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형 인터페이스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6초

효율적인 모바일 응용을 WMS 확장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 of Extended Interfaces of WMS for Efficient Mobile Applications)

  • 조대수;오병우;하수욱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215-220
    • /
    • 2005
  • 최근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웹 맵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는 웹 맵 서비스를 위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명세를 발표하고, ISO 표준으로 채택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는 등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웹 맵 서비스의 필요성과 OGC의 개방형 인터페이스 명세에 대해서 살펴보고, 국내의 웹 맵 서비스 표준화 연구로서 모바일 환경의 다양한 응용에 대해서 기존 OGC 표준안의 문제점을 해결 위해서 WMS 확장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 PDF

GSMP 인터페이스 기반 OBS 제어 (OBS Control based on GSMP Interface)

  • 이경만;김춘희;차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36-639
    • /
    • 2002
  • 광 인터넷의 개방형 인터페이스는 광 전달망과 제어 평면의 기술을 독립적으로 진화되게 하며 스위치의 구현을 단순화 시킨다. GSMP 프로토콜 기반의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OBS 제어는 신호 프로토콜 및 GSMP 프로토콜의 실행 오버헤드로 인하여 연결설정의 지연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GSMP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OBS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안과 연결설정의 지연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집중형 연결 서버를 이용한 병렬형 연결설정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 PDF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OBS 연결 제어 및 망 관리 메커니즘 (Connection Control and Network Management of OBS with GSMP Open Interface)

  • 최인상;김춘희;차영욱;권태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9-100
    • /
    • 2006
  • OBS 망을 위한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 도입은 OBS 망의 전달평면과 제어평면의 분리를 실현하여 OBS 스위치의 구현을 단순화시키고, 망의 다양한 융통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GSMP 프로토콜의 실행 오버헤드로 인하여 연결설정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에서 망 관리의 위치가 제어기인지, 스위치인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OBS에 대한 망 관리의 연구결과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OBS 망에서 연결설정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앙집중형 연결제어 서버를 이용한 병렬형 연결설정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또한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OBS 망의 연결, 구성, 성능 및 장애관리를 위한 관리객체를 정의하고, 이들 관리 정보가 관리 기능별로 OBS 스위치와 제어기에 분산되어 탑재되는 분산 망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병렬형 연결설정 메커니즘 및 분산 망 관리 모델을 이용한 망 관리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OBS 제어 및 망 관리의 실현성을 확인하였다.

  • PDF

SCMS 기반의 스마트카드 후발급 인터페이스의 설계 (Design of Smart Card Post Issuance Interface based on Smart Card Management System)

  • 조재훈;박우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075-1078
    • /
    • 2005
  • 개방형 카드 플랫폼의 개발로 전통적인 카드 플랫폼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나 기존 카드 관리시스템으로 개방형 카드 플랫폼을 관리 할 수 없었고 그 대안 시스템으로 SCMS가 개발되었다. SCMS가 개방형 카드 플랫폼에 있어 통합 관리를 수행하지만 주요 기능인 카드 후발급에 대한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카드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카드 후발급을 위한 카드 후발급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 PDF

에이전트 모델 연동기술 개발방안 연구

  • 오세웅;강동우;최현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
    • /
    • 2019
  • 조선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해 개방형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시뮬레이션 모델 간의 인터페이스 표준 개발을 위해 기능 목업 인터페이스(FMI)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시뮬레이션 플랫폼과 기능 목업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에이전트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기술 개발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로, 기능 목업 인터페스 표준 방식에 따라 에이전트 모델의 인터페이스 표준을 정의하고, 둘째로 에이전트 목업을 통해 기능 목업 인터페이스를 테스트 하며, 셋째로 전자해도 기반의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조작 환경과 적용모듈을 개발하여 에이전트 모델 연동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 PDF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OBS 망의 관리객체 및 분산 망 관리 모델 (Managed Object and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Model in Open Interface of OBS Network)

