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형 탐구 지도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5초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n the Professional Growth of a Novice Science Teacher in Open Inquiry Teaching)

  • 박기라;윤희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53-471
    • /
    • 2024
  • 개방형 탐구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 주어야 하지만 과학교사 대부분이 개방형 탐구 지도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2년간 개방형 탐구를 지도한 과학교사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방형 탐구 지도의 어려움, 극복과정, 전문성 성장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회상자료, 자기성찰자료, 면접자료, 문화기물자료를 구분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개방형 탐구에서의 전문성은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탐구 지도 시 경험하게 되는 교수실행과 관련된 영역, 학생과 교사 자신을 제외한 외부 환경과 관련된 영역, 교사 자신의 내적인 영역 등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연구자는 개방형 탐구 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자질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학생들에게 적절한 비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문성이 성장하게 되었다. 둘째, 동아리 활동 시간부족, 과학실 기자재 부족, 예산 사용의 어려움과 같은 제도적인 제약에 따른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변의 자원을 파악, 활용하여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셋째,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내적인 고민과 갈등을 도움 받을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이 부재하여 어려움을 겪었고, 과학부장님과의 소통으로 용기와 힘을 얻으며 지도교사로서 효능감을 높일 수 있었다. 연구자에게 개방형 탐구를 지도한 경험은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2년 후 지도교사로서 성장한 모습을 확인하였다.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through Open Inquiry)

  • 조제희;우애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5호
    • /
    • pp.263-2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방형 탐구 경험이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내 과학교육과에서 개설된 '탐구화학실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10개의 주제로 개방형 탐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방형 탐구 실험은 제시된 현상을 관찰한 후 조별로 탐구문제를 설정하여 가설을 세우고, 직접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차례에 걸친 검사지와 개인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하위 영역 중에서는 창의성, 초도덕성, 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개인 면담을 통해서 과학 지식의 주관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친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학생들이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초반에는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가 다소 부정적이었으나 계속해서 경험할수록 긍정적인 태도가 나타났다.

개방형 과학 탐구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전략의 탐색 - 과학고등학교의 KYPT문제 해결 사례를 중심으로- (Searching for Effective Strategies on Teaching Open-Inquiry -Based on Cases of a Science High School Carrying Out KYPT Problem Solving Activities-)

  • 김효준;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489-150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탐구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실제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어떠한 해결 전략이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비교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개방형 탐구의 지도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KYPT 개방형 탐구 문제 해결과정을 겪으며 공통적으로 '실험'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이야기한 반면, 지도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료 해석'이나 '결론 도출'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개방형 탐구 문제 해결 전략에 대해서는 학생들은 '팀원들 간의 토의'가 가장 활용 빈도가 높았으며, 또한 효과적이라고 답한 반면, 교사들은 '교재 및 논문'이나 '지도교사와의 토의'의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답하여 학생들과 인식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효과적인 해결전략이라고 이야기했던 '팀원들 간의 토의'에 대해 학생들만큼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도움을 받았다고 답변한 '팀원들 간의 토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이 개별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도 팀을 구성하여 팀원들 간의 토의가 활발히 일어나도록 장려해 줄 필요가 있다.

지도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학교 밖 과학 탐구 활동으로서 전국과학전람회의 현주소 (Present State of National Science Contest as a Informal Scientific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eachers)

  • 김진욱;이종진;백영경;안유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6-209
    • /
    • 2023
  • 본 연구는 학교 밖 과학교육 활동 중 하나인 과학전람회의 교육수요자로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과학전람회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의견을 심층 조사하였다. 총 7문항에 대해 평균 3,600자 이상을 서면 답변하였으며,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과학전람회 참여로 인한 학생과 교사의 성장, 대회 참여의 어려운 점,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목소리를 알아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과학전람회 참여가 개방형 탐구과정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학생의 과학 관련 지식 및 태도의 향상, 이공계 분야 진로 진학으로의 연계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만 대회 참가 학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탐구내용을 기록할 수 없고, 지도교사들은 참신한 주제 발굴에 대한 강박과 탐구과정 지도에서 오는 부담, 전공지식에 대한 전문성 한계를 지적해 과학전람회 참여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전람회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도교사와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17개 시·도 교육청 수준의 지원 방안, 국립중앙과학관의 홍보 방법 및 심사 방식 개선,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의 개선을 요구하였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공감할 수 있는 과학전람회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개방형 혁신의 성공을 이끄는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능 (The Role and Function of Intermediaries in Driving the Success of Open Innovation)

