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형 이동장치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termination of Service Areas and Operating Numbers for Free-floating Personal Mobility Sharing Services (First-mile과 Last-mile을 고려한 자유 주차방식(Free-floating)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 권역 및 운영대수 결정)

  • Sang-Wook Han;Dong-Kyu Kim;Sedong M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2
    • /
    • pp.106-118
    • /
    • 2024
  • Interest in personal mobility has increased with the growing significance of first-mile and last-mile connectivity in smart mobility servic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setting the service area of free-floating personal mobility sharing services and determining the optimal fleet size for the selected shared service area to address first-mile and last-mile challenges. We utilize population data, smart card data, and building data. Additionally, we estimate latent demand by incorporating age-specific and distance-specific utilization rates based on personal mobility device data. Along with the latent demand, we determine the service area based on locations of transit stops and buildings. We apply the proposed methodology to Yeongjong Island, Incheon. As a result, dense residential areas and popular beachside locations are designated as personal mobility sharing service areas. The fleet size for personal mobility in the dense residential service area is determined to be 1,022 units, while the fleet size for the beachside service area is set at 269 units.

Study on the Safety Perception of Personal Mobility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인식에 관한 연구)

  • Chanwoo Roh;Jaeduk Lee;Seyoung Ahn;Iljoon Ch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6
    • /
    • pp.92-101
    • /
    • 2023
  • The increasing use of personal mobility has led to a rise in traffic accidents and social issues. Consequently, the government is continually revising laws and regulations to addres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personal mobili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at reflects user characteristics and public perceptions based on the law revised in May 2021.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legal awareness, usage patterns, risk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indicated that driving on roads without separate sidewalks, speeding, and carrying passengers are hazardous practices. Moreover, Poor awareness of the legal framework governing personal mobility results in law violation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as they highlight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regarding institutional and legal improvements, and the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enhancing social awareness about safety as personal mobility become more widespread.

Design of HMD Application for Personal Mobility Equipment using Deep Learning Object Recognition and Augmented Realism Techniques (딥러닝 객체 인식과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개인 이동장치 HMD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 Kim, Kang-Gyoo;Lee, JongMyeong;Yoo, Seoyeon;Chun, Seunghyun;Baek, JeongYoon;Ha, Ok-k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9-40
    • /
    • 2022
  • 최근 전동 킥보드, 전동휠, 전기 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의 보급이 늘면서 관련 인명 교통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사용위험 및 사고 감소를 목적으로, 딥러닝 객체탐지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위험요소를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HMD(Helmet mounted display)에 표시하는 '딥러닝 객체 인식과 증강현실을 적용한 개인 이동장치를 위한 HMD(Helmet Mounted Display)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한다. 제시하는 방법은 실시간으로 수집된 전방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객체 탐지 알고리즘을 통해 위험요소 및 안전한 주행을 보조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증강현실을 적용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전 보조장치 및 기능을 제공한다.

  • PDF

The effects of PM driving direction and alert sound type on risk perception and awareness of PM driver of pedestrians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주행 방향과 경고방식의 차이가 보행자의 위험 지각과 주행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Jung, Yoon-Hyun;Lee, Soo-Ji;Kang, Hyun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7
    • /
    • pp.217-226
    • /
    • 2021
  • The use of personal mobility(PM) is increasing because of preading shared mobility, but, it causes risk of accidents and fear to pedestrians because of lack of s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alert sound in PM and driving direction on risk perception of pedestrians, awareness on PM driver, and allowance for driving on each road. The 8 videos were produced from a pedestrian perspective, depending on the alert sound type(silent, vess, bell, voice) and direction of driving(front, back). After watching each video, participants completed surveys. There was a non-effect on the driving direction. Regardless of the alert sound type, all of the sounds reduced the risk perception. Also, the awareness of PM drivers and allowance for driving on each road were positive. This study found that PM needed an alert sound for pedestrian safety. We expect the results of the study to help improve awareness of PM and make policies and regulation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 Communicator based on Embedded Single Board Computer for Controlling of Remote Devices (원격 장치 제어를 위한 임베디드 기술 기반의 개인용 커뮤니케이터 설계 및 구현)

  • Jang, Seong-Sik;Byun, Tae-Yo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2
    • /
    • pp.99-109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implementation details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using personal communicator based on LN2440 single board computer, which recognizes hand-gesture of user, controls remote moving device such as mobile home server, robot etc. through delivery of proper control commands. Also, this paper includes detail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gateway and mobile home server. The implemented prototype can be utilized to develop various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 remote exploration robot, intelligent wheelchair based on general purpose embedded system.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ity Safety Driving Assistance System Using CNN-Based Object Detection and Boarding Detection Sensor (합성곱 신경망 기반 물체 인식과 탑승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 주행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 Son, Kwon Joong;Bae, Sung Hoon;Lee, Hyun Jun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0
    • /
    • pp.211-218
    • /
    • 2021
  • A recent spread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such as electric kickboards has brought about a rapid increase in accident cases. Such vehicles are susceptible to falling accidents due to their low dynamic stability and lack of outer protection chassis.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 and a safe starting system as driving assistance devices for electric kickboards. The braking system employed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tect nearby threaening objects. The starting system was developed to disable powder to the motor until when the driver's boarding is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specialized for personal mobility devices.