  • 권태현;김춘희;차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449-456
    • /
    • 2005
  • 광 버스트 스위칭(OBS) 기술은 광 회선 스위칭에서 발생하는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개선시키며, 광 패킷 스위칭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인 광 버퍼링의 요구사항을 최소화한다. GSMP는 제어기와 레이블 스위치 사이에서 연결, 구성, 성능, 장애관리 및 동기화 기능을 제공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이다. OBS 망을 위한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 도입은 OBS 망의 전달평면과 제어평면의 분리를 실현하여 OBS 스위치의 구현을 단순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OBS 망의 연결, 구성, 성능 및 장애관리를 위한 관리객체를 정의하였으며, 이들 관리정보가 관리 기능별로 OBS 스위치와 제어기에 분산되어 탑재되는 분산 망 관리 모델을 제안하였다. GSMP와 OBS 관리객체를 수용한 망 관리 기능의 구현을 통하여 GSMP 개방형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OBS 망에서의 분산 망 관리 모델을 이용한 연결관리의 실현성을 확인하였다.

광 인터넷의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형 연동 모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Parallel Interworking Model for Open Interface of Optical Internet)

  • 김춘희;백현규;차영욱;최준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9권4호
    • /
    • pp.405-411
    • /
    • 2002
  • 광 인터넷에서 광 전달망과 제어평면의 분리를 실현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OIF의 ISI, ITU-T ASON의 CCI 그리고 IETF의 광 스위칭을 위한 GSMP 확장 등이 있다. 이러한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술들은 망에서의 다양한 융통성을 제공하는 반면에 전통적인 스위치-대-스위치 연결 설정에 비하여 지연이 길다. 본 논문에서는 광 인터넷의 개방형 인터페이스에서 연결 설정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병렬형 연동 모델을 채택 한다. 병렬형 연동 모델에서는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스위치 제어기의 캐쉴 능력을 기반으로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프로토콜과 GSMP 프로토콜 사이의 연동 절차를 병렬로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채택한 병렬형 연동 모델과 기존의 순차형 연동 모델에 대한 연결 설정 지연과 완료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두 모델이 완료율 면에서는 거의 일치하며, 연결 설정 지연 면에서는 병렬형 모델이 순차형 모델에 비하여 평균 30%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국토정보 서비스 플랫폼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pen Interfaced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 장윤섭;김재철;최원근;김경옥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24
    • /
    • 2009
  • 최근 웹 2.0의 서비스들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발전해가며 기존 공급자 위주의 수동적인 서비스와 차별화되듯이 국토정보 분야에서도 공급자 위주의 정적인 서비스는 사용자 참여가 가능한 동적인 지리공간 웹(Geoweb) 서비스로 발전되고 있다. 또한 공공과 민간에 산재되어 있는 데이터와 기능들을 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며, 이들의 통합 및 확장 자체를 보다 쉽게 해주고, 급변하는 지리공간 웹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공간 웹 분야의 다양한 국토정보 데이터 및 서비스 통합과 관련한 기술동향을 고찰하고,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국토정보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2D/3D 지도 서비스 엔진, 사용자 참여형 매쉬업 엔진 및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통합 검색 엔진 등 플랫폼의 핵심요소들을 개발하였다.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국토정보 서비스 플랫폼은 공공/민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통합, u-City 사업, 민간 GIS/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의 기반 플랫폼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무기체계 획득관리 개선방안(4)개방형 체계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김형배
    • 국방과기술
    • /
    • 10호통권272호
    • /
    • pp.46-51
    • /
    • 2001
  • 개방형 체계접근방법은 변화의 속도가 느린 개방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의 초점은 잘 알려져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개방 인터페이스를 잘 선택하여 무기체계에 적용하고 개방구조에 맞는 모듈화 설계를 한다면 수명주기비용을 적게 하고 개발기간을 단축하며 지속적으로 성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많은 무기체계는 완전히 개방적일 수는 없지만 무기체계를 설계할 때 개방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개방의 이점을 최대화 할 수 있다.

  • PDF

SDN 표준 참조구조 기반의 개방형 인터페이스, 추상화 기술 및 컨트롤러 언어 분석

  • 신명기;남기혁;최윤철;김형준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2호
    • /
    • pp.36-42
    • /
    • 2013
  • 본 고에서는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SDN의 정의와 개념을 포괄하는 표준 참조 구조 (Reference Architecture)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표적인 표준화 대상인 개방형 인터페이스, SDN 스위치 추상화와 컨트롤러 응용 언어 기술에 대해 논의한다.