  • 김정호;박현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35-246
    • /
    • 2022
  • 중소기업은 외부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존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강요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이나 기술협력 파트너의 발굴을 위해서는 산학연을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외부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독자적인 추진이 어려워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활용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기술이전 분야에서 기술공급자 중심으로 성과요인이나 영향 요인이 연구되었고 중재자에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중개자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여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존 기술이전 중개자와 어떻게 다른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을 정부지원사업의 수행 결과 토대로 중개자의 역할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가 있고, 향후 개방형 혁신 중재자들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대가 되는 것이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김유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1-232
    • /
    • 2019
  •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 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261-2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초등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 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켰으며, 과학에 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도움을 주어 장래 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일을 더 즐거운 것으로 느끼게 만들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탐구 기반 학습 유형을 중요한 과학 수업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현장에 가서 어떠한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방형 질문 결과, 수업모형의 활용 방안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이나 탐구과정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PDF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Faiths on Experiments in Science Classes)

  • 팽애진;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6-161
    • /
    • 2005
  • 이 사례 연구는 두 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실험 수업에 대한 신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척도형 설문지와 개방형 설문지, 구조화된 면담과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계획서와 수업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각 교사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이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한 면담을 하였다. 자료는 귀납적인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삼각측정법과 동료검증의 방법으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실험 수업에 대한 신념은 구성주의적이었으나, 이러한 교사들의 신념은 실제 수업과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탐구 수준에 대한 부적절한 판단과 그로 인한 탐구 활동의 부적절한 재구성 등이 교사의 신념과 실제 수업 사이에 발생하는 괴리의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Subjectivity on Communication Styles of Nursing Freshmen : Q Methodological Approach)

  • 박정원;정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29-3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방법은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간호대학 신입생으로 구성된 P 표본 5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Q 표본 55개의 진술문을 11점 척도 분포도에 분류하게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스타일은 '개방적 교류 촉진형', '타인배려 경청형', '비판예민 긴장형', '교류회피 관찰형'으로 추출되었다. 개방적 교류 촉진형은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개방적으로 자아를 노출하고 교류를 촉진하는 유형이다. 타인배려 경청형은 자신보다는 타인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여 신중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스타일이다. 비판예민 긴장형은 비판에 예민하고 긴장하며 산만한 스타일로 친밀한 교류가 어려운 유형이다. 교류회피 관찰형은 자기를 노출하지 않고, 타인을 관찰하면서 상호교류에 무관심한 방관자 스타일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연구정보의 오픈 액세스 관행에 대한 인식 연구 - 과학기술분야 학회의 개방형 동료심사 관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wareness of Open Access Practices for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 정용일;안성수;노지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21
    • /
    • 2022
  • 최근 정보기술(IT)의 급속한 발전,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글로벌 팬데믹 현상 등으로 오픈 액세스(OA), 오픈 사이언스(OS), 개방형 동료평가(Open Peer Review, OPR)와 같은 새로운 학술출판 관행이 과학기술분야 학술연구 현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OPR 시스템의 도입과 같은 새로운 학술연구출판 관행과 제도는 가치, 동기, 수단, 라이센스, 인센티브 등과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OPR의 개념과 실체가 무엇인지는 기존 연구들을 통하여 최근 어느 정도 정립이 됐다. 하지만 OPR을 통해 연구자 개인이나 학회, 출판사 등에 새로운 기회, 도전 과제 및 미래 전망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지만 제한적이다. 특히 학술연구출판 관행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진행되었지만 국내에서 학술지를 발간하는 학회차원에서 학술연구출판 관행, 특히 OPR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분석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OPR에 대한 학술출판 생태계의 다양한 참여 주체들의 관점을 자세히 탐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학술지의 학술연구출판 관행과 관련하여 학회 차원에서 새로운 학출연구 출판관행, 특히 OPR에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학술연구논문투고심사시스템(ACOMS)를 활용하는 학회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OPR 관련 학술연구출판 관행과 제도 변화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