A Task Decomposition Scheme for Context Aggregation in Personal Smart Space (개인 지능형 공간에서의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작업 분배 기법)

  • Ryu, Ho-Seok;Park, In-Suk;Hyun, Soon-J.;Lee, Dong-Man;Kim, Jeong-S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08-315
    • /
    • 2007
  • 상황 인지 컴퓨팅에서 상황정보 추론 기능은 상황정보 관리를 위해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상황정보 추론 기능은 하위 레벨의 상황정보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위 레벨의 상황정보를 제공한다. 인프라 기반 지능형 공간에서 중앙 집중 형의 상황정보 관리 시스템은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자원 소모를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자원이 제약된 장치들로만 구성된 개인 지능형 공간에서는 공간 내 전체의 자원 소모뿐만 아니라 상황정보 관리자 역할을 하는 장치 (coordinator)들의 자원 소모가 최소화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적인 상황정보 추론 작업을 분배하여 개인 지능형 공간 내의 다른 장치들에게 작업을 분산시키는 상황정보 추론 작업 분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분배 기법은 건강정보, 환경정보, 지리정보 같이 상황정보가 자주 발생하는 환경에서 더 효율적이다. 상황정보 추론작업을 분배 함으로써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개인 지능형 공간의 전체의 처리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코디네이터의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의 작업분배 기법은 상황정보 추론의 역할을 하는 코디네이터와 분산된 로컬 상황정보 추론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상황정보 추론 기능을 개인 지능형 공간을 구성하는 장치들에 각각 구현하고 상황정보 추론을 위한 처리부하를 측정하여 제안된 기법의 실행 가능성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electric kick-board helmet recogni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의 전동킥보드 헬멧착용 인식시스템 개발)

  • Park, Joon-Ho;Hwang, Ji-Min;Go, Yu-Jeong;Kim, Se-Ha;Lee, Hyun-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81-282
    • /
    • 2022
  • 현재 전동 킥보드 헬멧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가 끊임없이 야기되고 있다.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법 개정을 통하여 헬멧 착용이 의무 사항이지만 여전히 낮은 착용률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공유 킥보드 회사에서 사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의 전동킥보드 헬멧 착용 인식시스템을 제시한다. 타 공유 전동킥보드 회사 앱에서 본 논문의 결과물을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타사 앱에서 헬멧 인식 요청 시 자사 앱에서 헬멧 착용 여부를 인식하여 결과를 전송한다. 자사 앱 사용자는 인식 기록을 조회할 수 있고, 타사 관리자는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전동킥보드 이용 시 헬멧 착용을 장려하여 착용률 증가와 사고 시 인명피해 감소를 기대한다.

  • PDF

미래 고령화 사회를 위한 실버 기기

  • 김남균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1
    • /
    • pp.66-71
    • /
    • 2004
  • 이글에서는 상지 동작 훈련 지원 시스템, 보행 훈련 및 하지 기능 회복 지원 시스템, 자세 균형 훈련장치 등 신체 기능 회복 및 훈련 지원 시스템과 자립형 이동을 위한 동작보조장치, 일상생활 지원 실버 기기, 개인 휴대형 골정 방지 시스템 등 일상생활 보조 지원 실버 기기에 대해 소개한다.

  • PDF

Intelligent Multi-agent based Personalized Service in Smart Space (스마트 공간에서의 지능형 멀티에이전트 기반 개인화 서비스)

  • Choi, Yong-Joon;Park, Young-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697-699
    • /
    • 2005
  •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하면 언제 어디에서나 거대한 양의 컴퓨팅 서비스 및 장치들이 생활 곳곳에 스며들어 사용자의 요구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며 개개인의 사람마다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개인화된 서비스가 필요하다. 사람의 위치이동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 하여야하여 관심 여부에 맞추어서 서비스 장치 및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동적 환경에서 분산 에이전트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가장 근접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크게 세 가지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째, 유비쿼터스 환경의 인프라구조인 스마트 공간을 가상의 시뮬레이터로 구현하여 물리적 장치 및 컴퓨팅 객체를 모델링한다. 둘째, 이기종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대리인으로서 지능적인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멀티 에이전트 기반 구조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한 관심정보를 고려하여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