 번째로 거리측정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일정거리 이상 피부에 근접하게 되면, 제어 GUI와 연동하여 냉기를 차단하거나 질소의 배출을 조절하여 보다 높은 냉각요법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안전한 관리가 가능하다. 세 번째로 질소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모듈을 설치하여 질소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안된 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외부시험기관에서 실험한 결과, 온도센서 정확도는 세계 최고 수준(±5%)보다 정확한 ±3.8%의 범위에서 측정이 되었고, 온도범위는 세계 최고 수준과 비슷한 110℃~-160℃의 범위가 측정되었다. 거리 정확도는 세계 최고 수준(±5%)보다 낮은 ±3.0%의 범위에서 측정이 되었고, 무게 정확도는 세계 최고 수준(±5%)보다 정확한 ±0.1%의 범위에서 측정이 되었다. 또한, 토출 제어는 세계 최고 수준(1단계)보다 높은 4단계가 측정되었고, 질소 사용량은 세계 최고 수준(6L/min) 이하인 0.8L/min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본문에서 제안한 개인 맞춤형 국소부위 질소 냉각 장비개발의 성능의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Kinect Sensor 기반의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ystem based on Kinect Sensor)

  • 우현지;유미;홍철운;권대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93-605
    • /
    • 2022
  • 본 연구는 Kinect Sensor 기반의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 시스템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개발 시스템을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시스템을 모션캡쳐 도구로서 이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 검증을 위해서 스마트 거울 시스템에 부착된 키넥트 센서(Kinect sensor)에서 측정된 인체 움직임 데이터와 적외선 모션캡쳐 장비에서 측정된 인체 움직임 데이터를 비교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타당성 검증 결과 상관계수 r=0.871~0.919로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예측가능정도가 88%로 높게 나타났다. 신뢰성 검증 결과 r=0.743~0.916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반복 측정에 대한 일관성도 ICC=0.93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키넥트 센서기반의 운동 처방 시스템에서 인간 골격에 대한 특징 벡터를 통한 관절의 가동범위 평가 및 자세측정평가가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향후 병원, 임상시험센터, 스포츠센터 등의 운동처방사 혹은 물리치료사, 퍼스널 트레이너들에게 전문성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entity-CBAM ResNet 기반 얼굴 감정 식별 모듈 (Face Emotion Recognition using ResNet with Identity-CBAM)

  • 오규태;김인기;김범준;곽정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59-561
    • /
    • 2022
  • 인공지능 시대에 들어서면서 개인 맞춤형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고 교감하는 기술이 많이 발전되고 있다.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얼굴, 음성, 신체 동작, 생체 신호 등이 있지만 이 중 가장 직관적이면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은 표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도 높은 얼굴 감정 식별을 위해서 Convolution Block Attention Module(CBAM)의 각 Gate와 Residual Block, Skip Connection을 이용한 Identity- CBAM Module을 제안한다. CBAM의 각 Gate와 Residual Block을 이용하여 각각의 표정에 대한 핵심 특징 정보들을 강조하여 Context 한 모델로 변화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게 하였으며 Skip-Connection을 이용하여 기울기 소실 및 폭발에 강인하게 해주는 모듈을 제안한다. AI-HUB의 한국인 감정 인식을 위한 복합 영상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총 6개의 클래스로 구분하였으며, F1-Score, Accuracy 기준으로 Identity-CBAM 모듈을 적용하였을 때 Vanilla ResNet50, ResNet101 대비 F1-Score 0.4~2.7%, Accuracy 0.18~2.03%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였다. 또한, Guided Backpropagation과 Guided GradCam을 통해 시각화하였을 때 중요 특징점들을 더 세밀하게 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미지 내 표정 분류 Task에서 Vanilla ResNet50, ResNet101을 사용하는 것보다 Identity-CBAM Module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함을 입증하였다.

3차원 프린터 응용을 위한 CT/MRI-영상 기반 GUI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CT/MRI based GUI Software for 3D Printer Application)

  • 정영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451-456
    • /
    • 2018
  • During last a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ed demand for 3D-printed medical devices with significant improvement of 3D-Printer (also known as Additive. Manufacturing AM), which depend upon human body features. Especially, demand for personalized medical material is highly growing with being super-aged society. In this study, 3D-reconstructed 3D mesh image from CT/MRI-images is demonstrated to analyse each patients' personalized anatomical features by using in house, then to be able to manufacture its counterpart. Developed software is distributed free of charge, letting various researcher identify biological feature for each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