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성과

Search Result 2,27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he Effect of ERP System Quality on the System Use Satisfaction and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RP시스템 품질이 시스템 사용만족도와 개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JeongE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3 no.4
    • /
    • pp.55-67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RP system quality factors on the system use satisfaction and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For achieving this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quality factors, use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ompanies which operate the ERP system using questionnaires, whereas many previous studies focused on general quality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quality and use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difference between our study and previous studies is that we classified the information system quality into three categorie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before analyzing the respective relationship among three identified variables (use satisfaction,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that th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considered as the ERP system quality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level, respectively.

A Study on Characters of Human Capital Affecting Innovation Performance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의 특성들에 관한 연구)

  • Kim Dong-Young;Han K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361-37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자본의 증대를 위해선 인적자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선결요건이며 조직의 혁신성과는 인적자본으로부터 창출된다는 가정 하에, 조직의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의 핵심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본의 요인으로는 개인의 역량과 태도, 만족도 및 유지도의 네 가지 요인을, 연구개발 조직에서의 혁신 성과는 특허와 논문, 상용화 및 우수기술개발 실적을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개인의 역량과 태도, 만족도 및 유지도는 특허 실적과 논문 실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허와 논문 실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량 등 네 가지 요인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개인의 태도와 만족도는 상용화 실적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역량과 유지도는 상용화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역량과 태도 및 만족도는 우수기술개발 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개인의 유지도가 우수기술개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구개발조직에서의 혁신 성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혁신 성과별로 개인의 역량과 태도, 만족도 및 유지도에 대한 체계적이며 차별화 된 관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Application of the PSP methodology to personal learning process (개인학습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PSP 방법론 활용)

  • Kim, Tae-Il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78-283
    • /
    • 2007
  • 최근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조직의 업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세스 개선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프로세스 개선 활동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조직의 프로세스 개선 노력이 개인의 업무 수행 역량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직의 성과는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의 성과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므로 조직의 업무 프로세스 개선노력이 보다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개인의 업무 프로세스 개선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학습 체계와 성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개발자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PSP 방법론(Personal Software Process)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PSP 방법론을 활용하여 일반 사무 근로자의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대학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개인 학습 프로세스 개선 방법과 성과 측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i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Employee's Job Placement and Individual Performance (병원 재직자들의 직무배치와 개인성과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Lee, Chul-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113-121
    • /
    • 2014
  •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medical institutions have great attentions to selecting the good employee. Through job placement, recruited employee performing a given task, previous studies have lack of research, how job environment affects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job ability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refore, targeting at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employees who work in the hospital, 134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this study performed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self-efficacy and individual performance. Specifically,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person-job fit and individual performance was verif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person-job fit appeared to affect significantly to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self-adjustment, confidence, goal-difficulty). Second, among the self-efficacy sub-factor, self-adjustment, confidence appeared to influence to the individual performance. Third, self-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etween person-job fit and individual performance and confidence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person-job fit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se findings hav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that self-efficacy studies are expanded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tudy's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hospital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개인정보보호 투자 성과측정 방안 선정에 관한 연구

  • Park, Dae-Ha;Lee, Jae-Hoon
    • Review of KIISC
    • /
    • v.22 no.6
    • /
    • pp.15-21
    • /
    • 2012
  • 정보기술(IT) 인프라가 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으면서 기업은 고객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서비스 및 재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의존도 및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더불어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투자 요구도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조직은 개인정보의 보호에 대한 측정 및 평가 방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정보보호 투자의 성과측정 방법 및 IT 성과측정 방법의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개인정보보호 투자에 따른 성과측정에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 경제효율성평가(WiBe) 프레임워크를 선정하고, 그 타당성을 제시한다.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ory Affordance and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Fi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Mediating Absorption Capacity (조직 메모리 제공과 개인-직무, 개인-조직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역량을 매개로)

