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연성

Search Result 31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bductive Rules for Text Cohesion (글의 응집성을 포착하기 위한 개연규칙)

  • Kim Gon;Yang Jae-Gun;Kim Min-Chan;Bae Jae-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17-5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글의 응집성을 포착하기 위하여 개연규칙을 활용한다. 개연규칙은 문장 구성성분들의 문장간 개연적 연결상황을 나타내고, 글의 인과 성향이나 담화작용을 반영한다. 글을 이해하기 위한 대표적인 속성에는 글에 긴밀성을 부여하는 응집성이 있다. 글의 응집성을 파악하기 위한 대표적인 언어학적 도구나 지식으로는 어휘사슬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예문의 어휘사슬을 개연규칙으로 찾아낸 개연사슬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중요도가 높은 어휘사슬과 대응하는 개연사슬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개연사슬은 종래의 어휘사슬의 기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줄거리 단위, 단서구 용법, 문장사이의 개연성 등을 감지하여 문장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포착할 수 있다. 이는 개연규칙을 활용하여 글의 화제문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bductive Chain Detection between Concepts with Factotum SemNet (Factotum SemNet을 활용한 개념간 개연사슬 발견)

  • 양재군;강인수;배재학;이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9-141
    • /
    • 2003
  • 독해 과정에서 문장 의미간 개연성 파악은 저자의 저술의도 파악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개연성 파악을 위해서는 우선 어휘들과 그들의 연관관계로 구성된 개연사슬을 발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Factotum SemNet을 활용하여 개연사슬의 발견을 자동화하였고 이에 대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 후, 이 도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서 개연사슬 발견의 자동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선박교통관제 강화 방안에 대한 제언 -공유된 정보를 통해 선박의 사고 개연성 예측 중심으로-

  • Kim, Min-Yeong;An, Byeong-Il;Lee, Sang-Chu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2-335
    • /
    • 2016
  • 2000년대 들어 정보기술의 발달로 정보공유와 수집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정보를 활용하여 미래의 사람들의 행동과 생각을 예측하기에 이른다. 특히, 정부는 보안과 위험관리 분야에 빅데이터 개념을 도입하여 미래에 대한 위험을 예측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선박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선박운항과 관련된 수많은 정보들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생성된 정보는 각 기관에 흩어져 관리되고 있으며, VTS센터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은 아직까지 체계적인 관리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제언은 국내 VTS센터, 나아가 인근 국가의 VTS센터에서 생성되는 각종 정보들과 관련 기관에서 활용되는 정보들을 한 곳에서 통합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곳에서 공유 분석되는 정보를 통해 조금이나마 선박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제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이에 대한 방안 중 하나로 정보공유를 통한 선박 사고 개연성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 연구를 통해, 본 제언에서 제시된 사고 개연성 예측 모델을 위한 위험유발 인자와 사고의 발생과의 상관을 통계적으로 해명할 수 있게 된다면 본 모델을 활용하여 보다 선제적이고, 효율적인 선박관제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Verification of Abductive Rules with Factotum SemNet (Factotum SemNet을 활용한 개연규칙 검증)

  • Yang, Jae-Gun;Bae, Jae-Hak;Yoo, Hae-Young;Lee,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49-352
    • /
    • 2003
  • 독해 과정에서 문장간 개연성 파악은 저자의 저술의도 파악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런 중요성은 온라인 운서의 처리에도 적용된다. 이 점은 기계를 이용한 자연어 처리과정에서 문서의 개연규칙 추출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연규칙 추출 자동화의 전단계로서 미리 준비한 개연 규칙을 검증해 보았다. 검증과정에서는 Factotum SemNet 을 활용하였다. 검증과정을 통해, 준비된 개연규칙이 글 이해에 필요한 개연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개연규칙 검증에 Factotum SemNet이 유용함을 보였다.

  • PDF

Onthe typology of Pragmatic scales: scalar implicatureof '-(i)na' in Korean (국어 조사 '이나'의 함축 해석에서 나타나는 척도의 유형에 관하여)

  • Ryu, Byung-Ry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7.10a
    • /
    • pp.216-227
    • /
    • 2007
  • 본고는 서로 다른 용어와 기준들로 일관성 없이 나열되어 있던 이전의 '-이나'의 의미 해석을 통합적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즉 특정한 양상 척도(개연성, 희구성, ${\ldots}$ 등)을 이용하여 '-이나'가 쓰인 맥락에 따라 척도 함축을 해석해 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교착어의 특성을 가진 한국어의 특수조사(혹은 한정사) '-이나'의 함축 해석에서 척도의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의미 해석과 형식화의 초석을 다지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먼저 '-(이)나'의 함축 해석에서 나타나는 척도의 유형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나'의 함축이 드러내는 척도들을 형식적으로'선형과 비선형'척도를 나누고 이러한 문장들이 들어내는 양상을 분류할 것이다. 둘째, 정대호 외(2002)에서 논의하고 있는 '~이나/도'가 분류사구와 결합한 문장이 화용론적인 개연성의 척도상에서 하한 값을 유발한다고 제안함에 따라, 본고는 양상을, 이러한 개연성의 척도를 포함한, '인식(진리, 원인, 지식, 평가), 의무(의지), 희구(기원)'의 3가지 양상으로 분류하고, 이에서 '-(이)나'가 유발하는 각각의 척도상의 함축을 기술할 것이다.

  • PDF

Mathematics of Uncertainty: Probability and Possibility (불확실성의 수학 : 확률론과 개연론)

  • Koh, Young-Mee;Ree, Sang-Wook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5 no.1
    • /
    • pp.1-13
    • /
    • 2012
  • Possibility theory is a kind of mathematics of uncertainty for handling incomplet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iscuss vagueness and randomness as some causes of uncertainty and we introduce the possibility theory as a way of dealing with uncertainty, comparing it with the probability theory.

Text Summarization with Abductive Rules and Sentence Abstraction (개연성 규칙과 문장추상화를 활용한 문서요약)

  • Kim, Gon;Bae, Jae-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9-36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문장추상화와 문장간 개연적 연결상황을 활용한 문단 기준의 문서요약을 생각하였다. 구상한 문단기준 문서요약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1) 문단의 문장들을 추상화시킨다, (2) 문장구성성분들의 문장간 개연적 연결상황을 확인한다, (3) 연결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문장을 문단의 화제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인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에서 문장추상화에 필요한 구문분석기와 온톨로지를 구체화하였고, 문장추상기로 설화문장 추상화를 하였다. 그 후 개연성 규칙을 적용하여 문단의 주제문을 선별하였다.

  • PDF

Intersubjective Justification and Objective Justification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객관적 정당화)

  • Lee, Byeongd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2 no.1
    • /
    • pp.125-150
    • /
    • 2019
  • A coherence theory is adequate as a theory of justification only when justification as conceived by the theory is truth-conducive. But it is not clear how coherentist justification is truth-conducive. This is the alleged truth-conduciveness problem of coherentism. In my 2017 paper, I argued that a certain version of the coherence theory, namely a Sellarsian coherence theory combined with the deflationary conception of truth, can cope with this problem. Against this claim, Kiyong Suk argues in his recent paper that my proposed solution fails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no practical way of distinguishing between intersubjective justification and objective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my view by way of explaining why Suk's criticism is not correct. In particular, I argue that his criticism is based on a wrong assumption, namely that for one to be objectively justified in believing something, one's justification must be qualitatively transformed into the status of having objective justification from the status of having intersubjective jus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