  • Kwon, Jae-Hyeon;Seo, You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274-284
    • /
    • 2020
  •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evel of data-efficient utilization great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absorption capacity as a mediate, depending on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in organizational memory affordance. According to a survey of 317 employees of large, medium and small businesses, organizations that have sufficient organizational memory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person-job fit(PJF) and person-organization fit(POF), and also on absorption capacity.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memory afford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on capacity by mediating the POF. PJF and POF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but only POF when mediating absorption capacity showed a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by comprehensively empirical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IT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the memb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 and job as a leading factor in absorption capacity, and simultaneously demonstrating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자동차 대리점 영업사원의 개인역량이 자동차 판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Mi-Hoe;Bae, Byeong-Yun;Jeon, Gi-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79-92
    • /
    • 2018
  • 영업사원들은 자동차산업에서 유통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자동차라는 상품의 특성상 고객들은 구매의사 결정과정에 있어 높은 수준의 정보와 지원을 요구한다. 영업사원들은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결정과정을 돕는다. 따라서 자동차 영업사원의 개인적 역량은 자동차 판매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동차 영업사원의 개인역량과 판매성과 사이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역량을 1) 판매기술 전문성 2) 영업사원의 태도 및 고객과의 관계형성 3) 감성활용 4) 감성조절 네 가지의 독립변수로 구분하여 종속변수인 판매성과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으며 경기도와 강원지역의 자동차 대리점에 근무하는 영업사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부된 유효 설문지 268부는 통계 프로그램 SPSS WIN24.0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자동차 영업사원의 개인역량의 요인으로 판매기술 전문성과 감성활용은 영업사원의 판매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태도 및 관계형성과 감정조절이 판매성과에 정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역량은 영업사원을 채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 PDF

The design of Variable Privacy Synchronization Unification Model on EC (전자상거래에서 가변적 개인정보 동기화 통합 관리모델 설계)

  • Han, Jeong-Ho;Lee, Young-Ji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2025-2028
    • /
    • 2003
  • 최근 첨단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식정보사회로 전환되면서 전자상거래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거래를 통해서 많은 개인정보를 수집, 관리 및 생성하게 되는데 일단 수집된 개인정보는 개인정보 주체의 꾸준한 갱신이 없다면 개인정보에 대한 기본 요구사항이자 개인정보 보호법에서 개인정보 주체의 의무사항인 최신성과 정확성이 결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최신성과 정확성의 결여로 발생되는 정확한 서비스와 사용목적 및 용도 변경시 동의를 받을 수 없는 문제, 수집된 개인정보를 주체는 어느 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알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상거래에 사용되는 개인정보를 가변적 개인정보와 불변적 개인정보로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전자상거래 사이트들이 수집한 가변적 개인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 주는 방식의 최신성과 정확성을 충족시킬수 있는 통합 모델(Privacy Synchronization Unification Model)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vestment Performance (개인정보보호투자의 성과측정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oung-Il;Lee, Jae-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
    • /
    • pp.99-106
    • /
    • 2013
  •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ending business issues becaus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can cause tremendous financial losses and image degradation. Consequentl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itiatives have been recognized widely in business. To invigorat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vestments,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such as cost benefits analysis or qualitative analyses are needed, which have not been studied enough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oposes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which can includ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in the contex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vestments. A comparativ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on security investment and IT investment performance measurements, which leads to choose the WiBe method (developed by the German Interior Ministry), considering the privacy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s applicability. In particular, the quantitative effect measured how proactive threat assessment based on the way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of privacy and possible investment decisions. This study proposes the 16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turn out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their materiality and feasibility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of 25 expert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ffects of the types of incentive system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pay satisfaction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과 성과급 형태가 임금만족에 미치는 효과)

  • Kwangsu Moon;Jaehee Lee;Shezeen Oah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0 no.3
    • /
    • pp.235-26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tendency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the type of incentive system on pay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workers employed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MANOVA was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The results of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incentive and tendency of collectivism has positive influence on pay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MANOVA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tendency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the type of incentive system has significant effect on pay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tendency of individualism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pay satisfaction under the individual incentive condition. However, the tendency of collectivism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pay satisfaction partially under the individual incentive condition. In addition, the tendency of collectivism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pay satisfaction under the group incentive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ful consideration in the organization need to decide for the use of individual incentive system, when we regard the Korean culture as high tendency of collectivism. In other words, individual incentive system may could not provide pay satisfaction to the employees who have high level collectivism. However, to generalize these results, more studies were examined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